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0 Download: 0

애슬레저 브랜드 홍보를 위한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 개발

Title
애슬레저 브랜드 홍보를 위한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social media fashion content to promote athleisure brand : Applying pseudo-nature installation art
Authors
조수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패션디자인전공
Keywords
소셜미디어, 디지털 콘텐츠, 애슬레저 브랜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세리
Abstract
기술을 동원한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는 시각적 표현을 확장하여 효과적인 홍보 수단으로 작용한다. 시각 이미지로 미학적 표현을 끌어올리는 브랜드의 콘텐츠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소비자에게 호응을 얻고 있으며, 비주얼 표현에 주력하는 패션산업 분야는 예술적 상상력이 발현되고 디자인 미학적 가치를 실현하는 가상공간을 구축하는 데에 더욱 힘쓰고 있다. 가상공간이라 함은 인위적 재창조 공간으로서 물리적 재료에 의하지 않고 순수한 디지털 코드로 이루어지며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표현이 상대적으로 가능한 공간이다. 조형예술의 창작 측면에서 가상공간은 현실적 한계로부터 자유로우며 조형물의 제작에 있어서도 무한한 변형과 제작이 가능하므로 더욱 의미있다. 여러 패션 브랜드들은 최근 디지털 전환에 따른 기술 도입으로 다양한 소셜미디어 매체를 기반으로 한 차별화된 이미지 제고와 시각적 효과를 지향하는 패션 콘텐츠 제작에 앞서고 있다. 패션 브랜드는 디지털 그래픽 기술 기반의 디지털 이미지 기획을 실현하며 브랜드 세계관을 형성하고 있다. 브랜드마다 이미지를 기획함에 있어서 가상의 캐릭터와 공간의 구현이 다수 보이며 특히 3D 모델링 기술로 자연을 모방한 공간 구축의 표현과 재해석이 눈에 띈다. 이처럼 소셜미디어를 통한 패션 콘텐츠 산업의 성장이 두드러지면서 조형적 요소로서 자연의 이미지를 모방한 가상 공간의 출현이 다수 보이며 이에 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자연은 무수한 조형적 요소와 원리가 잠재되어 있으며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해주는 대상이다. 설치미술에서는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구조와 ‘설치적 표현’이라는 점 즉 오브제와 공간이 함께 작품화되는 것이 중요한 점이 되는 것이다. 설치미술에서 고정된 틀과 조형관념을 거부하기 때문에 형식 또한 자유로운 배치에 의하며 설치되는 장소에서 직접 조형과 공간을 창조한다. 설치미술에서 중요한 요소는 덩어리나 재료 등에 의한 조형보다 공간과 오브제로 이루어진 이미지 창조에 역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설치미술은 오브제와 공간이 함께 작품을 이루는 이미지 창조로서의 조형적 요소와 원리에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자연의 무수한 조형적 특징에 기반하여 유사자연 설치미술의 오브제와 이미지 창조를 연구의 토대로 설정하여 개발에 반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산업에 실효성 있는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 디자인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현재 패션산업의 패션 콘텐츠 제작 경향에 부합하는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 제작을 실행함으로써 거듭 발전하고 있는 패션산업의 실질적 패션 콘텐츠 개발 방법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패션산업 중에서도 애슬레저 패션 브랜드로 범위를 한정하였고 실제적 적용을 위해 신규 애슬레저 패션 브랜드 ‘비브레인’을 연구 대상으로 정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 범위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패션 콘텐츠의 개념을 정리한다. 이들의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에 유의미하게 나타나는 주요 특성과 구성요소를 유형화한다. 둘째, 유사자연 설치미술의 이미지에 대한 선행 논문을 고찰하면서 대표 작품에 나타난 유사자연 설치미술의 이미지 특징을 분석한다. 셋째, 이 연구의 디자인 중심에 있는 애슬레저 브랜드와 관련된 동향 및 홍보방향에 대해 서술한다. 넷째, 이상의 이론적 조사 내용을 배경으로 애슬레저 패션 브랜드 비브레인의 홍보를 목적으로 한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를 제작한다. 콘텐츠는 유사자연 설치미술의 이미지 특징에 근거하여 6점 작품의 테마를 구상하고 기획한다.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조사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패션 브랜드들이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의 브랜드 채널을 개설하여 브랜드 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생산하며 이를 콘텐츠 유통의 플랫폼으로 활용하고 있다. 시각적 요소로 이루어진 패션 콘텐츠는 조형 요소로서 화면의 구성형식을 직접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색채와 구조의 조형형식을 통해 사상을 전달할 수 있다. 둘째, 3D 이미지에 기반한 패션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는 공간, 아바타, 심벌로 개발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브랜드는 그래픽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를 조형적 측면으로 접근하여 이미지로 구현하고 있다. 셋째, 유사자연 설치미술 작가들의 작품을 탐색하였을때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내용적 측면은 천체, 빛과 대기, 물의 이미지로 유형 분류가 가능하였으며, 형식적 측면으로는 조형요소와 원리를 바탕으로 이미지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유사자연 이미지를 응용한 디지털 콘텐츠 역시 조형적 특징의 내용적 측면에 따라 천체, 빛과 대기, 물의 이미지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콘텐츠에 나타난 천체의 이미지는 색상의 강조, 질감의 강조, 넓은 면 분할 등을 통해 조형적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콘텐츠에 나타난 빛과 대기의 이미지는 유사 배치-비정형 배치, 율동, 색상 혼합 등을 통해 조형적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콘텐츠에 나타난 물의 이미지는 운동성, 질감, 색채 등을 통해 조형적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넷째, 애슬레저 브랜드들은 브랜드 정체성에 부합하는 콘텐츠 유형을 선정하여 소셜미디어를 통한 디지털 전략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애슬레저 산업의 소셜미디어 산업 동향으로는 3D 이미지 기반의 제품 소개형, 브랜드 홍보형 콘텐츠가 등장하는 점을 발견하였다. 작품 디자인 및 제작의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실제 신규 브랜드의 홍보를 목적으로 한 콘텐츠를 개발하였으므로 작품 제작을 통해 브랜드의 홍보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전통적인 심벌, 로고 외의 시그니쳐 공간, 아바타의 실체화 등 브랜드 자산 구축을 실제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의 디자인에서는 유사자연의 이미지 특징을 응용하여 브랜드가 지향하는 신체 및 운동의 순환 개념을 적용한 공간 표현이 시도되었는데, 공간의 표현이 아바타 및 심벌과 함께 이루어졌으므로 이 기획 과정을 통해 패션 브랜드의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의 창작을 위해서는 브랜드의 스토리를 주도할 정체성을 담은 아바타 및 심벌의 중요성을 크게 파악하게 되었다. 셋째,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에 등장하고 있는 모든 요소는 소비자에게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파악되면서 디자인 과정 중 전체 콘텐츠의 통일된 구성뿐만 아니라 콘텐츠별 주요 구성요소의 일관성이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근본적으로는 브랜드가 지향하는 정체성이 색채, 질감, 형태별로 모든 조형적 근거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패션산업을 향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가 개발하는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를 향한 대중의 기대는 점차 높아진다는 점에서 브랜드는 어떠한 전략을 취할 수 있을지 생각할 점이 있다. 