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6 Download: 0

포스트네트워크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폭력성 연구

Title
포스트네트워크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폭력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Violence of Female Characters in Korean Post-network Dramas
Authors
장다빈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혜원
Abstract
Post-network means that viewers can choose their taste-based content and watch it continuously, without the constraints of time and place. OTT platforms, the main medium for post-network era, ensure a viewing environment where individual viewers can select programs and binge-watch. As the viewing environment becomes more personaliz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content is also changing. In particular, post-network dramas, unlike network era TV dramas based on terrestrial stations that emphasized publicness and aimed at family audiences, have become multifaceted in their themes and settings, targeting specific consumer groups such as fandoms and generations that gather around tastes. As a result, dramas with female characters at the center of the story, which were not in the spotlight during the network era, began to emerge in the post-network era. This study focuses on the violent female character that has begun to emerge in the post-network environment. Before the post-network era, their functions within the narrative were rather conventional, as they often simply seduced male characters or sought revenge. In contrast, violent female characters in post-network dramas appear not only as autonomous characters who drive the narrative forward but also in relationships with a variety of other female characters. They can be presented in a multifaceted way in post-network drama's multiple storylines of an episode and non-episodic organization. Multiple storylines are those in which several stories are told simultaneously, intersecting or interacting with each other to create a complete narrative. Non-episodic is not the completion of a single story per episode, but rather the existence of multiple stories within an episode, each of which unfolds over multiple episodes or seasons. The multiple storylines of an episode and non-episodic narrative composition, both of which are narrative features of post-network dramas, are suitable for revealing, in a multifaceted manner, the causes and processes of female characters’ acquisition of violence and the process of how they acquire power and subjectivity, as well as its consequences. Unlike preceded ones that focus only on the gender identity or subversiveness of violent female characters, this study aims to focus on the violence of female characters. It also aims to reveal that this violence can be presented multifacetedly in the complex narrative structures characteristic of post-network dramas. Violent female characters with multifaceted characteristics began to appear mainly in American dramas and then began to appear in Korean dram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post-network drama production environment targeting the global market. Korean dramas have seen a marked difference in the way they present violent female characters since the advent of OTT. Therefore, three Korean dramas, Inspector Koo, Little Women, and The Glory, are selected for textual analysis to reveal how violent female characters, as agents of violence, engage in relationships of confrontation and cooperation with other female characters. In the symbolic order, the expression of the violence of women, which is an abject, intervenes in the symbolic order, forming the femme castratrice, which is the subject of violence and desire. Chapter 2 examines the narrative structures of post-network dramas that are common to the three dramas. In all three dramas, the main theme is crime and female violent subjects appear as protagonists or antagonists. They differ in their representations of sexuality, female solidarity, and motherhood, but they share a commonality in that the multiple narratives emphasize the causes and processes that generate the violent female characters' violence, revealing the multifaceted aspects of their characters. Chapter 3 examines the entire narrative through its dramatic stages and analyzes the female characters' motivations for violence. The causes and processes of a female character's acquisition of violence are presented fragmentarily across the episodes, and the events that demonstrate the expression of violence are interspersed with the narratives of other characters in her relationships. Through this process, the motivation for the female characters' violence varied across the three dramas, whether it was in response to the violence they suffered, as an expression