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3 Download: 0

윤리적 주체 형성을 위한 현대소설 교육 방안 연구

Title
윤리적 주체 형성을 위한 현대소설 교육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ormation of the Ethical Subject in Novel Education
Authors
임현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Keywords
소설 교육, 윤리적 주체, 서사적 정체성, 타자 지향, 윤리적 감각, 텍스트 의도, 서술 전략, 해석 교육, 포스트식민이론, 사회적 타자, 타자성, 취약성, 저항성, 성석제, 투명인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윤리적 주체 형성을 위한 소설 읽기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자기이해로 향하는 주체의 성찰적 사유 능력의 신뢰로부터 거리를 두고, 타자화되는 이들의 삶에 접근하여 타자성에 반응하는 책임의 형성이 윤리적 주체 형성을 위한 소설 읽기 방법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소설 교육을 통해 사회적 타자와 대면하는 것은 타자성 발생의 계기로 작용하는 삶의 조건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타자의 취약함이 자신을 포함한 인간 공통의 한계일 수 있음을 이해하는 윤리적 책임을 요구한다. 이러한 소설 읽기는 리쾨르의 서사적 정체성 개념이 지닌 본래의 한계를 극복하고 타자 지향의 윤리적 감각을 형성하는 실천적 계기가 된다. 소설 교육의 목표, 그리고 이념과의 정합성 안에서 리쾨르의 서사적 정체성 개념은 그간 소설 교육 연구의 주요한 이론적 토대가 되어왔다. 특히 서사적 정체성 개념과 관련하여 필연적으로 제기되는 성찰적 주체 형성, 자기이해는 소설 텍스트의 수용과 생산을 아우르는 소설 교육 연구의 주요한 지향점이 되어 다양한 학문적 성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성과의 반성적 검토를 통해 서사적 정체성 개념의 한계를 극복하고 가능성을 확장하기 위해 사회적 타자의 타자성에 접근하는 소설 읽기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윤리적 주체 형성을 위한 서사적 정체성 개념을 새로이 하고, 그에 근거한 읽기 방안을 마련하였다. 학습자의 윤리적 감각의 형성이 ‘소설 텍스트를 매개로 하여 자기를 말할 수 없는 타자의 목소리를 듣고, 그에 반응하며 응답할 수 있는 자기성(ipse)을 고양하는 것임’을 밝히고, ‘삼중의 미메시스 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소설 읽기 과정’, ‘사회적 타자를 중심으로 하는 소설 텍스트의 선정’을 윤리적 주체 형성을 위한 소설 읽기의 특성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타자성에 주목하는 포스트식민이론을 차용하여 세부 읽기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재현 의도 해석과 함께 타자성에 반응하는 소설 읽기의 윤리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소설 읽기 방안이 텍스트의 의도 해석을 중시하고, 비판적 태도와 안목을 지닌 주체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소설 교육적 의의를 ‘문학교육의 사회학적 가능역 확장’, ‘소설 해석 교육의 대안’으로 제시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윤리적 주체의 형성은 타자성의 대면으로부터 시작되며 소설 텍스트의 수용 과정에서 윤리적 책임으로서의 읽기가 요청된다. 이때의 윤리적 책임은 재현된 사회적 타자의 타자성에 대한 적극적 반응과 응답을 의미한다. 따라서 윤리적 주체 형성을 위한 소설 읽기는 타자성과 함께 타자성 발생 계기를 이해하고, 재현 의도에 접근하는 읽기 과정을 중요하게 다룬다. 소설 텍스트는 재현 의도에 관한 독자의 윤리적 반응과 응답을 요청하며, 독자는 텍스트가 건넨 물음에 반응하고 저항성과 취약성으로 응답해야 한다. 타자가 처한 삶의 맥락에 취약성으로 응답하고, 타자성에 내재하는 저항성에 관해 평가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는 윤리적 책임 실현과 함께 해석과 감상, 비평으로 이어지는 적극적 소설 읽기 과정을 거치게 된다. Ⅲ장에서는 전술한 읽기 과정을 윤리적 주체 형성의 과정으로 전환하여 텍스트 수용의 양상을 가능한 객관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차이를 중심으로 한 타자 재현 양상의 탐색’, ‘재현 의도의 가정과 검증적 해석’, ‘수용 맥락에 기반한 윤리적 반응과 응답’을 읽기 방식의 큰 틀로 제시하고, 타자성에 밀착하는 세부 읽기 방안에 따라 텍스트 수용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읽기 과정 중 눈여겨보아야 할 것은 ‘수용 맥락에 기반한 윤리적 반응과 응답’이다. 이 과정은 학습자 간 상호조회 이전의 개인적 수용 단계의 마무리라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첫 번째 교육 목표인 ‘타자성 이해와 윤리적 가치 소통의 의미 발견’, 두 번째 목표인 ‘윤리적 대안 모색을 통한 타자 이해의 태도 형성’과 연관되어 교육 내용, 읽기 방안의 설계로 이어진다. Ⅳ장에서는 소설 교육의 설계를 위해 텍스트 수용 과정에서 규명한 결과와 분석 자료 해석을 통해 얻은 변별 지점들을 교육 내용과 읽기 방안으로 도출, 정련하였다. 읽기 목표에 부합하는 소설 읽기 교육의 방안으로 첫째, ‘차이의 발견과 타자성의 탐색’, 둘째, ‘윤리적 가치 소통을 위한 재현 의도 해석’, 셋째, ‘저항성과 취약성에 근거한 윤리적 대안의 모색’을 제안하였다. 교육 설계의 실천성 확보를 위해 교육과정에 준거하여 본 연구가 제안하는 읽기 방안의 위치와 차이점을 가시화하고, 적절성과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교육 목표를 성취기준으로 상정하고, 교육 내용과의 상호 연관 안에서 실천 가능한 소설 읽기 교육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는 소설 텍스트를 매개로 하여 형성되는 학습자의 서사적 정체성이 본래의 지향인 자기이해로부터 거리를 두고 타자성에 접근할 때 타자 지향의 윤리적 감각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윤리적 주체는 자기를 말할 수 없는 타자, 침묵하는 타자에게 다가서는 말 걸기와 듣기의 윤리적 실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읽기 방안의 모색은 ‘타자와 함께하는 삶’을 기획해 나갈 미래의 학습자와 그 삶을 지지하는 소설 교육의 실천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oncept of the narrative identity reflectively and thereupon, arrange some ways to read the novels for the formation of the ethical subject oriented to the other.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pproach the life of those othering, being distanced from the trust of the subject’s reflective thinking ability, and thereby, approach their othered life to ascertain that the formation of the responsibility responding to the otherness may be a way to form learners’ ethical subject. Facing the social others through the novel education requires a critical recognition of the conditions of life acting owing to the occurrence of the otherness as well as an ethical responsibility of understanding that the weakness of the other may be the common limits of the human beings including ‘me’. Such a novel reading would be a practical opportunity to overcome the essential limits of the concept of the narrative identity and form an ethical sense oriented toward others. Meanwhile, Ricoeur’s concept of the narrative identity in terms of the goal of the novel education and mutual consistency has been a major theoretical basis for the novel education. The formation of the reflective subject and the self-comprehension raised particularly regarding the concept of the narrative identity have been the major point of orientation encompassing the reception and production of the novel texts, would lead to diverse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the reflective examination of such achievements, the researcher has confirmed the need of the novel reading education approaching the otherness of the social others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concept of the narrative identity and expand its potential. In the Chapter II, the researcher renews the concept of the narrative identity to form an other-oriented ethical