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6 Download: 0

가정 밖 청소년의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

Title
가정 밖 청소년의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
Other Titles
The Experience of Placing a Child for Adoption among Out-of-home Youth
Authors
윤은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가정 밖 청소년, 입양, 보호 체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he out-of-home youth themselves who have put a child up for adoption. By having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 it presents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on how the social protection system should function for out-of-home youth. The study examines out-of-home youth's detailed experience from childhood to pregnancy and childbirth as well as the changes after adoption and preparation stages for independence.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sending children for adoption, the study explored the kind of protection system provided for out-of-home youth who belong to the two systems namely out-of-home youth and adolescent unmarried mothers. It also presents how the protection system for the youth should function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in the fu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target population who had experienced sending their children for adoption in adolescence.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out-of-home youths who have lived in protection systems such as childcare facilities, youth shelters, and group homes for an average of 2 years or more, and have experienced sending their children for adoption. Also, the participants are all teenagers who have given birth to a child in a facility for unmarried mothers. After giving birth, they sent the child for adoption and prepared for independence while living in a group hom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recommendations from unmarried mother facilities and group homes. To interview the in-depth story of child adoption in adolescence, four were selected among the participants with such experience. The data was collected for 3 months from September to November and the in-depth interview continued until a sufficient amount of information was collect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cedure presented by Creswell (2010). Using within-case analysis, the study attempted to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life and reveal the exceptional experience by considering the personal environment and social context of each participant's experience sending their children for adoption. For cross-case analysis, the study classified and categorized the common issue in the experience of sending children for adoption. Lastly, the study developed the central topic that integrates the experience of sending children for adoption as out-of-home youth in all case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within-case analysis, the study analyzed the childhood experience before adoption, pregnancy, the experience of sending a child for adoption after birth, and the life after adoption. In cross-case analysis, the study found out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sending a child for adoption as out-of-home youth considering one’s environment and social context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pregnancy and the experience of adoption after childbirth. Next, as a result of the cross-case analysis, the study established 28 semantic unit summaries, 8 subordinate categories, and 4 superordinate categories. The 4 superordinate categories are ‘a childhood when I protected myself and comforted the broken heart,’ ‘a life’s thorny road of struggle and loneliness,’ ‘a time of loss I had to endure,’ ‘a passage of darkness wandering and lost.’ The superordinate category ‘childhood when I protected myself and comforted the broken heart’ determined the subordinate category of ‘childhood memory stained with violence and abuse,’ and ‘the time of wandering and confusion. Based on the category, the semantic unit was summarized as follows: ‘the parents who are patriarchal and intimidating,’ ‘the times each had to make one’s own shield,’ ‘exhausted life standing at a crossroads,’ ‘the day that starts and ends with a part-time job,’ ‘Although it’s a horrible and painful memory, lesson learned the hard way with pain and deficiency.’ The second superordinate category ‘a life’s thorny road of struggle and loneliness' determined the subordinate category of ‘the pain of pregnancy and birth at the death’s door,’ ‘trapped in depressing and single parenting having nowhere to turn.’ Then the semantic unit was summarized as follows: ‘surprise and bewilderment due to an unexpected pregnancy,’ ‘belated discovery of pregnancy due to contraception failure,’ ‘lost contact with irresponsible baby’s father,’ ‘the pain and difficulty of pregnancy and birth for the first time,’ ‘the reality having nowhere to turn after birth,’ ‘the extreme depression due to single parenting in a facility.’ The third superordinate category ‘a time of loss I had to endure’ determined the subcategory of ‘agony and uncertain mind to decide the adoption,’ ‘agreement of biological family search while waiting for a future reunion.’ Then the semantic unit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ncounter with the small, lovely baby looks just like me,’ ‘short but happy moment with the baby,’ ‘the complicated procedure of adoption,’ ‘feeling guilty and sorry for abandoning the baby,’ ‘the economic reality that cannot raise the child,’ ‘the anxiety about the dark future and the adoption which was the best decision for the baby,’ ‘ the agreement of biological family search and the letter,' ‘the hope that the baby will grow safely with good care under the adoptive parents.’ The fourth superordinate category ‘a passage of darkness wandering and lost’ determines the subordinate category of ‘complex feeling and expected pain of farewell,’ ‘the changed life after adoption.’ Then the semantic unit was summarized as follows: ‘the wandering and deep longing,’ ‘ the pain of losing a child that I had to endure,’ ‘the reality without consideration of biological mother,’ ‘the fear and anxiety of marriage,’ ‘adoption that become a secret,’ ‘stand firmly for the reunion with the baby in the future,’ ‘the emptiness that cannot be filled with anything else,’ ‘the preparation of independence for me and the baby who is sent for adoption.’ Lastly, the central topic that integrates the adoption experience for out-of-home youth is ‘a lonely and gloomy life that cannot raise my child with me.’ Based on the study result, the main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the risk-free protection system establishment is necessary for the out-of-home youth after adoption. In the case of the participants, it is shown that the out-of-home youth has negative childhood experiences and, in a situation, where vulnerabilities were overlapping, the protective system was not sufficient to care for the youth. Although the out-of-home youth are in the blind spot with overlapping vulnerabilities, they cannot be provided with any help due to the reason that they have a famil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protective system that can provide preemptive prevention to the youth. Second, it is found that the biological mother’s right is not guaranteed after adoption. The biological mothers could not hear any news after adoption, and they wish to know that their children are growing well. When the rights of the biological mothers are guaranteed, the adopted children will realize that they are not abandoned by their biological mothers, and it will also help them find their own identity. Third,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out-of-home youth, it was not easy for the participants to go back to their original families after adoption. Thus, they spent time for independence while staying at a group home. However, because of the out-of-home youth traits, some leave the facility without enduring life in the facility. When the youth leave the facility without being prepared, it is shown to be the factor that hinders independence. H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differentiated residence type for out-of-home youth and countermeasures to prevent risks after leaving the facility. Fourth, it