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7 Download: 0

수면 유도 음악

Title
수면 유도 음악
Other Titles
Music as a sleep aid: feature identification, development and its preliminary exploration
Authors
윤소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은주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musical and acoustic factors of sleep-inducing music, to develop evidence-based sleep-inducing music, and to explore its possibility as sleep intervention. The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 the first stage analyzed and select main musical and acoustic features from existing sleep-inducing music, while the second stage developed sleep-inducing music based on the features and evaluated its applicability. In the first stage, existing sleep-inducing mus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methodologies of aural analysis and Music Information Retrieval.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in musical characteristics of existing sleep music were classical genre (56.4%), Major tonality (51.3%), low rhythmic activity (51.3%), absence of lyrics (76.9%), and absence of percussive elements (84.6%). The main acoustical characteristics were tempo (beat per minute, M=69.5, SD=13.5), dynamic variability (M=0.57, SD=0.19), main frequency register (M=1244, SD=852), and articulation (M=0.38, SD=0.1). In the second stage, sleep-inducing music was developed based on the features selected from the first stage. The applicability was evaluated as measured by sleep onset latency, power spectrum density, and self-reported surveys. The results showed a tendency for the sleep onset time to be reduced in the music condition as compared to the non-music condition. The power spectrum density showed relatively higher delta waves (0-4Hz) and theta waves (4-8Hz), and relatively lower alpha waves (8-13Hz) and beta waves (13-30Hz) in the music condition as compared to the non-music condition. Also, subjective sleep quality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physiological responses. The findings suggest musical and acoustic features that could serve as rationale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music-based sleep intervention strategies. The identified characteristics may inform the design of more effective, individualized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sleep quality.;본 연구는 수면 유도 음악의 음악 요인 및 음향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근거 기반의 수면 유도 음악을 개발한 후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수면 유도 음악을 분석하고 지표를 선정 및 정량화하는 1단계, 해당 지표를 바탕으로 수면 유도 음악을 개발하고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2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청취 분석과 음악 정보 분석(Music information retrieval)을 사용하여 기존 수면 유도 음악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클래식 장르(56.4%), Major의 선법(51.3%), 낮은 리듬 활동성(51.3%), 가사의 부재(76.9%), 타악기적 요소의 부재(84.6%)가 기존 수면 음악의 주요 음악적 특성으로 도출되었다. 주요 음향적 특성은 템포 (beat per minute, M=69.5, SD=13.5), 음압 변동성(dynamic variability, M=0.57, SD=0.19), 주요 주파수 음역대(main frequency register, M=1244, SD=852), 분절(articulation, M=0.38, SD=0.1)으로 도출되었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도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수면 유도 음악을 개발하였으며, 뇌전도(electroencephalography)를 사용하여 입면 진입 시간(sleep latency)과 전력 스펙트럼 밀도(power spectrum density), 자기 보고식 설문(subjective sleep quality)을 사용하여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입면 진입 시간은 음악 조건에서 무음악 조건에 비하여 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력 스펙트럼 밀도는 음악 조건에서 무음악 조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델타파(0-4Hz)와 세타파(4-8Hz), 상대적으로 낮은 알파파(8-13Hz)와 베타파(13-30Hz)를 보였다. 수면의 질에 대한 자기 보고식 평가의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음악 조건이 무음악 조건보다 수면의 질이 향상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 기반의 수면 유도 음악 적용의 필요성을 객관적 및 주관적 평가 방법으로 모색하였으며, 도출된 음악 및 음향 지표는 추후 음악기반 수면 중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