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5 Download: 0

공공병원 간호사의 노인간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노인간호수행에 대한 연구

Title
공공병원 간호사의 노인간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노인간호수행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Public Hospital Nurses’ Knowledge of Geriatric Nursing, Their Attitude toward the Aged People and Their Practices of Geriatric Nursing
Authors
노현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 간호사의 노인간호에 대한 지식,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노인간호수행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대전·충청권 소재의 공공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98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2월 8일부터 4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로는 Dikken 등(2015)이 개발하고 김은지와 이경희(2020)가 한국어로 번역하고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한 노인간호에 대한 지식 측정도구, Sanders 등(1984)이 개발하고 임영신 등(2002)이 번역한 한국판 노인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 김혜은(2009)이 개발한 노인간호수행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IBM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4.11±8.85세 이며, 미혼 대상자는 101명(57.4%), 여성이 161명(91.5%) 이었다. 대상자의 현 근무부서는 외과계 병동 104명(59.1%), 내과계 병동 51명(29%), 중환자실 21명(11.9%) 순이었고, 임상경력은 평균 9.99±8.96년이었다. 일반간호사가 166명(94.3%), 책임간호사가 10명(5.7%)이었으며,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123명(69.9%)이었다. 2. 대상자의 노인간호에 대한 지식은 총 30점 만점에 평균 21.12±2.37점, 노인에 대한 태도는 140점 만점에 86.56±16.62점, 노인간호수행은 265점 만점에 216.36±26.63점이었다. 3. 노인간호에 대한 지식은 병동 내 역할(t=-2.498, p=.02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책임 간호사 대상자가 일반 간호사 대상자보다 노인간호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노인에 대한 태도는 결혼여부(t=2.256, p=.025), 노인 자원봉사 경험 유무(t=-2.058, p=.04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미혼 대상자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기혼 대상자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노인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노인간호수행은 현 근무부서(F=4.985,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현 근무부서에 대한 Scheffe 사후 검정 결과 내과계 병동이 외과계 병동보다 노인간호수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간호수행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189, p=.012)로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노인간호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 노인에 대한 태도(β=-.154, p=.040)가 긍정적이고, 현 근무부서가 내과계 병동(β=.188, p=.014)인 경우 노인간호수행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설명력은 5.8%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노인간호에 대한 지식은 책임간호사에게 높게 나타났고, 노인에 대한 태도는 미혼 대상자인 경우, 노인 자원봉사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인간호수행은 내과계 병동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간호수행을 높이기 위해 노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고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함양에 중점을 둔 노인간호 관련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e descriptive study was to examine public hospital nurse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in geriatric nursing.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198 nurses working for the public hospitals in Daejeon and Chungcheong regions.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IBM SPSS 29.0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Subjects’ knowledge in geriatric nursing scored 21.12±2.37 on the 30-point scale on average, their attitude in geriatric nursing 86.56±16.62 on the 140-point scale and their practices in geriatric nursing scored 216.36±26.63 on the 265-point scale on average. 2. Subjects’ practices in geriatric nursing differed significantly (F=4.985, p=.008) depending on their departments. Those nurses working for the internal medicine ward were found to practice better in geriatric nursing.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subject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n geriatric nursing, it was found that their attitude was negative correlated (r=-.189, p=.012) with their practice. Namely, the lower their attitude was, they practice in geriatric nursing was higher. 4.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s’ practice in geriatric nursing were internal medicine ward (β=.188, p=.014), and their attitude toward the elderly (β=-.154, p=.040). The explanatory power of such factors was 5.8%.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subjects’ practice in geriatric nursing was higher at the internal medicine ward than the surgical ward. On the other hand, the more positive their attitude toward the elderly, their practice in geriatric nursing was higher. Besides, the subjects who were not married and those who had experienced a volunteer service for the elderly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t was perceived that in order to enhance nurses’ practice in geriatric nursing, nurses should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and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therefore, it was also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geriatric nursing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s deemed significant in that it sampled the public hospital nurses, and therefore, it is percei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we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he geriatric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public hospital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