i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are struggling with difficulties of the doubled stigma of being out-of-home youth and adolescent unmarried mot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with integrated management in the youth protective system and adolescent unmarried mother system. Moreover, in the process of sending children for adoption and raising babies, they should be provided with opportunities and possibilities for development than social elimina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 and discussion, it presents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 Since out-of-home youth are unlikely to get support from their original family after giving birth, it is suggested to create an appropriate environment to raise children and provide full support for the youth. Second, pregnancy, birth, and adoption of out-of-home youth need a differentiated approach. Considering their double identity, double protection should be provided with an adolescent protective system and a single parent protective system. Third, when out-of-home youth prepare for independence, the independence preparation program should include proper sex education to prevent pregnancy and re-pregnancy before the youth leave the facility. Fourth, in the process of sending a child for adoption, the integrated rules and manual is needed for the father’s agreement procedure, not subdivided procedures and segmented principles that differ from each district and procedure. Even if a mother wants to send a child for adoption, there are cases that the mothers are in search of the baby’s father because the father did not sign the agreement. Thus, it is suggested to take proper countermeasures for this matter. Fifth, the out-of-home youth should be guaranteed sufficient time to prepare for their independence, and an independence-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When the out-of-home youth are in a hurry for their fast economic independence, they tend to consider economic income most important than job stability, prospects, and one's own aptitude.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hat they are provided with sufficient opportunities to explore and prepare for their job and proper vocation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 밖 청소년의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을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듣고 이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을 위해 사회적 보호체계가 어떻게 기능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가정 밖 청소년이의 유년시절의 경험에서부터 시작하여 임신과 출산, 자녀를 입양 보내는데 이르기까지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았고 입양 이후 나타나는 변화와 자립 의 준비과정까지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 밖 청소년과 청소년 미혼모라는 두 가지 체계에 속하는 청소년들이 자녀를 입양 보내는 과정에서 어떤 보호 체계의 도움을 받았는지를 살펴보았고 이들을 위한 보호 체계가 앞으로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에 대해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소년기에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이 있는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양육시설이나, 청소년 쉼터, 그룹홈 등의 보호 체계에서 평균 2년 이상 생활한 경험이 있는 가정 밖 청소년으로,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이 있는자이다. 또한 모두 공통적으로 미혼모시설에서 아이를 출산하고 출산 이후 자녀를 입양 보낸 이후 거주할 수 있는 그룹홈에서 지내면서 자립을 준비했던 청소년들이다. 연구참여자는 미혼모시설과 그룹홈의 추천을 받아서 선정하였다. 이 중에서 청소년기에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이 있고 내면의 심층적인 이야기를 진솔하게 해줄 수 있는 대상으로 4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일대일 심층인터뷰를 통해 인터뷰내용이 충분할 정도에 도달했다고 판단될 때까지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creswell(2010)이 제시한 연구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참여자별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을 개인적인 환경과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개인의 삶을 깊이 이해하고 독특한 경험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이슈를 분류하고 범주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심주제에서는 모든 사례의 가정 밖 청소년으로서의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을 아우르는 중심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입양이전 유년시절의 경험, 임신, 출산이후 자녀를 입양보내기까지의 경험, 자녀를 입양보낸 이후의 삶의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어서 사례간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임신, 출산이후 입양경험을 중심으로 개인을 둘러싼 환경과 사회환경을 고려하여 이해하고 이들이 가정 밖청소년으로서 경험한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과 의미를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사례간 분석 결과 28개의 의미단위 요약, 8개의 하위범주, 4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범주화된 결과는‘스스로를 보호하며 여린 마음에 난 상처를다독이던 유년시절’,‘고단하고 외로운 가시밭길 인생’,‘황량한 세상 속 견뎌내야만 했던 상실의 시간’,‘방황하며 갈피를 못잡던 암흑의 통로를 지나가기’라는 4개의 상위범주로 구분되었다. 