View : 300 Download: 0

근거이론을 활용한 기업 미래 예측(Corporate Foresight)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근거이론을 활용한 기업 미래 예측(Corporate Foresight)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Foresight Using Grounded Theory
Authors
권은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영일
Abstract
기업 경영 환경의 변화는 지속해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사회문화와 기술의 변화는 기업 경영 환경의 변화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업 경영 활동에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또한 계속되는 성장 둔화로 기업의 비용 절감, 효율성 강조 기조는 기업 운영에 기본이 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기업 환경에서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강화를 위해 기업 미래 예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기업이 처할 미래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변화에 대응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실행 하는 것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하지만 국내의 기업 미래 예측은 해외와 비교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미래 예측 활동이 기업 중심이 아닌 국가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환경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는데, 국내 기업의 경우 중장기 미래 계획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지 못하고, 이로 인해 관련 역량 향상이나 자원 투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이 가장 큰 이유이다. 이는 반도체, 자동차와 같이 국내 영위하고 있는 주요 산업군의 빠른 기술 변화도 한몫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의 미래 예측 기반의 전략 수립 활동에 대한 니즈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도 많이 형성되고 있다. 국내 기업의 기술 경쟁력 확보 의지와 글로벌 선도 주자의 역할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 미래 예측의 적극적인 도입을 저해하는 요인 중 하나는 공공의 대규모 예측에서 발전해온 미래 예측 활동이 기업 활동에 최적화되어있지 않음이다. 산업, 기업 규모, 기업 역량 등 다양한 기업의 특성이 미래 예측 활동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기존 업미래 예측 연구는 해외 기업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 미래 예측의 효용성을 향상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을 정의하고, 최적의 기업 미래 예측 수행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국내 기업 특성에 맞는 기업 미래 예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 미래 예측을 적극적으로 수행한 국내 기업 3개 사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내 기업 3사 구성원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기업 미래 예측 과정 모델을 정의하였다. 그 결과 인지, 예측, 구체화, 공감의 과정을 거쳐 기업 성과로 이어지는 기업 미래 예측 모델을 도출하고 각 단계별 특성 요인을 정의하였다. 또한 해당 요인별 속성을 분석하여 기업 미래 예측 활동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 환경을 반영한 기업 미래 예측 과정 모델을 정의하고 향후 성공적인 기업 미래 예측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사례 대상 기업의 확대 및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기업 미래 예측 과정 모델로의 객관성 및 타당성을 확보하고 관련 기업 활동의 확대에 이바지하고자 한다.;The business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continuously. However, changes in social culture and technology are accelerating the pace of change in the business environment,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companies to manage their operations. In addition, due to the continued slowdown in growth, the emphasis on cost reduction and efficiency has become fundamental to corporate operations. In such a corporate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corporate foresight is emerging to secure and strengthen continuous competitiveness. In other words, the importance of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future of a company and devising and implementing measures to respond to changes is emphasized. However, corporate foresight in Korea is not as active as overseas, and foresight activities are often country-centered rather than company-centered.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this environment, the main one being that domestic companies do not strongly feel the need for mid- to long-term future planning, and as a result, they do not actively improve their capabilities or invest resources. This is also due to the rapid technological changes in major domestic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s and automobiles. Nevertheless, the need for foresight-based strategic planning activities by domestic companies continues to expand, and there is a strong consensus on the need. This reflects the will of domestic companies to secur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o play the role of a global leader. One of the factors hindering the active adoption of corporate foresight is that foresight activities that have evolved from large-scale public forecasting are not optimized for corporate activities. Various firm characteristics, such as industry, firm size, and firm capabilities, can be associated with foresight activities. In addition, existing studies on corporate foresight have been centered on overseas companies, and empirical studies on domestic companies have not been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foresight and propose an optimal way to conduct corporate foresight. In particular, we tried to propose a corporate foresight method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companies. To this end, we conducted a case study of three domestic companies that actively conducted corporate foresight, and defined a corporate foresight process model using grounded theory based on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ree domestic companies. As a result, we derived a corporate foresight process model that leads to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the processes of cognition, prediction, materialization, and empathy, and defined characteristic factors for each stage. We also analyzed the attributes of each factor to derive considerations for corporate foresight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efines a corporate foresight process model that reflects the domestic corporate environment and suggests considerations for successful corporate foresight. In the future, through the expans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case companies, we hope to secure the objectivity and validity of the corporate foresight process model and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related corporate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