of a subverted self, or to heal an unstable self. Chapter 4 builds on the analysis in Chapter 3 to show that violent female characters can form a violent subjectivity as femme castratrice. Violent subjectivity is formed by acquiring power as a castrator through violence and by fulfilling the object of desire. The female desire that is fo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characters shows the possibility of a new female subjectivity in that it is not a desire that is othered in the symbolic order. As female characters drive each other's desires, they become a source of violence to each other. This means the restoration of maternal power, which is the power of the semiotic against the symbolic order. Female violent subjects in post-network dramas form violent subjectivity in a multifaceted narrative structure focused on female characters. This suggests a new direction in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which have been presented only within the conventional framework of victimhood and devoted motherhood in crime dramas.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the identity of female characters, which has been constructed based on their relationships with male characters in dramas, can be seen anew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female characters.;포스트네트워크(Post-network)란 시청자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포스트네트워크 시대의 주요 매체인 OTT 플랫폼은 개인 시청자가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몰아보기(binge watching)가 가능한 시청 환경을 보장한다. 이처럼 시청 환경이 개인화됨에 따라 콘텐츠의 서사 구조 또한 변화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포스트네트워크 드라마는 가족 단위의 시청자를 겨냥하여 공공성을 강조하던 지상파 방송국 중심의 네트워크 시대 TV 드라마와 달리, 취향을 중심으로 모이는 팬덤, 세대 등 특정 소비층을 겨냥하면서 그 소재와 설정이 다면화되었다. 그에 따라 네트워크 시대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여성 인물들을 중심인물로 삼는 드라마가 포스트네트워크 시대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그중에서도 폭력적인 여성 인물 유형에 주목한다. 포스트네트워크 시대 이전에 폭력적인 여성 인물은 남성 인물을 유혹하거나, 복수하는 등 주로 남성 인물과의 관계 안에서 관습적 기능만을 수행했다. 이에 반해 포스트네트워크 드라마에 나타난 폭력적인 여성 인물은 서사의 중심인물 일뿐 아니라 다양한 여성 인물들과 관계를 맺는다는 점에서 새로운 인물 유형이다. 이들은 포스트네트워크 드라마의 다중적 이야기 전개와 탈-에피소드적 구성 방식 안에서 다면적으로 제시될 수 있다. 다중적 이야기 전개란 여러 개의 이야기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서로 교차하거나 상호작용하면서 전체 서사를 완성하는 것이다. 탈-에피소드는 에피소드 하나당 하나의 이야기가 완결되는 것이 아니라, 한 에피소드 안에도 여러 개의 이야기가 존재하고 각 이야기가 여러 개의 에피소드 혹은 여러 시즌에 걸쳐 전개되고 완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포스트네트워크 드라마의 서사적 특징은 여성 인물이 폭력성을 획득하게 된 원인과 과정, 권력과 주체성을 획득하는 과정과 결과 등을 다면적으로 나타내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폭력적인 여성 인물의 젠더 정체성이나 전복성에만 초점을 둔 기존의 논의와 달리 여성 인물의 폭력성 자체에 주목하고자 한다. 또한 이 폭력성이 포스트네트워크 드라마에서 특징적인 복잡한 서사 구조 속에서 다면적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면적 특성을 가진 폭력적인 여성 인물은 미국 드라마를 중심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다가, 글로벌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포스트네트워크의 제작 환경의 영향으로 한국 드라마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한국 드라마는 OTT의 등장 이후 폭력적인 여성 인물을 제시하는 방식에 있어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세 편의 한국 드라마 <구경이>, <작은 아씨들>, <더 글로리>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텍스트 분석을 통해 폭력적인 여성 인물들이 폭력의 주체로서 주변 여성 인물들과 대립, 협력 등 다양한 관계를 맺는 양상을 밝힌다. 여성 인물이 폭력을 사용한다는 것은 상징계 질서에서 아브젝트였던 여성의 폭력성이라는 기호계의 욕동이 상징계에 개입하는 것이다. 폭력적인 여성 인물은 궁극적으로 폭력과 욕망의 주체인 팜므 카스트라트리스가 된다. 2장에서는 연구 대상 작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포스트네트워크 드라마의 서사 구조를 살펴본다. 범죄를 소재로 하는 세 드라마에서 여성 폭력 주체는 주인공 또는 적대자로서 등장한다. 이들은 섹슈얼리티, 여성 연대, 모성에 대한 재현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러면서도 다중적으로 전개되는 이야기들을 통해 폭력적인 여성 인물의 폭력성 생성 원인과 과정이 강조되어 인물의 다면성이 드러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3장에서는 전체 서사를 극적 단계에 따라 살펴본 후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성 인물의 폭력 동기를 분석했다. 여성 인물의 폭력성 획득의 원인과 과정은 여러 에피소드에 걸쳐 파편적으로 제시되며, 폭력성 발현을 보여주는 사건들은 그와 관계 맺는 다른 인물들의 이야기와 교차 지점에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제시되는 여성 인물의 폭력 동기는 자신이 당했던 폭력에 대응하는 것이거나, 전복된 자아의 표현이거나, 불안정한 자아를 치유하는 것으로 세 드라마가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을 바탕으로 폭력적인 여성 인물이 팜므 카스트라트리스로서 폭력적 주체성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폭력적 주체성이란 폭력을 통해 거세하는 자로서의 권력을 획득하고, 욕망 대상을 성취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여성 인물 간 관계에서 형성되는 여성 욕망은 상징계 질서에서 타자화된 욕망이 아니라는 점에서 새로운 여성 주체성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처럼 서로의 욕망을 추동하는 여성 인물들은 서로에게 폭력성의 원천이 되며, 상징계 질서에 반하는 기호계 영역의 힘인 모성 권력의 복원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포스트네트워크 드라마의 여성 폭력 주체는 여성 인물 중심의 다중적 이야기 전개 속에서 폭력적 주체성을 형성한다. 이는 범죄를 소재로 하는 드라마에서 피해자성, 헌신적인 모성 등 관습적인 틀 안에서만 제시되던 여성 인물 재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드라마에서 남성인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던 여성 인물의 정체성을 여성 간 관계를 통해 새로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