상위범주 ‘스스로를 보호하며 여린 마음에 난 상처를 다독이던 유년시절’은‘폭력과 학대로 얼룩진 어린날의 기억’과 ‘방황과 혼돈의 시간’이라는 하위범주가 도출되었고,‘ 가부장적이고 무섭기만 했던 부모님’,‘각자의 안전한 울타리를 만들어야 했던 나날들’,‘ 생사의 기로에 서서 무기력해진 나의 삶’,‘알바로 시작해 알바로 끝나는 하루’,‘처절하고 아픈 기억이지만 고통과 결여를 통해 얻은 뼈저린 교훈’의 의미단위가 요약되었다. 두번째 상위범주인 ‘고단하고 외로운 가시밭길 인생’은 ‘생사를 오가던 임신과 출산의 고통’‘의지할곳 없는 현실속 독박육아와 우울에 갇혀버린 나’로하위범주가 도출되었고‘전혀 예상치 못했던 임신으로 인한 놀라움과 당황’,‘피임실패로 뒤늦게 알게된 임신사실’,‘무책임하게 연락두절된 아기아빠’,‘처음 겪어보는 임신출산의 고통과 어려움’,‘출산후 어느곳 하나 의지할곳 없는 현실’,‘시설에서의 독박육아로 우울감 극심’으로 의미단위가 요약되었다. 세 번째 상위범주인 ‘견뎌내야만했던 상실의 시간’은 ‘입양을 결정하기까지의 고뇌와 갈팡질팡하는 마음’, ‘미래의 재회를 기다리며 뿌리찾기 동의’로 하위범주가 나타났고,‘작고, 예쁘고, 사랑스러운 나를 똑닮은 아기와의 첫만남’,‘짧지만 행복하고 소중했던 아기와의 시간’,‘복잡하게 느껴졌던 입양절차’,‘아이를 ‘버린엄마’라는 죄책감과 미안한 마음’,‘키우고 싶어도 키울수 없는 경제적인 현실’,‘앞이 깜깜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아이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던 입양’,‘재회를 위한 뿌리찾기 동의와 남겨둔 편지’,‘양부모 밑에서 여유롭고 안전하게 자랄거라고 상상’의 의미단위 요약으로 나타났다. ‘방황하며 갈피를 못잡던 암흑의 통로를 지나가기’는 ‘복잡한 심정과 예정된 이별의 아픔’,‘입양이후 삶의 변화’로 하위범주가 나타났고 ‘깊은 그리움 그리고 방황’,‘견뎌내야만 했던 아이를 잃은 슬픔’,‘친생모에 대한 배려는 없는 현실’,‘결혼에 대한 두려운 마음과 걱정’,‘비밀이 되버린 이야기, 입양’,‘미래의 아기와의 재회를 위해 단단히 바로서기’,‘아무래도 채워지지 않는 공허한 마음’,‘ 나와 입양보낸 아이를 위한 자립준비’로 의미단위가 요약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정 밖 청소년의 자녀를 입양 보낸 경험을 아우르는 중심주제는 ‘내 아이를 옆에서 보살필 수 없는 외롭고 황망한 인생’으로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에 기반한 주요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양 이후 가정 밖 청소년들을 위험 촘촘한 보호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참여자들의 경우 가정 밖 청소년이면서 아동기의 부정적인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취약성이 중첩되어 있었던 상황에서 보호체계는 아이들을 보호해줄 만큼 충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 밖 청소년으로서 사각지대에 있으면서 취약성이 중첩됨에도 불구하고 가정이 있다는 이유 하나로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하는 청소년들을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보호체계를 구축할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둘째,자녀를 입양 보낸 이후엔 친생모의 최소한의 권리조차 찾을수 없는 현실이 발견되었다. 친생모들은 자녀를 입양보냄과 동시에 그 어떤 소식조차 들을수 없었고 다만 잘 지내고 있다는 소식을 가끔씩이라도 듣고 싶어하는 바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생모를 위한 최소한의 권리를 찾아줄 때 입양간 아이 역시도 친생모에게 버려진 아이가 아니라는 사실을 더 깨달을수 있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가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참여자들은 입양 이후 가정 밖 청소년의 특성상 원가정으로 돌아가기가 쉽지 않았고 그로인해 그룹홈에 머물면서 자립을 준비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러나 가정 밖 청소년의 특성상 단체생활의 갑갑함을견디지 못해 퇴소하는 경우가 있고 준비되지 않은 퇴소의 경우 자립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나 가정 밖 청소년들을 위한 차별화된 주거형태와 이들이 퇴소이후에 겪는 위험을 방지할수 있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연구참여자들은 가정 밖 청소년과 청소년 미혼모라는 이중의 낙인감이 주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참여자들처럼 가정 밖 청소년과 청소년 한부모라는 이중 정체성을 가진 청소년의 경우 청소년 보호체계와 청소년한부모 체계 간의 통합적인 관리를 통해서 보다 촘촘하게 실질적인 지원을 해줄 필요가 있으며 이들이 자녀를 입양보내거나 양육하는 과정에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성장할 수 있는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 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가정 밖 청소년들이 출산을 했을 경우 원가정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이 아이를 키울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고 전폭적인 지지를 해줄 것을 제안한다. 둘째, 가정 밖 청소년의 임신과 출산 그리고 입양은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며 이들이 가진 이중의 정체성을 고려해볼때 지원 역시도 청소년 보호 체계와 한부모 보호 체계를 통해 이중의 보호를 받을 수 있어야할 것이다. 셋째, 가정 밖 청소년들이 보호 종료 이전에 자립을 준비하면서 시설에서 나가기 전에 자립준비 프로그램 안에 임신 예방과 재임신 예방을 위한 제대로된 성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입양을 보내는 과정에서의 아기 아빠의 동의 절차의 경우에도 세분화된 절차와 구마다 다른 분절적인 원칙이 아닌 통합된 원칙과 매뉴얼이 필요하다. 입양을 보내고 싶어도 아기아빠가 동의를 해주지 않아서 입양을 보내지 못하고 애태우며 아기아빠를 찾아다니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가정 밖 청소년들이 제대로 자립을 준비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보장되어야 하고 제대로 된 자립 지원체계가 갖춰져야 함을 제안한다. 가정 밖 청소년들이 빠른 경제적 자립을 위해 취업에 급급 하다보면 직업의 안정성과 장래성 그리고 자신의 적성을 생각하기 보다는 당장에 경제적 수입만을 중요하게 생각할 수 있기에 이들이 충분한 직업에 대한 탐색과 준비를 하고 직업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