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1 Download: 0

The Impact of Public Open Spaces on Physical Activity Levels of Young Adults

Title
The Impact of Public Open Spaces on Physical Activity Levels of Young Adults
Other Titles
젊은 성인들의 신체 활동 수준에 대한 공공 오픈스페이스의 영향: 브라질 벨루 오리존티시를 중심으로
Authors
Rodrigues Galvao, Brenda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다은
Abstract
This study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is to infer the role that public open spaces (POS) have in physical activity through a quantitative analysis of exercise habits of 18–29-year-old residents of the center-south region of Belo Horizonte City. This was possible by assessing the type of physical activity, duration and frequency and inferring both whether POS had a contribution and in what propor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infer which features of the public open spa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sidents' physical activity levels. To do so, they have been aske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different attributes for each of the three chosen POS types (parks, squares with exercise equipment and bicycle paths). Public open spaces have many roles within the functioning of the city. First, POS contributes to the preservation of fauna and flora. And by maintaining a variety of species, they also become more attractive for public use. Second, larger POS, when strategically placed, can improve economically the surrounding area. By attracting users, retail shops and restaurants can also benefit from it. Third, and most significant, they provide resting areas for residents. The POS becomes a place for meeting, for playing, and luckily, for staying. Accordingly, it is by promoting leisure space that POS can help to tackle inactivity among residents. There are abundant studies worldwide exploring the associations between POS environmental features and levels of physical activity (PA), since inactivity has been considered an enhancer of the non-communicable diseases, of which incidence has been increasing over the years. Therefore,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public open spaces in promoting health and well-being is the first step to promote a positive impact on physical activity levels, mental health, and social cohesion. In summa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several important insights, as follows. Firstly, POS do not provide favorable conditions for their use by the residents. Field observation has demonstrated that public open spaces (POS) fall short in terms of security, provision of attractions (playgrounds and courts), and basic facilities such as restrooms and drinking fountains. The dissatisfaction with courts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PA levels in both parks and squares when comparing the inactive group to the sufficiently active group. Similarly, dissatisfaction with essential facilities in squares promoted the same effect. This suggests that residents perceive courts and essential facilities as crucial elements of POS, and their absence may discourage usage. Therefore, providing those spaces can encourage young adults to utilize squares and parks, thereby improving their PA levels. Secondly, the inadequate accessibility to POS exacerbates the prevalence of physical inactivity. Consistent with global findings, over one-third of the individuals did not meet the recommended weekly quota of physical activity (WHO, 2022). Approximately 28% of individuals exhibit inactive behaviors, while 9.9% were insufficiently active. The utilization of POS has shown a strong association with increased physical activity levels. Additionally, half of the non-users attributed their non-usage to the lack of accessibility. Among the non-users, the inactive segment constituted nearly half of the overall inactive group. Distanc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comparing insufficiently active and sufficiently active groups in parks. Therefore, addressing the accessibility issue in POS has the capacity to substantially enhance the overall weekly physical activity levels of almost half of the inactive and insufficiently active residents. Thirdly, enhancing safety-related features of POS can also improve physical activity levels among the insufficiently