둘째, 패션 브랜드들은 이제 고도의 그래픽 기술로 제작한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가 대중의 참여문화에 스며들고 작용이 될 수 있는 방법을 고심할 때가 되었다는 점이다. 현재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많지 않으며 실제 적용의 제안을 보여주는 작품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향후 다양한 관점을 적용하여 소셜미디어 패션 콘텐츠 디자인의 다양한 제안을 보여주는 연구들을 기대한다.;Social media technology, which develops technology, expands the expression of stickers and serves as an effective means of publicity. The knowledge of technology that enhances aesthetic expression with eye-catching images is gaining favor from consumers on social media platforms, and the field of the fashion industry, which is serious about visual expression, is pointing out problems and helping to build a virtual space that realizes design aesthetic values. are putting more effort into Virtual space is a space in which expressions and conversations are possible by charging the battery with digital charging with books, not by physical materials, considering the space recreated with memos. In terms of the creation of formative arts, virtual space is more meaningful because it is free from the realistic end and it is possible to transform and produce as much alive as possible in the production of sculptures. Several fashion brands are taking the lead in creating fashion contents that aim for differentiated image enhancement and visual effects based on various social media media with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following digital conversion. Fashion brands are realizing advanced digital image planning based on digital graphic technology and forming a brand worldview. In planning images for each brand, there are many realizations of virtual characters and spaces, and in particular, the expression and reinterpretation of space construction imitating nature with 3D modeling technology stands out. As the growth of the fashion content industry through social media became prominent, many virtual spaces that imitated images of nature as a formative element appeared, and it can be said that research on this is very necessary. Nature is an object that has innumerable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latent and presents infinite possibilities. In installation art, the meaning structure to be conveyed and the point of 'installational expression', that is, the object and the space become works of art together are important. Because installation art rejects fixed frames and formative ideas, the form also depends on free arrangement and creates formative and space directly in the place where it is installed. An important factor in installation art is the creation of images made up of space and objects rather than the formation of lumps or materials. Therefore, installation art focuses on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as an image creation in which objects and spaces work togeth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et the creation of objects and images of qseudo-nature installation art as a basis for research based on the myria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nature and reflect it in development. This study establishe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ocial media fashion content design that is effective in the modern fashion industry and develops practical fashion content in the fashion industry, which is constantly developing, by implementing social media fashion content production that meets the current trend of fashion content production in the fashion industry. The purpose was to suggest a method. Among the fashion industry, the scope was limited to athleisure fashion brands, and a new athleisure fashion brand ‘Bebrain’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for practical application. The detailed research scope and method set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fashion content appearing in social media is summarized. It categorizes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that appear significantly in their social media fashion content. Second, while examining previous papers on the image of qseudo-nature installation art,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qseudo-nature installation art appearing in representative works are analyzed. Third, the trend and promotion direction related to the athleisure brand, which is the design center of this study, is described. Fourth, social media fashion contents are produce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athleisure fashion brand Bebrain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research. As for the content, the themes of the six works are conceived and planned based on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qseudo-nature installation art. First,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ny fashion brands open brand channels such as Instagram and YouTube to produce brand contents on their own and use them as a platform for content distribution. Fashion contents composed of visual elements can directly set the composition form of the screen as a formative element, and can deliver ideas through the formative form of color and structure. As