subject, and thereby, arranges the ways to read the novels based on re-conceptualization. Then, the researcher confirms that the formation of the ethical identity means ‘promoting the ipse that can listens to others voices that can seldom talk about themselves by mediating the novel text and can react and respond to them’, and thus,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ovel reading for formation of an ethical identity is ‘selecting a novel text centered about the social others’, ‘reading-process a novel text centered about the triple mimesis’. Moreover, the researcher attempts to borrow the postcolonial theory noting the otherness and thereby, arranges a detail-reading method of interpreting the intention of representation centered about the strategy of description to secure the practicability of novel reading. As such method is oriented toward the formation of a subject armed with the critical attitude and views and the novel-reading interpreting the intention of the text,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nove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would be ‘expansion of the sociological possibility of the novel education’ and ‘an alternative of the novel interpretation education’. The formation of an ethical identity starts with ‘facing the otherness’, an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novel text representing the social others require their reading as an ethical responsibility. The ethical responsibility is a positive reaction or response to the represented otherness of others. Accordingly, the method of reading the novels for the formation of an ethical identity values the reading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otherness an its momentum as well as the reading process of approaching the intention of representation. The novel text asks for reader’s ethical reaction and response to the intention of representation, and therefore, the reader should react to the questions raised by the text, in terms of resistance and vulnerability. Namely, the reader should respond to the context of other’s life in terms of vulnerability, and in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resistance inherent in otherness, the learner or reader would realize his or her ethical responsibility, while positively reading or interpreting,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the novel. In Chapter III, the researcher attempts to convert the reading process discussed above into the process of forming an ethical identity and thereby, suggest the reception of the text objectively as much as possible. To this end, the researcher suggests such large frames of reading as ‘exploration of the representation of others centered about the difference’, ‘assumption and verifiable interpretation of the representing intention’, and ‘evaluation and suggestion of the values based on the contexts of reception’. Then, the researcher examines the receipt of the text according to the detailed reading method focused on otherness. What we should not dismiss in our reading process are ‘assessment and suggestion of a value based on the context of reception’. Such a process may well be the stage of individual reception before ‘inter-learners’ mutual references, followed by designing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reading methods in relation with the above first and second educational goals : ‘understanding otherness and discovering the meaning of ethical value communication’ and ‘forming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others by seeking ethical alternatives’. In Chapter IV, the researcher arranged the results of receiving the texts for designing the novel education and the discriminating points resulting from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tical data and thereby, deduced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reading methods. As the methods of novel reading to practice the reading goals, the researcher suggested (1)discovering of differences and the searching for otherness, (2)Interpreting of the representing intention for ethical value communication, and (3)Seeking ethical alternatives based on resistance and vulnerability.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attempted to visualize the positions and difference s of the reading methods suggested by the researcher in reference to the curriculum and examined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thereof.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assumed the educational goals as criteria for achievements, while purporting to design a practical novel reading education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content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emise that learner's identity formed intermediately by the novel text should distance himself/herself from his/her original orientation or self-understanding to approach the otherness, he/she could form an ethical sense oriented toward others, while being able to overcome his/her limit of critical reflecting centered about himself/herself. The ethical subject could well be formed in his/her ethical responsibility and practice, namely, through other who cannot afford to talk about himself/herself, approaching and speaking/listening to others. Such exploration of reading method could well be evaluated in the lights of the futuristic learners planning‘a life of being together with others’and the pract ice of the novel education supporting such a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