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1 Download: 0

길 분절에 따른 공간 식별도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길 분절에 따른 공간 식별도 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atial Recognition Analysis According to Path Segments: Focused on the method and limitations of Application of Enclosing Balance Theory to the perception and analysis of urbanspace
Authors
LI, JUE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재신
Abstract
도시 및 건축 공간조직을 연구할 때 다양한 분석방식이 사용되기는 하지만,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은 공간조직에 대한 묘사를 위해 사용하는 가장 흔한 방법이다. 공간구문론은 도시 및 건축평면 분석에서 각 단위공간의 연결관계를 기초로 각 단위공간의 특성을 수치화하여 분석하는 공간분석방법론이다.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도시 및 건축공간을 노드(node)와 패스(path)로 설정해야 한다. 즉 분석을 위해 도시 및 건축의 전체 평면을 우선 일련의 단위공간으로 분리하여 한다는 것이다. 현재 공간구문론에서 단위공간을 설정하는 방식에는 주로 볼록공간(convex space)과 축선공간(axial space)에 의한 두 가지 방식이 있다. 볼록공간 방식은 공간 내 어느 지점에서나 시각적으로 직선적으로 소통이 가능한 볼록공간을 기본단위로 분절한다. 주로 내부공간의 분석에 사용된다. 축선공간 방식은 공간에서 직선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의 최장거리를 기준으로 하고 외부공간 특히 도시 공간조직의 분석에 많이 사용된다. 이 두 가지 분석 방식은 출입과 소통의 각도에서 시지각적인 요소를 분절의 근거로 하고 있다. 즉 직선적인 시각의 소통이 가능한 영역은 그 내부의 모든 점이 동질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위공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가정이다. 그러나 공간구문론은 계량적 분석방식이며 따라서 이러한 분석방식에는 문제도 존재하고 있다. 각 단위공간은 형상에 관계없이 단순화되고 도식화되어 있으며, 공간은 크거나 작거나 단위공간으로서의 조건만 맞으면 동일하게 취급된다. 본 연구에서 공간구문론은 도시 네트워크 연결망에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의 개선하는 방안으로 포위평형 이론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본다. 포위평형의 장(Field of Enclosing Balance)은 건축 평면에서 공간을 형상화하여 시지각 가능한 전경으로 표현하는 이론이다.[1) 윤재신, 건축평면에서 공간의 시지각적 화상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998.14(5)]1) 포위평형이란 건축 평면의 한 지점에서 그 주위를 둘러싸는 가상의 벽면을 바라볼 때 편향경사(directional inclination)를 지각하게 된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으며, 편향경사는 주위 벽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전체 공간의 형상이 관찰자가 서 있는 시점을 중심으로 완전한 점대칭을 이루고 있지 않으면 공간의 형상에 따라 관찰자가 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심리적 경험을 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에서 공간 속의 모든 지점은 0-1 사이의 포위평형(Enclosing Balance)값을 가지고 이 값은 그 점에서 주변 벽면까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함수의 적분으로 계산된다. 이 공식을 근거로 공간에서의 편향경사 절대값을 산출하고 그 점들을 연결하여 등고선 형태와 흡사한 장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내심부에 닫힌 여러가지 형태의 분지가 생기면서 하나의 독립공간을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을 근거로 도시 네트워크 연결망의 분석에 적용해보았다. FEB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자형 교차로에 대한 분석에서 공간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원소 공간(primitive space), 낱개 공간(element space), 영역 공간(domain spac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울에 현존하는 다른 도시형태(그리드형, 가지형, 혼합형)가 가지고 있는 세 개 작은 지역(압구정동, 인사동, 명동)를 연구대상으로 포위평형에 의하여 자연분절된 단위공간들의 연결방식 결과와 기존의 축선공간 분절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그 특성을 확인하고 적용가능성과 장단점을 분석해 보았다.;The most basic methodology for describing urban spatial organizations is space syntax.However, there is a limit to using only space syntax to explore the connection of urban street spaces. At this time, another possible way is needed. The method of connecting space through Enclosing Balance is well expressed. However, the connection in this program is space contact connection, where as the connection recognized in the direct human view is space string connection. So in preparation for these two connections,we need to find out how they are relat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