active population. Those individuals frequently cited concerns about safety from criminality as the primary reason for not utilizing POS. This association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oth parks and squares in regression analysis. Consequently, addressing safety-related issues could prove instrumental in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levels among the insufficiently active, enabling their transition to an active lifestyle. Fourthly, residents' expectations regarding POS differed across different types of spaces. Although parks had not exhibited the highest percentage of favorable conditions during field observation, overall satisfaction with parks surpassed that of other POS. Interestingly, bicycle paths, which had been perceived to have fewer issues, were deemed the most unsatisfactory by residents. This discrepancy indicates that residents' expectations regarding bicycle path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researchers. This disparity between planners' and users' preferences underscores the importance for authorities and scholars to continue exploring residents' perceptions of POS environment in Belo Horizonte City. This study suggests a few recommendations based on its findings. Firstly, to enhance residents' perception of safety in bicycle lanes, it is recommended to change the physical barrier type and control vehicle speed. Furthermore, considering the distance from home as a crucial factor, determining a reasonable distance to public spaces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physical activity. Addressing residents' safety concerns by installing CCTVs and improving illumination is recommended. Lastly, creating dog-friendly features in public spaces can attract pet owners and contribute to physical activity engagemen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irst, as the questionnaire was applied via online due to the distance, possible clusters could not be detected. Second, there was a restriction while accounting the total amount of physical activity. There was no record on movement for commuting, for example. Thus, the use of a wearable accelerometer will make future studies more precise when measuring the total amount of PA. This study provided valuable insights in several aspects. Firstly, it represents the pioneering attemp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eatures of various types of public open spaces (POS) in Belo Horizonte City and residents' levels of physical activity. Moreover, unlike previous studies conducted in the city, this research incorporates a parallel and complementary investigation. This approach is significant as it allows for a comparison between planners' and users' expectations, shedding light on critical differences. Overall,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considering both the quality and accessibility factors in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POS to ensure inclusivity and maximize their potential benefits for the population. Additionally, it is worth noting that this study fills a gap in the literature as it focuses on the population aged between 18 and 29 years old, revealing patterns of use and satisfaction, and providing insights into the preferred POS for practicing physical activity, which, in this case, were found to be parks. outcomes of this study carry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researchers, as they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POS in urban environments, with the aim of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nd meeting residents' expectations effectively.;본 연구는 두 가지 주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벨루 오리존티시의 중남부 지역에 거주하는 18-29세 주민의 운동 습관 양적 분석을 통해 공공 오픈스페이스(POS)이 신체 활동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추론하는 것이다. 신체 활동의 유형, 지속 시간 및 빈도를 평가하여 총 신체 활동량을 계산하고 POS가 기여하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목적은 공공 오픈스페이스의 어떤 특징이 주민들의 신체 활동 수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추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민들에게 세 가지 선택된 POS(공원, 운동 기구가 있는 광장 및 자전거 도로) 각각에 대한 다양한 속성에 대한 만족도 수준을 조사했다. 공공 오픈스페이스는 도시의 기능 내에서 다양한 역할을 한다. 첫째로, POS는 야생 동물과 식물의 보존에 기여한다. 다양한 종을 유지함으로써 공공 사용을 위해 더욱 매력적인 곳이 된다. 