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3 Download: 0

음식문화로 본 도교 양생철학에 대한 일고찰

Title
음식문화로 본 도교 양생철학에 대한 일고찰
Authors
Yang, Juan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상호
Abstract
양생사상은 동아시아 음식과 건강의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동아시아의 전통철학인 양생사상은 인간이 신체의 건강을 얻는 방법으로 무엇을 제시하였을까? 중국 역사에서 도교는 오랜 시간의 발전 과정을 거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사상체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도교는 그 신비주의적 성격 때문에 외부로 잘 알려지지 않았고, 유교와 불교에 비해서 그다지 학문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도교의 사상이 음식과 건강의 문화에서 갖는 의미는 적지 않고, 조선 후기에도 많은 학자들이 도교 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이 분야로 총서류를 남기도 하였다. 본고의 목적은 동아시아의 역사와 전통사상에서 두각을 나타낸 도교의 양생 이론, 사상가, 그리고 그들의 방법론을 정리하고 그 대략적인 윤곽을 살피는 것이다. 도교의 양생 사상이 전파된 사례로서 조선 후기 양생사상의 특징도 아울러 고찰할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가족 이념의 정착과 확산을 토대로 삶의 현실적 모습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이에 성리학의 의리와 윤리에 가려져 있던 양생의 가치가 새삼 주목을 받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도교양생법에 대한 현대인의 인식을 바로 하고 지금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도교의 음식 양생 철학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필자는 전통 도교 서적을 통해서 음식 양생 철학을 소개하고 싶다. 왜냐하면 도교는 수천년의 발전과 실천을 거쳐 역사 경험이 풍부한 양생 사상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전통적 양생사상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사회 사람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싶다. 특히 필자는 동아시아 도교의 음식 및 양생 문화를 6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려고 한다. 각기 다른 시기의 6권의 저서를 사용하였다. 먼저 장자로 대표되는 도교 사상가들은 양생을 수행으로 여겼다. 사람의 생명은 짧지만 지식은 무궁무진하다고 여겼다. 장자는 수행자가 장생을 추구할 때 음식뿐만 아니라 자신의 마음의 평온을 추구해야 장생을 이룰 수 있다고 여겼다. 둘째, 동한 태평경에서는 중인귀생의 양생 철학사상을 제시하였다. 이는 인간의 생명이 천지와 똑같이 중요한다는 사상이다. 그래서 양생과 오장, 음식의 철학 등 장수를 실현할 수 있는 일련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즉, 오장의 건강 여부는 음식이 깨끗한지, 오장의 운행에 적합한지에 달려 있다. 셋째, 남조 양성연명록은 무병장수와 관련된 많은 금기사항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특정한 식이요법을 통한 양생의 실현을 주장하였다. 그 중 도교양생들은 실천적 식이요법을 통해 금기의 합리성을 증명하였다. 넷째, 한나라의 황제내경은 약식동원론을 제시하고 초기 도교의 양생철학을 반영하였다. 초기 도교는 약물을 복용함으로써 불로장생을 추구하였기에 광석, 금은 등의 유해물질을 포함하였다. 하지만, 수천 년의 실천을 거쳐 서서히 음식으로 약을 대체하고, 음식은 음양의 변화에 부합해야 하며, 오장이 무취와 상응하게 정확하고 합리적인 식사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다섯째, 당나라 천금방은 식이요법을 제시하여 식이요법을 통해 인체의 보양을 실현하고 약물을 복용하여 신체 질환을 치료하였다. 식이요법을 통해 인체의 사기를 배출하여 인체의 혈액 순환을 정상적으로 실현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조선후기 규합총서로 대표되는 음식양생책을 통해 이 책의 저자인 빙허각 이씨가 도교와 인연이 깊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책에는 음식금기에 관한 내용이 황제내경이나 천금방과 유사점이 많다. 이 책 역시 음식양생을 중시하여 조선후기 생활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를 통해서 이 글은 전통 도교 사상과 동아시아 음식 문화의 관계를 밝히고자 있다. ;本研究旨在了解東亞道教飲食養生思想。在這裏我想通過傳統道教書籍來介紹飲食養生思想,因為道教經過幾千年的發展與實踐,形成了歷史經驗豐富的養生思想。我認為現代養生思想的關注點有很多脫離傳統社會的經驗,所以筆者想借助傳統道教的養生思想給現代社會提供一些思考。 筆者將東亞道教飲食養生文化分為六個方面進行分析,分別用六本不同時期的著作作為各個時期的依據。 首先,最初以莊子為代表的道教思想家認為養生是一種修行,人的一生雖然短暫,但是知識是無窮的,莊子認為修行者追求長生不僅僅要注意飲食養生,還要具備關心這個世界的態度和追求自己內心的平靜,這樣才能實現長生。第二,東漢『太平經』中提出“重人貴生”的思想,認為人的生命同天地一樣重要,所以提出了養生和五臟、飲食的哲學等可以實現長壽的一系列觀點,即:五臟的健康與否取決於飲食是否乾淨,是否符合五臟的運行。第三,南朝『養性延命錄』提出很多與健康長壽有關的飲食禁忌,主張通過特定的飲食方法實現養生,其中道教養生者親自通過飲食節制進一步證明了飲食禁忌的合理性。第四,漢代『黃帝內經』的藥食同源思想反映了早起道教養生哲學,早起道教追求長生是通過服食藥物,包括礦石,金銀等有害物質,但經過幾千年的實踐慢慢用飲食取代服藥,主張飲食要符合陰陽變化,五臟與無味相對應,正確合理飲食就可以達到養生的目的。第五,唐代『千金方』提出食餌療法,通過飲食實現人身體的保養,通過服食藥物治療身體疾病,通過飲食排出身體內的邪氣,從而實現人體血液的正常循環,最後達到養生長壽的目的。第六,筆者通過以朝鮮後期『閨閤叢書』為代表的飲食養生書籍,發現該書的作者憑虛閣李氏與道教有非常深的淵源,該書中有許多關於飲食禁忌的內容與『黃帝內經』和『千金方』有相似之處,該書同樣注重飲食養生,是研究朝鮮後期生活文化的重要資料。總之,本文揭示了傳統道教思想與東亞飲食文化的關係。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동아시아학연구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