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4 Download: 0

가변성과 상호관계성의 시각화 연구

Title
가변성과 상호관계성의 시각화 연구
Other Titles
A Visualization study of Variability and Correlation: Focusing on process art
Authors
성시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인
Abstract
본 연구는 물질 생성의 개념과 힘의 생성 원리를 활용한 조형 작품 시각화 연구이다. 테오 얀센의 시리즈의 조형 작품에서 기계 구조 원리를 관찰하며 ‘과정’에 대한 용어를 인식하였다. 그의 작품의 원리에서 소재의 움직임과 변화를 인지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가변성과 상호관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조형 작품 구현 방법을 탐구한다. 시각화 연구에서는 소재 결합 실험을 통하여 작품 연구를 진행한다. 선행 연구에서 프로세스 아트(Process Art)의 개념을 고찰하고, 작가들의 작품을 통하여 물질 개념을 이해하고 이로써 물질의 실험성을 변화하는 과정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프로세스 아트가 출현한 1960년대 이후 예술은 소재의 조형성을 중요시 여겼다고 한다. 이 당시의 예술은 이전에 없는 개념을 파생하거나 새로운 형식의 예술을 보여주어 실험성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가변성과 상호관계성으로 분류하여 물질 변화의 개념으로 해석한다. 이어서 프로세스 아트 작가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조형 실험 과정을 살펴보고 당시 예술의 특징을 분석하며 가변성과 상호 관계성에 대한 구현 방식을 탐구한다. 조사한 사례에 대하여 유동, 움직임으로 해석하고, 변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이해하고, 작품에서 사용한 재료의 반응과 이론 사례를 탐구하며 소재 결합을 시도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고찰과 조형 실험으로 나누어진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미술사의 프로세스 아트에서 논의되는 재료의 속성 변화에 대한 과정을 살펴보며 물질 변화에 대하여 생각해 보고자 한다. 이는 프로세스 아트의 새로운 표현 방법을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특징은 프로세스 아트를 실험 정신으로 변화하는 미술의 흐름으로 이해해 볼 수 있게 해준다. 미술사에서 프로세스 아트는 반형태와 비결정성이라는 용어를 기반으로 새로운 예술 형태로 논의된다. 기존 예술의 형식적인 구현 방식에서 벗어나 과정을 중요하게 여기고, 비교적 분리된 양식으로 작품을 구현하는 예술사조로 분석할 수 있었다. 프로세스 아트의 흐름을 이해하고, 재료의 성질에 집중하는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형태적 변화에 대한 관찰에서 물성 변화 과정을 해석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프로세스 아트의 특징을 가변적 성격과 상호 관계성으로 인지하고 두 개념을 연결 지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와 소재의 표면적인 변화를 시점으로 물질의 가변성을 이해할 수 있고 상호 관계성은 새로운 시도에서 발생하는 인식 변화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러한 점은 1960년에서 1970년 사이에 진행된 프로세스 아트가 육체적인 역동, 참여 까지도 작품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는 배경으로 이해해 볼 수 있었고, 예술가는 상상력과 함께 새로운 개념을 끊임없이 창출하고 구현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시각적으로 어떻게 물질 변화를 조형화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내용은 변화와 관계성을 탐구할 수 있게 해준다. 프로세스 아트의 이론적 고찰에 이어 작품의 조형 연구를 위하여 시각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각화 실험에서 작품 조형 연구를 위하여 적용되는 개념을 고찰하고자 움직임의 용어 해석을 기반으로 유동과 구체화 과정 물질 생성 과정에 대한 이론 사례를 이해하며 물질 생성은 이행과 합생이라는 두가지 방식으로 분류하며 작품 구현 방법을 탐구하였다. 그리고 작품에서 활용한 기초 자석의 원리에 대한 이론 사례와 관련 이미지를 참조하고, 사용한 소재에 대한 이론을 이해하고 활용 방법을 탐구하며, 물질 변화에 대한 조형 표현 연구로 연결하였다. 다음으로, Ⅳ장에서 연구한 조형 작품과 작품 분석을 하며, 작품의 소재와 기법, 형태에 관한 내용을 서술하며 본 연구를 마친다. 연구에서 탐구 내용을 통하여 세가지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과정’의 용어에 집중하며 진행한 물질에 대한 개념을 유동성과 지속성으로 파악해 볼 수 있었다. 둘째, 소재의 실험에서 소재 혼합 시도와 반응을 관찰하며 개념의 시각화 시도를 하였고, 조형 구성 방식과 법칙을 인식할 수 있었다. 셋째, 이론 연구를 토대로 물질 변화에 대하여 인식할 수 있었으며 이를 가변성과 상호관계성으로 고찰하며 힘의 생성 원리를 활용한 조형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다.;This study is about researching visualization of formative artwork, utilizing the principle of energy generation. The term ‘process’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structural and mechanical principle in Theo Jansen moving sculpture series, which shows moving and changing of materials. And the process can be divided into variability and correlation and researches the method of formative work implement with material combining experiment in a visualization study. In prior research, understanding process art concept and analyzing works of process art artists are progressed. Furthermore, after realizing the physical properties variation, the experimental characteristic of process art comprehends into changing process. Since the 1960’s when the process art appeared, formative art characteristic of material has become as importance factor. In this era, experimental characteristic represented, deriving unconventional and unprecedented idea, or displaying new form art. And this can grasp as a concept of