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1 Download: 0

서사적 탐색을 통한 자아 표현 연구

Title
서사적 탐색을 통한 자아 표현 연구
Other Titles
Exploration of Self-Expression Through Narrative Inquiry : Focusing on My Painting Works
Authors
황차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Keywords
서사적 탐색, 자아, 표현, 회화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광호
Abstract
This study narrates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self inherent in my painting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artistic works and the inner world of the creator. It analyzes my painting works as narrative elements, focusing on ‘themes and contents’and ‘pictorial expressions’. Themes and contents provide the motivation for the work, while pictorial expression refers to the process where the creator's physical action and materiality merge to create the work. While creation is a conscious act, the resulting paintings encompass the realm of the unconscious, which is revealed through elements such as color, the properties of paint, and traces of brushwork. This analysis provides significant clues in exploring the identity of the inner self. The concept of ‘ego’ refers to the recognition of one's own existence, encompassing both physical and mental aspects. This recognition constantly intervenes throughout the creative process, and the creation of the artwork continually experiences the influence of this ‘ego’, from its motivation to completion. Simultaneously, creators are influenced by the artwork through their immersive experience during the creative process, and this influence is reflected back onto the artwork. Thus, the work and the creator form a close correlation. This study contains the process of exploring visual expression based on the changes in my inner self-identity. It unfolds in three stages: ‘Space of Emptiness – Object of Projection – Sensory Body’. Each section attempts to understand the inner state by analyzing the features of themes and pictorial expressions from various angles. In the first section, space is discussed. Space plays a crucial role in forming individual identity, and I examine my personal space, ‘Space of Emptines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pace using Edward Relph's concept of ‘non-places’. It also mentions the similarity of the creative motivation and meaning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works of Rachel Whiteread and my own. Overall, space is depicted in white, explained through the theory of white cube. I ascertain the intent and purpose of excluding color through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s with Yayoi Kusama's work, which explores existence and color. The second section discusses projected objects. Perceiving emotions and assigning meaning to certain subjects can be seen as an act of projecting the self. Reflection on objects begins from the representation of memory, and the works of Daniel Spoerri, an artist who expresses existence through traces of everyday life, are examined from a social aspect. Following that, I intricately narrate the feelings towards discarded objects and interpret the cause from a social perspective. The last section discusses the body. I introduce the concept of the sensory body, using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s a theoretical basis for understanding. I analyze the theories of narcissism by Freud and Lacan from the perspective of self-recognition through Caravaggio's medium. I then mention the technique of erasing as part of the expression process and explain it in conne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I identify differences with Gerhard Richter's works that employ similar approaches. The point of embodying the sensation of losing time and space is interpreted as pictorial immersion and the body is mentioned as its medium. I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extended body through the works of Francis Bacon.;본 논문은 예술 작품과 창작자의 내면세계 간의 연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인의 회화 작업을 서사적 요소로 분석하고 작품에 내재 된 자아를 탐구하는 과정을 서술한 연구이다. 본 논문에서는 작품의 서사적 구성요소로 ‘작품의 소재’그리고 ‘회화 표현’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작품의 소재는 창작의 동기를 제공하고 주제와 내용을 형성하며, 회화 표현은 작가의 신체적 행위와 물성이 융합하여 창조된다. 창작은 의식적 행위이지만, 그 결과로서의 회화 작품은 무의식의 영역까지 포함한다. 이는 색채, 물감의 물성, 붓질의 흔적 등의 특징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분석은 내면의 자아 정체성을 탐구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자아’라는 개념은 자신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의미하며, 신체적, 정신적 측면을 모두 포함한다. 이 인식은 작업의 동기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창작 과정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개입된다. 동시에, 작가는 창작 과정에서 몰입의 경험을 통해 작품 세계로부터 내면에 영향을 받게 되고, 이는 다시 작품에 반영된다. 즉, 작업과 작가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형성한다. 본 논문은 본인 내면의 자아 정체성의 변화를 기반으로 시각적 표현을 탐색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본문은 ‘공허의 공간 – 내적 사유가 투영된 사물 – 감각적 신체’의 세 단계로 전개된다. 각 장에서는 소재와 회화적 표현의 특징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며, 내면의 상태를 이해하려 노력한다. 본문 첫 번째 장에서는 공간에 대해 다룬다. 공간은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대 공간의 특징을 에드워드 렐프의 ‘비장소성’ 개념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허의 공간으로 명명되는 본인의 개인적 공간을 살펴본다. 그리고 레이첼 화이트리드의 작업과 본인의 작품을 비교해 보며 창작 동기와 의미의 유사성을 언급한다. 전체적으로 공간은 백색으로 묘사되는데, 그 사유에 대해 화이트 큐브 이론을 통해 설명한다. 존재와 색채를 탐구하는 쿠사마 야요이와 본인의 작품은 방법론적 차이를 통해 색채 배제의 의도와 목적을 파악한다. 본문 두 번째 장에서는 내적 사유가 투영된 사물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정 대상에 감정을 느끼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자아를 투영하는 행위라고 생각한다. 사물에 대한 고찰은 기억의 표상에서 시작되며, 일상의 흔적을 통해 존재를 표현하는 작가인 다니엘 스포에리의 작품을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버려진 것들에 대한 감정을 세밀하게 서술하고 그 원인을 사회적 측면에서 해석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신체에 대해 다룬다. 감각적 신체의 개념을 제시하며, 이를 이해하는 데 있어 메를로 퐁티가 주장한 지각의 현상학을 이론적 기반으로 삼는다. 또한, 카라바조의 작품을 통해 프로이트와 라캉의 나르시시즘 이론을 자아 인식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어서, 표현의 과정으로서 지우기 기법을 언급하고 이를 주제의 특성과 연결하여 설명한다. 유사한 접근법을 사용한 게르하르트 리히터의 작품을 보며, 본인과의 차이점을 도출한다. 다음으로, 시공간을 상실한 감각을 체화하는 지점을 회화적 몰입으로 해석하고 그 매개로서 신체를 언급한다. 그리고 프란시스 베이컨의 작품을 통해 확장된 신체 개념을 이해해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징적 소재와 표현의 흐름을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자아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는 주체의 정체성을 성립시키고 이를 인지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또한, 자아에 대한 심층적 분석은 작업의 일환으로서 앞으로의 창작 활동과 작가로의 삶에 있어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