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9 Download: 0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주요 비주거용 건물 용도별 온실가스 배출량 특성 분석

Title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주요 비주거용 건물 용도별 온실가스 배출량 특성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Greenhouse Gas Emission Characteristics by Major Use of Non-residential Buildings i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uthors
강서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도시시스템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승영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건물 용도별 온실가스 배출량 특성을 분석하였다. 세계적인 관심 속에서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은 커지고 있다. 이에 맞추어 실제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 산정, 역추산 하는 등 많은 분야의 다양한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인간 활동과 관련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특징적인 주요 건물 용도별로 나누어진 건물에서의 온실가스 배출의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로, 국가적으로도 지역별이나 격자 단위로 다양한 산정 및 온실가스 실제 관측을 통한 연구에도 관심을 기울이는바, 지속적으로 더욱 고도화되고 정확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근 비주거용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에 대한 중요도가 올라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미흡했던 주요 비주거용 건물의 용도와 지역별 상세 분석이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주요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통해 지자체 및 권역별 온실가스 저감방안의 개선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자체별 온실가스 배출 특성에 따른 행정 주체별 맞춤형 제안을 통하여 온실가스 감축 국가 목표 달성과 향후 관련 정책 수립에 도움을 줄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역별 특성과 비주거용 건물의 용도별 에너지 사용의 특성을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기 위해, 기본적인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로써 국토교통부와 한국부동산원의 건물에너지소비량통계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지역별, 용도별 건물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의 고찰을 통해서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국제 가이드라인 및 국가 가이드라인을 조사하고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한 적절한 산정방법 및 국가 기준 지표를 조사하는 작업을 진행하였고,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방법론으로는 IPCC 가이드라인에 따른 환경부 지침을 기준으로 배출계수를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건물 용도별 에너지 소비량 비교에서는 상점을 제외한 나머지 6종의 건물 용도별 값에서 수도권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에서 종합병원이 가장 높은 에너지 소비량 원단위 값으로 분석되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건물 용도별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에서는 상점을 제외한 6종의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값에서 수도권의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값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합병원이 가장 높은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값으로 산출되었다. 에너지 소비량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으로의 환산시 비율 변화율에서는 전체적으로 상점을 제외한 다른 6종의 주요 건물 용도별 원단위 비율이 비수도권보다 수도권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가장 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에너지 소비량 원단위 비율의 차이를 보인 용도별은 여관으로 18.6%로 높은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비율의 차이를 보인 용도별은 종합병원과 대학교로 14.8%였다. 종합 비교에서는 주요 비주거용 건물의 에너지 소비량 원단위와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모두 상점을 제외한 나머지 6종의 용도군에서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자체별 온실가스 배출 특성 분석에 따른 개선방안과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과 용도별 분석을 통해 지역별 온실가스 특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으며, 인구의 과밀화로 인한 에너지 집중사용을 지양하여 온실가스 배출계수가 높은 에너지원인 전력의 수요를 줄이는 방안과 지역적 특성에 따른 특정 에너지원의 소비 수요를 개선하는 방법들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하나의 지역단위 분석 및 권역별 개선방안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주요 특이사항을 가진 행정 주체별 맞춤형 제안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국가 목표 달성과 정책 수립의 참고자료로써 일조할 것을 기대해 본다.;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ccording to the major use of non-residential buildings i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in South Korea were studied by analyzing building energy consumption by region. Amid global concerns, efforts are constantly increasing to mitigate greenhouse gas emissions that contribute to climate change. Correspondingly, many fields are discussing various methods to mitigate GHGs, such as the measurement, estimation, and back-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buildings categorized by building type i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 eas in Korea associated with human activities. There is national interest in research on regional or grid-based calculations and actual observation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erefore, there is a continuous need for accurate, advanced research to reduce greenhouse gases. Considering the growing significance of analyz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non-residential buildings, which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purpos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se buildings. By identifying key issues and suggesting potential improvements, the objective was to provide tailored recommendations to local authorities and governing bodies based on the distinctive greenhouse gas emission characteristics of each administrative region.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help achieve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an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policie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nergy usage according to regional profiles and usage types in non-residential buildings, this study used the building energy consumption statistic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Korea Real Estate Research Institut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 calculated based on energy consumption data to understand the impact of greenhouse gas emissions on climate change according to the emissions levels in buildings categorized by region and usage.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bout 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this research investigated international and national guidelines for calcul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hich are one of the crucial factors in the analysis of emissions. Additionally, the study explored appropriate calculation methods and national benchmark indicators for estim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emission factors were determined and applied based on guidelines provided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methodology for calcul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he comparis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regarding building usage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in South Korea, it was observed that metropolitan areas had higher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erms of the absolute values of six building usage types, excluding shops. General hospitals were identified as having the highest greenhouse gas emissions. In terms of the conversion rate from energy consumption to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overall percentage change in the unit ratio of the six major building usage types, excluding shops, showed higher values in metropolitan areas compared to non-metropolitan areas. Among the usage types, accommodations exhibited the largest difference in the energy consumption unit ratio, at 18.6% higher in metropolitan areas. As for the unit ratio of greenhouse gas emissions,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ies illustrated a difference of 14.8%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In the comprehensive comparison, both the energy consumption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unit ratios of major non-residential buildings, excluding shops, were higher in metropolitan areas compared to non-metropolitan areas across the six usage categori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drawbacks based on an analysis of local governments' greenhouse gas emissions characteristics and an improvement plan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Ultimate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usage patterns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revealing regional variation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study proposed strategies such as avoiding energy-intensive usage due to population density, reducing the demand for electricity, which is a high-emission energy source, and improving the consumption demand for specific energy sources based on regional characteristic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analyzing greenhouse gas reductions at the local level and developing improvement plans for the administrative bodies within each reg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as reference material for achieving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s and formulating policies through tailored proposals for key stakeholder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도시시스템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