a social media platform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image-based Instagram and YouTube, it is becoming a fashion media capable of expressing and delivering fashion contents. Second, social media fashion contents of fashion brands based on 3D images were able to deriv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with spaces, avatars, and symbols. Based on graphic technology, the brand approaches it in a formative aspect and implements it as an image. The space of the brand realizes its image through expressive directing such as concept setting, object composition, and lighting installation. The brand's avatar embodies the image through expression such as body shape and proportion, contrast, color, and texture. The symbol of the brand embodies the image by directing expressions such as shap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exture through points, lines, and planes. Third, the works of qseudo-nature installation artists who us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natural properties to materialize them in a formative way were explored. Qseudo-nature installation art is created as a newly created image of nature by intentionally capturing the appearance of nature in the installation. As for the aspect of content shown in their work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types into images of celestial bodies, light and air, and water, and in terms of form, image characteristics could be derived based on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Digital contents that applied qseudo-nature images could be classified into celestial bodies, light and air, and water images according to formative characteristics. The image of the celestial body in the contents reveals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emphasis of color, emphasis of texture, and division of wide surfaces. The images of light and air appearing in the content reveal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similar arrangement-atypical arrangement, rhythm, and color mixing. The image of water in the contents reveals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mobility, texture, and color. Fourth, the athleisure brand is a promotional strategy that differentiates the brand characteristics, and directs the uniqueness of formativeness and figurative value in product design. In particular, by pursuing a specific image of the brand centered on color and shape, they were seeking to promote differentiation and stand out in the market. As a result of analyzing trends of global and domestic brands in the athleisure industry, athleisure brands are actively developing digital strategies through social media by selecting content types that fit their brand identity. As a trend in the social media industry of the athleisure industry, it was found that 3D image-based product introduction and brand promotion contents appeared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producing the work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s appearing in the work become objects that represent the identity of the brand, which can become an asset of the brand. Appearance elements are assets that establish the unique world of a brand, and at the same time become a creation and lead to the creation of profits. Second, in the design of this study, a space expression was attempted by applying the concept of circulation of the body and movement that the brand pursues by applying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quasi-nature. For the active creation of brand social media fashion contents, the importance of avatars and symbols containing the identity that will lead the brand story has been greatly grasped. Third, as all the elements appearing in social media fashion content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the brand image to consumers, it was recognized that not only the unified composition of the entire contents during the design process but also the consistency of the main elements appearing in each content is very important. If content is planned according to the season or specific event, elements of differentness are added for each period, but fundamentally, the identity that the brand aims for should be presented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connected to all formative grounds by color, texture, and form. The implications for the fashion industry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something to think about what kind of strategy brands can take in that the public's expectations for social media fashion content developed by brands are gradually increasing. Second, it is time for fashion brands to consider how social media fashion contents produced with advanced graphic technology can permeate and work in the culture of participation of the public. Currently, there are not many theoretical studies on social media fashion contents, and moreover, it is difficult to find works that suggest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future, we expect studies that show various proposals of social media fashion content design by applying various tren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