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3 Download: 0

만개(滿開)한 순간

Title
만개(滿開)한 순간
Other Titles
The Moment of Full Bloom
Authors
김나우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호
Abstract
The way in which humans perceive and contemplate objects is closely intertwined with their individual bodily experiences. I also project my bodily experiences as a woman when sensing objects. I associate the image with an uterus in the concave form of the shell enclosing the flesh and the image with human reproductive organs in the elongated curves and petal-like shapes of the flowers. Furthermore, I sense a strong vitality and energy emanating from these images although they are delicate existences. Drawing upon these perceptions, my artworks seek to embody the pulsating vitality by anthropomorphizing shells and flowers or representing them in forms distinct from reality. My artworks portray images in ambiguous manners, deliberately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conception and abstraction, rather than aiming for realistic representation of real-world. Consequently, I intend to go beyond fixed interpretations of the depicted subjects and allow the viewers to freely interpret them with new meanings. In addition, the images depicted on my artworks acquire illusionary attributes distinct from reality. In order to imbue my artworks illusionary features, I have employed several implementations. Firstly, utilizing framed painting serves to separate the pictorial space from reality. The framing accentuates the artwork's illusionary attributes. Moreover, employing the pearl shell's outer contour as well as the conventional rectangular frame as a framing opens up various possibilities for interpreting space. Secondly, the dual nature of the images is employed to accentuate the illusionary elements. The duality of the depicted images encompasses both a semantic duality and a duality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themselves. In terms of semantic aspects, the duality of the images reveals the robust vitality of fragile subject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background in the painting can be interpreted not only as a spatial element but also as the texture of the flat surface due to the traces of brushstrokes. Thirdly, the flattening of images in my paintings reveals illusionary features. In my works, flowers are depicted in a blooming and unfolding state, while shells are portrayed with their shells open, emphasizing their two-dimensionality. Images are flattened through eliminating their three-dimensionality, shading, and perspective representation, and employing expressive and autonomous brushwork on the simplified shapes. Along with the illusionary elements and compositions within the paintings, the tactile representation through tactile vision and the dynamic brushwork further accentuate the illusionary features of my paintings. I aim to reflect tactile vision on the canvas to portray flowers and shells as illusionary images. Tactile perception occurs not only through physical contact with the skin but also through visual stimuli that evoke sensations of being pricked by sharp forms. Additionally, intentional traces of brushwork and drips are left as evidence, capturing the passage of time during the execution of brushstrokes, encapsulating the moment of full bloom for flowers and shells in my paintings. The representation of tactile vision on the flat surface exhibits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physical distance between the observer and the artwork; the depiction of the subject may appear more realistic from a distance, while the traces of fluid brushwork become more prominent than the representational image within a stone’s cast. The flexible and unrestricted brushwork with leveraging the fluid characteristics of oil painting creates a pure pictorial image through fortuitous interactions such as color blending, overlapping, and paint drips, thereby enhancing the inherent painterly qualities. In early days, I focused on capturing the physical appearance of objects and devoted more consideration to the compositional and conceptual aspects of the painting. However, as I progressed, the act of brushwork became more familiar and integrated with my body, the outer contours of the subjects became more diffuse, and I finally experienced the inherent pleasure of the language of painting on the flat surface. Consequently,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a study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I acquire a more advanced language of painting by engaging in continuous artistic experimentation.;인간이 사물을 감각하고 사유하는 방식은 각자의 신체적 경험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본인은 사물을 감각할 때, 여성으로서의 신체 경험을 투사할 때가 있다. 특히 조개껍데기의 조개 살을 담는 움푹 파인 형태에서는 자궁을, 꽃의 길게 뻗은 암술과 수술 형태에서는 인간의 생식기를 연상했다. 본인은 이 이미지들로부터 유약한 존재임에도 뿜어내는 강한 생명력과 에너지를 느꼈다. 이러한 감상을 바탕으로 작품에서 조개껍데기와 꽃을 의인화의 대상으로 보거나 현실과는 다른 형태로 표현함으로써 박동하는 생명력을 형상화한다. 본인의 작품은 실재에 대한 사실적 재현이 아닌, 구상과 추상의 경계에서 이미지를 모호하게 표현한다. 이를 통해 그려진 대상에 대한 고정적인 해석을 넘어서서 관객이 자유롭게 새로운 의미로 해석 할 수 있는 가능성의 여지를 두고자 한다. 이렇게 화면에 그려진 이미지는 현실의 실재와는 다른, 환영적 속성을 갖게 된다. 본인은 그림에 환영적 속성을 입히기 위해 몇 가지 장치들을 구성했다. 첫째, 프레임 속 그림이라는 장치를 통해, 그림의 공간을 현실과 분리시켰다. 프레임으로 인해 그림이 환영적 속성을 갖는 것이 강조된다. 또한 사각의 프레임 뿐만 아니라 진주조개 외곽 형태를 프레임의 장치로 사용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열어두었다. 둘째, 이미지의 이중성을 통해 환영적인 요소를 부각한다. 본인이 회화에 나타낸 이미지의 이중성에는 이미지가 갖는 의미의 이중성과, 이미지 성격의 이중성이 있다. 의미적 측면에서 이미지 이중성으로 유약한 대상의 강인한 생명력을 들 수 있다. 이미지 성격의 이중성으로는 그림 속 배경이 공간으로 읽힐 수도, 붓질의 흔적으로 인한 평면의 질감으로 읽힐 수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셋째로 이미지를 평면화(平面化) 시킴으로써 본인의 회화가 환영임을 드러낸다. 본인 작품 속 꽃은 만개하여 벌어진 모습으로, 조개는 조갯살을 펼쳐 보인 모습으로, 평면성이 강조되어 그려진다. 이미지의 평면화는 그리는 대상의 입체감이나 명암, 원근법을 제거하고 단순화한 형태 위에, 표현적이고 자율적인 붓질을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림 속 환영적 장치 및 구성들과 함께, 촉각적 시각에 의한 촉각적 표현과 유동적 붓질은 본인 회화의 환영성을 더욱 강조한다. 본인은 꽃과 조개를 환영적 이미지로 표현하기 위해 촉각적 시각을 화면에 반영하려고 한다. 촉각적 감각은 피부에 맞닿음으로써 일어나는 감각 뿐 아니라, 뾰족한 형태를 보고 찔릴 것만 같은 느낌이 드는 것처럼 시각을 통해서도 일어나게 된다. 또한 붓질의 흔적, 흘러내린 흔적도 의도적으로 남김으로써 붓질이 행해졌던 시간, 즉 꽃과 조개가 본인의 회화에서 만개하는 순간을 담았다. 평면 위의 촉각적 시각의 표현은, 관찰자와 작품 간의 물리적 거리에 따라 멀리서는 대상의 재현으로 보이지만, 가까이서는 재현적 이미지보다 유동적인 붓질의 흔적이 보인다. 유화의 유동적 특성을 살린 자유로운 붓질은 우연히 색이 섞이거나 겹쳐지고, 물감이 흘러내리는 과정을 통해 순수한 회화적 이미지를 만든다. 초기에 본인은 사물의 외형을 그리는 데에 집중하고, 그림의 구성적 측면이나 구상적 측면을 더 많이 고민 했다. 그러나 후기로 가면서 붓질이 손에 익고 나의 몸과 일체화 되어가며 외곽은 흐려지고, 평면 위의 회화 자체의 언어를 비로소 느낌에 따른 쾌감을 경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속적인 회화 실험을 통해 본인이 보다 발전된 회화 언어를 습득하게 되는 과정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