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8 Download: 0

농어촌지역 초등학교 활성화를 위한 교육공간 디자인 연구

Title
농어촌지역 초등학교 활성화를 위한 교육공간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patial Design for Revitalization of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s : Focused on Constructivist Teaching·Learning Theory
Authors
한서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공간디자인전공
Keywords
교육공간, 농어촌학교, 구성주의교수학습이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연정
Abstract
우리나라의 농어촌 학교는 학령인구감소와 소규모학교 통폐합 정책에 의해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농어촌지역의 교육 여건 부족은 지방인구 감소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이에 농어촌 학교를 살리기 위해 각 지역에서는 여러 혁신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 만들어진 학교 공간의 한계로 인해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적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교육의 내용이 변화하며 교육공간의 혁신이 요구되고 있다. 과거에는 국민의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교수자에서 학습자로의 일방향적 교육이 이루어졌으나, 최근의 교육은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교육의 내용을 수용할 수 있는 미래 학교로서의 농어촌 초등학교를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학회 저널을 통해 출간된 논문을 통해 국내 농어촌 초등학교를 활성화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과 학교공간 특성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 기반의 교육공간 특성에 대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에 기반한 교육공간 특성을 농어촌 초등학교를 활성화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개념으로 발전시키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농어촌 초등학교 활성화를 위한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 기반의 공간특성을 파악하고 실제 대상지에 이를 적용한 설계안을 통하여 실질적인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과 같은 전체적인 연구 체계를 서술한다. 본 연구는 크게 문헌 조사와 사례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Ⅱ장에서는 교육과정과 구성주의 학습이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교육방향의 현황을 파악하였고,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이 공간으로 반영된 해외사례와 조나센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모형을 바탕으로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기반의 교육공간 특성을 도출하였다. Ⅲ장에서는 국내 농어촌 초등학교 교육공간 사례를 앞 장에서 제시한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고, 농어촌 교육 방향과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 기반 교육공간의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사례 분석에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디자인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농어촌 초등학교 활성화를 위한 구성주의적 교육공간 디자인에 관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변화하는 교육의 내용을 수용할 수 있는 미래 학교로서의 농어촌 초등학교가 필요하다. 농어촌 초등학교의 교육공간을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농어촌지역 초등학교 교육과정 핵심 과제에 기반한 설계요소를 도입할 뿐 아니라,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이 반영된 교육공간을 디자인하여야 한다. 구성주의 교수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한 공간 특성은 정보접근성, 유연성, 유목성, 교류성, 행태지원성, 개방성, 연결성, 다양성으로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은 농어촌 교육의 4가지 방향과도 연관지을 수 있었다. 생태 경험 교육은 연결성과 다양성, 진로 및 방과 후 활동은 교류성과 유연성, 지역 공동체 거버넌스는 개방성과 행태 지원성, 디지털 교육은 유목성 그리고 정보접근성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특성이 반영된 농어촌 초등학교는 학습자가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며, 현시대의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에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Rural schools in Korea are facing a crisis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 age population and the policy of integrating & abolishing small schools. Lack of educational conditions in rural areas is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decrease in local population, and various innovation projects are underway in each area to revive schools in rural area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school space created in the past, the spatial support that can accommodate those projects is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education is changing and innovation of educational space is required. In the past, one-way education from instructors to learners was conduct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people's productivity, but recent education is based on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This study aims to suggest rural elementary schools as future schools that can accommodate the changing contents of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We identified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pace characteristics to revitalize rural elementary schools in Korea through a thesi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academic society, and conducted basic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spaces based on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space based on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into a concept as a tool to revitalize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for the revitalization of rural elementary schools, and to propose a practical design through a design plan that applies them to the actual sit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Chapter Ⅰ describes the overall research system, such a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 of the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largely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In Chapter Ⅱ, we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al direction based on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curriculum and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As a result, we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space based on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In Chapter Ⅲ,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rural areas and educational spaces based on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we analyzed case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paces in rural areas in Kore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the previous chapter. In Chapter Ⅳ, this study suggested the final design proposal by applying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 case analysis on the selected rural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on constructivist educational space design for revitalization of rural elementary school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is a need for rural elementary schools as future schools that can accommodate the changing contents of education.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educational space of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s, design elements based on the core task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rural areas should be introduced, as well as educational spaces that reflect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ies. Spa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ory could be derived as information accessibility, flexibility, nomadicity, interactivity, behavioral support, openness, connectivity, and diversity. These characteristics are also related to the four directions of rural education. Ecological experiential education was related to connectivity and diversity. After-school activities were related to interactivity and flexibility. Local community governance was related to openness and behavioral support. digital education was related to nomadicity and information accessibility. Rural elementary schools that reflect thes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 so that learners can learn creatively and self-directedly and grow into talented people who can respond to the uncertainties of the present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