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1 Download: 0

한국 근대 미술상(美術商)과 경매시장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Title
한국 근대 미술상(美術商)과 경매시장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rt Dealers and the Evolution of the Art Auction Market in Modern Korea
Authors
장해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소연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on the history of art market, particularly of antique art known as "Seohwa Goldong(書畫骨董),"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Korean War period, with a perspective on the development of the art dealers and the auction market.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changes in the art market from the opening of Korea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ost-liberation era, and the wartime period, by studying modern auction house system and antique art dealers, who are the key figures involved in art dealing in the era. The trend of collecting antique East Asian paintings and objects, which began in the late 18th century, transformed into a modern antique art market led by the Japanese after the opening of Korea. Even when many collectors left the market during the liberation on August 15th in 1945, individual collectors of Korea(Joseon people) demonstrated a new leap forward. Japanese individuals, who had acquired a culture of art collection and auctioning since the Edo period, actively engaged as individual collectors from the time of early modern period when the collecting was not insignificant due to economic stability to afford purchasing artworks. The antique art industry, estimated to have originated from the credit or pawnshop business mainly operated by many Japanese during the opening period, flourished significantly with the thriving market for excavated artworks and antiques in the modern era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ns initially played a supportive role, but gradually established themselves in the market as time went on. It is notable that Korean antique art dealers, who started as pawnbrokers and intermediaries, formed connections with collectors over time, grew as members of left images and the association of antique art dealers, and eventually participated directly in Japanese-dominated auction market, learning and developing the Japanese operating system and occupying independent art dealing stores. Indeed there are limitation in which some art dealers changed their names into Japanese and that only a small number of Korean individuals were officially recognized as members of the antique art dealer association. However, it appears that those who could speak foreign languages such as English or had foreign national representatives were able to expand their retail outlets, conducting more deliberate business activities via sales to foreigners visiting Korea, shipping artworks abroad, and selling at foreign auction houses. Although Korean antique art dealers did not fully dominate the antique art market and auction houses throughout the modern era, they accumulated extensive experience in artwork dealing and trading,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he auction market and antique art market in Korea after the liberation. Considering that members of the Gyongseong(Keijo) Art Club were mostly Japanese, it is easily imaginable how chaotic the auction market must have been, losing both customers and business entities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However, the art trading industry, which had already prospered, maintained its vitality even amidst the chaos of the post-liberation era and the Korean war. The Gyeongseong(Keijo) Art Club continued as the Korean Antique Art Association(古美術協會), completely establishing itself as an art market industry led by Koreans. In particular, the content and tracing of art auctions in the post-liberation era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history just before the geographical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he participation of art dealers in the modern era of Korea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Korean artworks, as well as on the development of the art market industry. These art dealers played a dual role, actively engaging in the process of distributing artworks while also serving as leaders in the art market. Their expertise and insights shaped the valuation and perception of artworks, influencing collectors in forming their own collection. Therefore, analyzing the art auction market, in which art dealers operated indirectly, holds significant historical significance as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level of knowledge, and the perception of artworks during the modern period.;본 논문은 개항기 이후부터 한국전쟁 시기까지 미술품, 특히 서화골동으로 불리는 고미술품 유통의 역사를 경매시장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집중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는 개항기, 일제강점기, 해방공간, 전쟁시기에 이르기까지의 미술시장 변화상을 경매라는 근대적 제도와 그 주역인 고미술상(商)을 고찰하여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18세기 조선후기부터 시작된 고동서화 수집의 유행은 개항 이후 일본인 주도로 근대적 고미술품 유통시장으로 변화되었고, 8.15 해방으로 기왕의 수집 주체가 대거 이탈했을 때에도 한국인(조선인)들에 의해 새로운 도약상을 보여주었다. 에도시대부터 미술품 수장 및 경매 문화를 익힌 일본인들은 개항 초기 조선의 수장가층이 두텁지 않았을 때부터 개인 수장가로서 활발히 활약했고, 상대적으로 경제적으로 안정돼 미술품을 구매할 수 있는 여력이 있었다. 개항시기 다수의 일본인이 종사했던 대부업에서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미술업은 근대기 한반도 출토 미술품에 대한 애호시장이 크게 번성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했다. 한편 조선인은 초기에는 보조적인 역할에서 시작해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전당포업과 중간상인, 즉 거간으로 시작한 조선인 고미술상들이 시간의 흐름과 함께 수장가들과 인맥을 형성하고 좌상, 고미술상 조합의 회원으로 성장하여 일본인 중심의 경매에 직접 참여하고, 일본식 운영 시스템을 학습하여 발전시키며 독자적인 점포까지 점유하게 되는 과정은 흥미롭다. 물론 일부가 창씨개명을 했던 점이나 소규모의 인원만 정식 미술상인조합 회원으로 인정받았다는 한계점도 있으나 영어 등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거나 대표가 외국 국적일 경우에는 판로를 넓혀 조선을 방문한 외국인, 국외로 배송, 해외 경매사 이용 등을 통해 좀 더 자유롭게 영업활동을 영위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록 고미술시장을 완전히 주도하지는 못했지만 조선인 고미술상들은 오랜 시간 미술품 매매 경험을 축적하여 해방 후 한국의 경매시장과 고미술시장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였다. 일본인들로만 조직된 고미술상 조합에서 출발한 경성미술구락부의 회원 또한 일본인들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해방 직후 고객과 업무 주체인 상인 모두를 잃었던 경매시장이 얼마나 혼란을 맞이했을지 충분히 짐작할 수 있으나, 이미 호황을 이루었던 미술품 거래업은 해방공간, 전쟁을 거치는 혼란 속에서도 그 명맥을 지켜나간다. 해방 후 경성미술구락부는 고미술협회로 이어지며 한국인이 주도하는 미술품 유통 시장으로 완전히 정착된다. 특히 해방공간에서의 미술품 경매 내용과 그 추적은 남북한 분단공간으로 지형이 바뀌기 직전의 역사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어 미술사의 중요한 줄기가 될 것이다. 근대기 고미술상은 한국 미술품을 직접 유통하고 이동시킨 당사자인 동시에 감식안을 가지고 미술품의 거래를 주도하였으며, 수장가들 또한 고미술상의 안목에 기초하여 미술품에 대한 가치평가를 일약 형성하였다. 더불어 이들이 활동한 미술품 경매시장의 분석을 통해 당대의 미술 감식교육과 수준, 미술품에 대한 인식 등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만큼 역사적 의미가 작지 않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