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8 Download: 0

공간 경험 확장을 위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 연구

Title
공간 경험 확장을 위한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Art for Expanding Spatial Experience : Focus on the ‘The Third Place’
Authors
이채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Keywords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인터랙티브 아트, 공간 경험, AR, Interactive Ar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현정
Abstract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시공간의 개념은 변화하였고, 예술의 형태도 변화하면서 인터랙티브 아트가 등장하였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람자와 작품이 상호작용을 통해 긴밀하게 융합되는 예술 형식으로, 관람자는 작품의 주체로 존재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로 거듭나게 된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사용자와 작품, 작품 공간 간의 관계를 형성하며, 공간을 새로운 방식으로 인식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 중에서도 가상공간과 현실 공간의 중첩이 일어나는 증강현실 기술은 공간에 대한 개념을 재고하고 확장시키는 역할이 가능하다. 이러한 중첩은 가상 이미지가 실제 공간에 영향을 끼치며 사용자의 공간 인식에 새로운 가능성을 갖게 된다. 그러나 증강현실의 실재감을 위한 기술적인 구현에 집중된 연구들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및 경험 전달 측면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 연구의 증강현실 작품은 사용자에게 편안함, 유대감, 자아실현, 삶의 원동력과 같은 제3의 장소적 특성을 전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이 제공하는 확장된 감상 경험, 특히 인터랙티브 아트의 인터페이스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사용자의 예술 경험과 확장된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아트 중 공간적 경험에 의미를 둔 예술작품으로 연구 범위를 한정한다. 그리고 증강현실의 개념을 현실에 가상 이미지가 중첩되는 원리를 사용하는 기술로 한정하여 증강현실에서 현실 공간을 매개하는 요인을 중심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하며 최종적으로 증강현실 작품을 구현하여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작품의 배경은 제3의 장소 개념으로 도시화와 1인 가구인 청년 독립가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지 인근에서 공간 사용에 대한 욕구가 높아진 현실을 반영한다. 따라서 본 연구 작품의 목적은 사용자의 개인적 공간인 주거지와 주거지 인근의 도시 공간에서 레이올덴 버그가 제안한 삶의 균형을 위한 제3의 장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새로운 증강현실 인터랙티브 아트인 ‘The Third Place’ 작품을 통해 개인적인 공간과 공공의 공간을 융합시키고,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새로운 공간적 인식의 확장인 장소성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 작품 ‘The Third Place’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돗자리라는 공간을 설정해 공원에서 수집된 사운드와 오브제의 가상 이미지를 증강함으로써 공원에서의 기억과 경험을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 어디서든지 증강하고 인식의 확장을 가능케 한다. 이러한 인식의 확장을 통해 작품은 제3의 장소에서와 같은 긍정적인 가치를 가지며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공간과 공공의 공간인 공원을 연결한다. 또한 도시공원의 장소감 요소를 돗자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이미지를 경험하며,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을 ‘장소’로 거듭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의 의의와 목적이 있다. 연구 작품 ‘The Third Place’는 이론적 배경에서 도출된 인터랙티브 아트에서 공간경험을 확장하는 요인과 증강현실의 공간적 특성으로 도출된 요인을 활용하여 제작하였다. 연구 작품은 개인적 공간에서 공공의 공간으로 공간을 확장하여 인간과 관계 맺는 공간을 인터페이스화 하고, 증강현실 이미지 마킹 방식으로 설계된 돗자리 인터페이스에서 파생되는 체험 요소를 피크닉이라는 활동으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 작품에서 제안하는 확장된 인터페이스를 통한 공간 경험이 앞으로의 증강현실 콘텐츠와 관련하여 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바란다. ;With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concept of space and time has undergone changes, leading to a transformation in the form of art and the emergence of interactive art. Interactive art is an artistic medium in which the viewer and the artwork are intimately fused through interaction, wherein the viewer assumes the role of the artwork's subject and becomes a user through interactive participation. Such interactions establish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r, the artwork,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providing opportunities to perceive and expand spatial experience in novel ways. Among these factor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which involves the integration of artificial environment with the user's environment, holds the potential to re-evaluate and expa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pace. This overlaid environment brings the novel ways of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thereby offering new possibilities for the user's spatial perception.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 is the concept of a third place, reflecting the social circumstances in which the desire for use of space close to the residential area increased due to urbanization and the increase in young independent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ird place for balance in life, proposed by Ray Oldenburg, in the user's personal and residential space and urban spaces near the residence. The augmented reality art, “The Third Place”, aims to harmonize personal and public spaces and facilitate augmented reality to provide a placeness experience, which is an expansion of spatial perception. The Third Place uses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at allows users to set up their own space using a mat. By augmenting the virtual images of sounds and objects collected in the park, the memories and experiences at the park can be augmented wherever the user chooses to which leads to an expansion of perception. Through this expansion of perception facilitated by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personal space and public space – the park – can be connected. The purpose of the interactive artwork is to act as a medium to provoke personal memories by bringing the placeness experienced at the park to the user’s personal space. The work “The Third Place” is an interactive media artwork that utilizing factors that expand spatial experience in interactive artwork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The research work expanded the personal space to public space and interfaced the space connected to people. Also, the aesthetic experience element derived from the mat interface designed to using augmented reality as marker image marking was expanded into an activity called picnic. Furthermore, the artwork incorporates the elements of a park's sense of place through the mat interface, enabling users to aesthetic experience virtual images as part of their "space” transforming into "place,” thus serving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interactive art. The Third Place focuses on utilizing factors derived from the expansion of spatial experience in interactive art and augmented reality. The artwork extends the concept of relating to space as an interface, from personal place to public space, and expands the experiential elements derived from the mat interface, designed as markers image of augmented reality, into a picnic activity. It is hoped that the expanded interface proposed in this research artwork for spatial experience will contribute to further diverse studies in relation to augmented reality content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