둘째로, 전략적으로 배치된 큰 POS는 주변 지역의 경제적인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사용자를 유치함으로써 소매점과 음식점도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셋째로, POS는 주민들에게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POS는 만남의 장소가 되고, 놀이와 휴식을 위한 장소가 되며, 다행히도 머물 수 있는 장소가 된다. 따라서, POS가 여가 공간을 촉진함으로써 주민들의 비활동에 대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POS 환경과 신체 활동 수준 사이의 관련성을 탐구한 다양한 연구가 있으며, 비활동은 최근 몇 년간 증가해온 비전염성 질병의 촉진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따라서 공공 오픈스페이스가 건강과 웰빙을 촉진하는 데 어떤 의미가 있는지 탐구하는 것은 신체 활동 수준, 정신 건강 및 사회적 결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다. 요약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몇 가지 중요한 통찰력을 제시한다. 첫째, POS는 주민들에게 이용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지 않는다. 현장 관찰은 공공 오픈스페이스(POS)가 안전, 놀이터, 운동장과 같은 시설의 제공, 화장실 및 물 마시는 분수와 같은 기본 시설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음을 보여준다. 운동장에 대한 불만은 비활동적인 그룹과 충분히 활동적인 그룹 간의 공원과 광장에서 신체 활동 수준과 유의한 양의 관련성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광장에서 필수 시설에 대한 불만은 같은 효과를 유발했다. 이는 주민들이 코트와 필수 시설을 POS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며, 이러한 요소의 부재가 이용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젊은 성인들이 광장과 공원을 이용하고 그들의 PA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POS의 접근성 부족은 비활동성의 발생가능을 더욱 심화시킨다. 전 세계적인 연구 결과와 일치하여 적어도 삼분의 일 이상의 개인이 권장되는 주간 신체 활동량을 충족시키지 못했다 (WHO, 2022). 약 28%의 개인이 비활동적인 행동을 나타내고, 9.9%는 충분히 활동적이지 않았다. POS의 이용은 신체 활동 수준의 증가와 강력한 관련이 있다. 또한, 비이용자의 절반은 접근성 부족을 원인으로 언급했다. 비이용자 중 비활동적인 그룹은 전체 비활동적인 그룹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공원에서 충분히 활동적인 그룹과 충분히 활동적이지 않은 그룹을 비교할 때, 거리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POS의 접근성 문제에 대처하는 것은 비활동적이거나 충분히 활동적이지 않은 거의 절반의 주민들의 주간 신체 활동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셋째, POS의 안전 관련 기능을 강화하는 것은 충분하기 않게 활동하는 인구의 신체 활동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들 개인들은 일반적으로 범죄에 대한 안전 우려를 POS를 활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로 언급한다. 이 관련성은 회귀 분석에서 공원과 광장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태로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안전과 관련된 문제에 대처함으로써 불충분하게 활동하는 인구의 신체 활동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이 능동적인 생활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넷째, POS에 대한 주민들의 기대는 POS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다. 실지 조사에 따르면 공원은 가장 좋은 조건의 비율을 보여주지는 않지만, 전반적으로 공원에 대한 만족도는 다른 POS보다 높았다. 또한, 흥미로운 점은 문제가 적다고 여겨졌던 자전거 도로가 주민들에게 가장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주민들이 자전거 도로에 대한 기대치가 다른 POS보다 높으며, 연구자의 기대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발표한다. 첫째, 자전거 도로에서 주민들의 안전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물리적 장애물 유형의 변경과 차량 속도 제어를 권장한다. 또한, 집으로부터의 거리를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여 공공 오픈스페이스까지의 합리적인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신체 활동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CCTV 카메라 설치와 조명 개선을 통해 주민들의 안전 우려에 대응하는 것이 권장된다. 마지막으로, 공공 오픈스페이스에서 반려동물을 위한 편의 시설을 마련함으로써 반려동물 주인들을 유치하고 신체 활동 참여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에는 설문 조사의 적용 방법과 주간 총 신체 활동량 계산 시 고려한 이동 제한과 같은 일부 한계가 있다. 첫째로, 설문 조사는 거리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되어 가능한 군집을 감지하지 못했다. 둘째로, 총 신체 활동량을 계산할 때 이동에 대한 기록이 없었다. 예를 들어 출퇴근에 대한 이동에 대한 기록이 없었다. 따라서 앞서 제안한 대로 휴대용 가속도계의 사용은 총 신체 활동량 측정을 더 정밀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여러 측면에서 가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한다. 첫째로, 벨루 오리존티시의 다양한 유형의 POS의 환경 속성과 주민들의 신체 활동 수준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최초의 시도를 보여준다. 게다가, 이번 연구는 이전에 시에서 수행된 연구와 달리 병렬적이고 보완적인 조사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접근 방식은 기획자와 사용자의 기대 사이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중요한 차이를 밝혀내는 데 중요한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는 공공 공간의 디자인과 관리에서 품질과 접근성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포용성을 보장하고 인구에게 잠재적인 이점을 극대화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이 연구는 18세에서 29세까지의 연령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 연령대의 주민들의 사용 및 만족도 패턴을 밝혀주며 신체 활동을 실천하기 위해 선호하는 POS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문헌에서의 공백을 메우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책 결정자와 연구자들에게 가치 있는 함의를 가지며, 도시 환경에서 POS를 향상시킴으로써 신체 활동을 촉진하고 주민들의 기대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는 데 기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