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0 Download: 0

노동조합의 실질적 요건

Title
노동조합의 실질적 요건
Other Titles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a trade unions
Authors
김수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Keywords
노동조합 정의규정, 노동조합의 실질적 요건, 자주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욱
Abstract
노동조합법 제2조 제4호는 노동조합 정의규정이다. 노동조합의 적극적 요건과 소극적 요건을 보여주는 이 조항은 집단적 노사관계의 바탕이 되는 시작점으로, 집단적 노사관계가 승인될 수 있는 합리적이고 합법적인 범위를 밝히고 있다. 근로자들이 단결하고자 노동조합을 설립하더라도 법상 노동조합으로 인정 받지 못하면 단결권을 행사하고, 이후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 실현으로 나아갈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노동조합의 정의규정은 형식적이거나 이념적인 것에 그쳐서는 안된다. 노동조합의 적극적 요건과 소극적 요건을 판단할 때에도 노동조합법에 부여된 헌법적 요청에 따라 단결권을 보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해석해야 한다. 노동조합 정의규정의 성격을 두고 법적 판단의 ‘기준’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그 정의규정 자체를 하나의 ‘요건’으로 보고 그에 의해서 곧바로 노동조합이 되거나 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볼 것인지가 문제된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에 대한 전원합의체 판결은 위와 같은 견해들의 차이를 잘 보여준다. 노동조합 정의규정과 그 단서에 대한 해석 차이가 노동조합에 대한 법외노조 통보제도의 법적 성격 판단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판결에서 다수의견과 보충의견은 노동조합법 제2조 제4호는 그 자체로 노동조합의 법적 지위 상실 여부를 즉시 확정하지 않는다며 정의규정에서 직접적인 법적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부인하였다. 반면 반대의견은 원칙적이고 문언적인 해석을 통해 정의규정 자체에 의해 효과가 명확하게 도출된다고 했다. 이에 따라 법외노조 통보제도를 두고 형식적 법률로 규정해야 하는 침익적 처분인지 이미 발생한 사실에 대한 통지인지 결론이 달랐다. 대법원은 2021. 2. 25. 선고 2017다51610 판결에서 기존 노동조합의 와해를 목표로 사용자가 설립한 노동조합의 설립을 무효라고 판단하였다. 이 사건 판결을 통해 노동조합법 제2조 제4호의 해석과 노동조합의 실질적 요건 판단 방법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이 판결에서는 노동조합이 자주성이라는 실질적 요건의 흠결로 설립 무효를 확인하였다. 그러면서 노동조합의 실질적 요건 가운데 자주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부당노동행위에 의한 설립과 그에 대한 노동조합의 통모·합의 등을 들었다. 즉, 자주성이라는 실질적 요건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로 ‘부당노동행위로 인한 설립’을 예시하고 있고, 다른 판단 지표들도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설립 이후 특정 시점부터 사용자의 개입에서 벗어나 자주성을 회복하였다는 피고 노조의 항변을 배척하면서 노조가 설립 당시의 하자를 치유하고 자주성을 회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법원은 이를 위해 노동조합의 설립 과정을 비롯해서 운영 전반을 검토하였다. 그러면서 ⅰ) 조합원의 증가 등 세력 확장 과정의 자주성 ⅱ) 선출된 노동조합 위원장의 자주성, ⅲ) 임금협약 및 단체협약의 내용, ⅳ) 조합원 수의 변동 등 노동조합 제반 사정 및 활동 내용을 들어 자주성 회복 여부를 판단하였다. 법원이 제시한 ‘자주성 회복의 지표’는 곧 자주성이라는 추상적인 요건 판단의 구체적인 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다.;Article 2, 4. of the Trade Union And Labor Relations Adjustment Act(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ULRA”) defines labor unions. This provision, which represents the active and passive requirements of labor unions, is a starting point for collec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identifies the reasonable and legal scope to which collec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can be approved. Even if workers establish a labor union to unite, they cannot exercise their right to unite unless they are recognized as labor unions by law, and then move on to realizing the right to collective bargaining and collective action. Therefore, the definition of labor unions should not be formal or ideological. Even when judging the active and passive requirements of labor unions,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guarantees the right to unite at the constitutional request granted under the TULRA. The question is whether to view the nature of the union definition regulations as a "standard" for legal judgment, or whether the definition regulations themselves are considered as a "requirement" and that will immediately create an effect that cannot be unionized. The conclusion of the full bench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n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KTU) clearly shows the above differences of opinion.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of labor union definition regulations and their proviso also affected the legal ncature of the Notification of trade union not be regarded as such as a trade union as provided for under the Act. In the ruling, the majority opinion and supplementary opinion denied that there would be any direct legal effect in the definition regulations, saying Article 2, 4. of the TULRA does not immediately determine whether the union lost its legal status. On the other hand, opposition is said to have a clear effect depending on the definition regulations themselves through principled and verbal interpretation. As a result, the conclusion was different whether the ‘Notification’ was an invasive disposition that should be prescribed by formal law or a notice of what had already happened. The Supreme Court ruled on February 25, 2021 that the establishment of a labor union established by employers with the aim of destroying existing labor unions was invalidated in its 2017Da51610 ruling. Through the ruling of this case,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2, 4. of the TULRA and the method of determining substantial requirements for labor unions can be investigated. The ruling confirmed that the union was invalidated due to a lack of autonomy.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unfair labor practices and the conspiracy and agreement of labor unions were cited as indicators to judge autonomy among the actual requirements of labor unions. In other words, it exemplifies "establishment due to unfair labor practices" as an indicator that can judge the practical requirements of autonomy. And it has shown that other indicators of judgment may also exist. After its establishment, it rejected the defendant's union's defense that it had recovered its autonomy from the intervention of employer from a certain point in time, and judged whether the union had recovered its autonomy by healing of illegality at the time of establishment. To this end, the court reviewed the overall operation, includ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labor union. In the meantime, it was determined whether to restore autonomy, such as the autonomy of the process of expanding trade union power, the independence of the process of electing a union leader, the contents of wage agreements and collective agreements, and changes in the number of union members. The "indicator of autonomy recovery" presented by the court could be a specific standard for judging abstract requirements such as autonom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