substance change, thinking of variability and correlation, exploring how artists express this concept in their works with the process of their art formative experiment. It can be interpreted as a flex, movement and changing process, so add to it, material combination test basing on theory examples of materials used in research works implements. This study is classified into theorical thought and art formative experiment. In aspect of theory, it asserts process art concentrates on process about change of material property, and link to consideration of substance change, which helps to be able to realize the novel expression way and flow of changing art history into experimental characteristic in process art. This art is mentioned along with the term anti-form and indeterminacy as a new form art. It emphasizes the process out of the previous existed art form, so comparatively it has separated formative art form. After understanding the process art concept and story, it shows the variation of shape, focusing on the property of material, so that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can be explained. With the mentioned above, process art is recognized and classified into variability and correlation and considered about these two notions in conjunction. Variability of substance can interpret in terms of superficial change from materials and ingredient, and correlation is awareness of change occurring in the new attempt and, it can analyze with the social background that between 1960s to 1970s physical and dynamical participation is included. Thus, it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artists constantly embodied and created new concept and visually how they show the substance change in art formative. And this research allows to explore the change and correlation. Also, 3artists Robert Morris, Richard Serra, Eva hesse who belongs in process art is analyzed with their works. On the works of Robert Morris, his work shows shape change caused by material’s temper such as felt, and Richard Serra attempts to make production process include into range of artwork componence with diverse method like scattering or showing material chemical reaction change. Additionally, Eva Hesse’s works visualizes combination of materials with her idea and create expression of visual activity using materials instability. Following the thinking of process art, it conduces study into visualization experiment for the research of formative work. In this study, to understand meaning of ‘changing process’, it conducts researching the theorical contents of flux and substance creation process basing on the definition about movement. And there are two ways of creation process transition and concrescence. Also, changing process can express into principle of energy generation and continuity. In the theory of magnetic fundamental principle, this theory applies as a reference image to produce researching formative sculpture. Lastly, it proceeds to conduct an experiment for materials, and it describes reaction of materials, comparing with the example of result studied about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thesis completes with the explanation of researcher’s artwork, describing the materials, technique, and forms. Through this research, 3 results are deduced. First, the term ‘process’ can be grasped with the flex and sustainability. Second, in the material experiment, observing the combined materials, it connects into visualization attempt, and it causes recognizing the formative structure and formative law. Last, substance change can be considered into variability and correlation, and it is studied as an art formative utilizing the principle of energy generation. So, it, is verified that this study is for the interpreting the changing process. It was opportunity to express inner thoughts in sentences, as well as, it will continue to explore what researcher wants to convey, looking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ex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