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9 Download: 0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보상신념 측정도구 개발

Title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보상신념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specific Compensatory Health Beliefs Scale
Authors
손지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대사증후군, 건강보상신념, 측정도구, 도구개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양숙자
Abstract
건강보상신념은 스스로 유익하다고 믿는 건강행위를 실천하면 나타나는 긍정적인 효과가 건강에 좋지 않은 행위를 실천하거나 건강에 좋은 행위를 하지 않는 경우 나타나는 부정적 영향을 상쇄하여 보상이 된다고 믿는 것을 의미한다.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경우 합병증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여러 건강행위를 실천해야 하는데, 건강보상신념을 활성화시킬 경우 자기합리화로 내적갈등을 해결하여 건강위험행위를 유지하는 것에 대한 죄책감을 덜어 개인의 건강행위 미실천으로 이어져 장기적인 건강수준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강보상신념은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중재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심리적 개념 중 하나이다. 그러나 국내외에서 대사증후군 건강보상신념에 대한 도구 개발 문헌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보상신념 개념을 규명하고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크게 도구 개발과정과 도구 검증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도구 개발과정에서는 이론적 및 현장작업 단계를 통해 개념을 규명하고 초기문항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국문학자 검토, 예비조사를 거쳐 예비문항을 확정하였다. 도구 검증과정에서 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타당도, 준거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최종도구를 확정하였다. 도구 개발과정에서는 건강보상신념에 대한 연구 중 대사증후군 건강행위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 14편의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성인 대사증후군 대상자 2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개념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5개 차원, 14개 속성, 29개 초기문항이 도출되었고, 내용타당도 검증과 국문학자 검토를 통해 1개의 문항을 추가하고 6개 문항을 삭제하여 24개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성인 대사증후군 대상자 20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본조사용 문항을 확정하였다. 도구 검증과정에서는 성인 대사증후군 대상자 238명에게 본조사를 실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문항분석을 시행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 검토 결과 기준에 미달되는 3개의 문항을 삭제하여 21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21개 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부하량과 공통성 기준에 미달되는 2개 문항이 제거되었고 19개의 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다시 시행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요인(‘기호식품 사용에 대한 보상’, ‘식이조절, 운동 및 수면 부족에 대한 보상’, ‘음주에 대한 보상’, ‘좋지 않은 식습관에 대한 보상’)이 도출되었고, 전체 요인의 설명력은 64.54%였다. 또한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해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생활습관 평가 도구(강세원, 2010)와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 측정도구(Schwarzer & Renner, 2000)의 점수 평균으로 각각 집단을 나누어 대사증후군 건강보상신념의 총점 평균과 비교하는 집단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강행위 및 자기효능감 점수가 낮은 집단에서 대사증후군 건강보상신념 정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구성타당도의 근거를 확보하였다. 또한 준거타당도 검증을 위해 본 연구의 최종도구와 일반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건강보상신념 측정도구(Knäuper et al., 2004)와의 총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어 준거타당도의 근거를 확보하였다. 신뢰도 검증 시행 결과, 도구 전체의 Cronbach’s α는 .914로 나타나 도구의 내적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최종도구는 대사증후군 건강보상신념 측정도구(Metabolic Syndrome-specific Compensatory Health Beliefs Scale, MSCHBS)로 명명하였다. 본 도구는 4개 요인, 1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5점 Likert 척도로 측정된다. 본 연구 결과, 국내 성인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보상신념 개념을 규명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에 본 도구를 통해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행위 중재 시 고려해야 할 심리적 요소 중 하나로 전체 건강보상신념 점수와 요인별 건강보상신념 수준 및 내용을 파악하여 건강행위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 및 평가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행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Compensatory Health Beliefs (CHBs) refer to the belief that engaging in positive health behaviors that are perceived as beneficial can offset the negative effects of unhealthy behaviors or the absence of healthy behaviors. Individuals with metabolic syndrome should adopt various health behaviors to prevent and manage complications. However, CHBs may leads to self-rationalization, resolving internal conflicts, and reducing guilt associated with maintaining negative health behaviors. Consequently, individuals may neglect to practice important health behaviors, resulting in a decline in long-term health outcomes. Therefore, CHBs are one of the key psychological concept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interventions for the health behavior of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specifically designed to measure metabolic syndrome-specific compensatory health belief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and establish the reliability of a scale that can identify and measure the concept of compensatory health beliefs in individuals with metabolic syndrome. During the scale development process, we reviewed 14 previous studies related to health behaviors in individuals with metabolic syndrome within the context of CHBs. Additionally,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23 adult subjects diagnosed with metabolic syndrome to explore this concept. Following the initial development phase, a set of 29 questions was created. These questions underwent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resulting in the finalization of 24 initial items. During this process, one question was added, while six other questions were removed.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with 20 adults diagnosed with metabolic syndrome, 24 items were finally chosen for the primary survey. In the scale verification process, we conducted the primary survey with 238 adults diagnosed with metabolic syndrome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tem analysis was conducted prior to verifying construct validity, an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ree items that did not meet the standard were deleted, resulting in the derivation of 21 item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performed on the 21 items, removing two items that did not meet the criteria for factor loading and commonality. EFA was then performed again on the remaining 19 items, resulting in the identification of four factors: compensation for substance use, compensation for poor diet control, exercise, and sleep, compensation for drinking, and compensation for bad eating habits. These factors accounted for 64.54% of the total variance. To further validate the construct,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groups based on the average scores of the Lifestyle Evaluation Tool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Kang, 2010) and Health-Specific Self-Efficacy Scales (Schwarzer & Renner, 2000). A group comparis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total score of the Metabolic Syndrome-Specific Compensatory Health Beliefs Scale (MSCHB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SCHBS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 lower health behavior and self-efficacy scores, providing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Concurren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final scale in this study and the CHBs Scale (Knäuper et al., 2004), developed for the general population. Correlation analysis confirm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supporting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developed scale. The MSCHBS exhibited a reliability coefficient of .914 (Cronbach's alpha), indicating strong internal consistency. This study successfully developed a valid and reliable scale to identify and measure metabolic syndrome-specific CHBs among Korean adults. Consequently, the overall CHB score as well as the scores and contents of each factor can be identified using this scale, providing valuable data for health behavior intervention program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cale will positively impact the health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 metabolic syndro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