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56 Download: 0

국회의 아동학대 관련 입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Title
국회의 아동학대 관련 입법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Other Titles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Legislation on child abuse in the National Assembly : Focusing on the Child Welfare Act and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Authors
구슬이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아동학대, 아동학대처벌법, 아동학대법률, 비판적 담론 분석, 국회 회의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has approached the issue of child abuse through relevant legisl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existing laws related to child abuse in Korea have not effectively prevented such incidents. In 2000, Korea enacted the amended “Child Welfare Act” to legalize child abuse and establish procedures and systems for intervention and prevention of child abuse. Furthermore, in 2014, the “Special Act on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was enacted to clearly define child abuse crimes and establish provisions for their punishment as well as protection measures for child victims of abuse. However, despite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relevant laws, child abuse continues to occur persistently, and the level of cruelty does not seem to diminish, indicating persistent deficiencies in the current child abuse-related laws and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asons behind these deficiencies by examining the National Assembly's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their perspective on children with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current laws. In modern times, child abuse is recognized as a societal issue rather than solely a problem within families, and it is considered natural for the government to intervene to varying degrees in addressing child abuse issues. However, finding a balance between parental rights, represented by parental authority, and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represented by the child's rights, is not easy when it comes to intervention and support. In relation to the issue of child abuse, various discourses based on values such as parental rights versus child rights, prioritizing the original family versus child protection through separation, and punitive or restorative/therapeutic responses to child abusers compete with each other. To examine how these different discourses on child abuse have emerged and evolved with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adopts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CDA) method. The National Assembly serves as a platform for discourse formation, where societal demands are addressed, and decisions are reached through debates among participants. These discourses, after going through the legislative process, become institutionalized as laws and, in turn, have an impact on society.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an excellent research method that not only analyzes texts but also examines the discourse practices and socio-cultural practices, thereby revealing power relations and ideologies inherent in social phenomena and discourse.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Act on the Promotion of Child Welfare”, fully revised in January 2000, the “Act on the Promotion of Child Welfare”, partially revised in January 2014, and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enacted in January 2014. Additionally, the partially revised “Act on the Promotion of Child Welfare” in December 2020 and the partially revised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in January and March 2021 were examined.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preliminary research, it was determined that these legislative enactments and amendmen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s legislative system related to child abuse, and active discourse formation was also confirmed. The analyzed data primarily consisted of National Assembly records related to the legislation and revision of these laws. It included the original texts of the bills, review reports, and relevant documents of alternative and discarded bills, resulting in a total collection of 48 bill texts, 14 review reports, and 35 meeting record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during the comprehensive revision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Child Welfare” in 2000, the dominant discourse was the “social problematization discourse” of child abuse, aimed at recognizing child abuse as a social issue. This discourse sought to establish legitimacy by aligning with the “child protection discourse” and the “discourse of strengthening punishment”. The design of the system was influenced by the “discourse of autonomy” and the “discourse of universal principles”. During this period, the welfare policy expansion of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which took office during a government transition following the government's ratification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IMF financial crisis, had an impact on discourse formation. Significantly, changes in social perception due to media coverage of child abuse cases known as the “Yeonghun incident” and the “Sinae incident”, as well as the activities of child-related organizations and civil society, contributed to the legislation on child abuse. Next, in 2014, following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and the corresponding revision of the “Act on the Promotion of Child Welfare”, the “discourse of punishment reinforcement” dominated, aligning with the “child protection discourse” and the “discourse of institutional compulsion” in response to serious incidents of child abuse and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s a result, obligations and regulations related to child abuse were established. However, due to the influence of another dominant discourse, the “discourse of fiscal limitations”, there was a lack of expansion in the infrastructure and budget for child abuse-related measures. While the “discourse of universal principles” still prevailed in the design of the system, the “discourse of specialized child abuse” also develop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is period, the “publicization of child abuse cases” influenced legislation on child abuse, facilitated by the spread of everyday politics beyond ideological debates and the development of voluntary and participatory civic movements. Particularly, the activities of citizens and the publication of the “Lee Seo-hyun Report” by the voluntary organization “Lee Seo-hyun Incident Investigation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Committee”, which investigated the “Uljoo child abuse case” known as the “Lee Seo-hyun incident”, played a decisive role in legislation and revision. Lastly, during the period of legislative revisions that took place from the end of 2020 to the beginning of 2021, the dominant discourse of “strengthening public intervention” emerged as a response to the need for enhanced state intervention in child abuse issues. This discourse was reinforced by aligning with the “child protection discourse”, “discourse of punishment reinforcement”, “discourse of family reunification”,“discourse of institutional compulsion”, and “discourse of specialized child abuse”. In terms of fiscal aspects, the coexistence of the “discourse of fiscal securing” and the “discourse of efficient execution” was observed. The key sociocultural context that underpinned the formation of these discourses included the successful experiences of civil society represented by the “Candlelight Revolution”, which led to the impeachment and regime change of President Park Geun-hye, as well as the public outrage over the “Yangcheon-gu Adopted Child Abuse Case”, commonly referred to as the “Jung-in incident”. These factors also resulted in the repeal of the disciplinary power in the Civil Code and the government's transformative stance through the “Inclusive Nation Child Policy”. The National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times, has recognized the need to strengthen child protection not only through enhanced punishment for child abuse but also through the provision of treatment for perpetrators for the restoration of the child's original family. There has been a shift towards establishing specialized system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abuse, moving away from a focus solely on universal legal principles. In terms of system operation, there has been a transition from an emphasis on individual moral obligations and autonomy to a perspective that institutionally mandates such obligations. However, expressions related to the discourse of "child protection" and "efficiency" have consistently emerged in all periods, indicating that the National Assembly considers the issue of child abuse as one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approaches it from a perspective of efficiency rather than justifiable necessity.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significant incidents of child abuse have prompted legislative initiatives driven by civil society in each period, resulting in the enactment or amendment of laws. Through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in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on related to child abuse, there was a lack of clear dominant discourse and a formation of discourse due to the legislation being pursued without social consensus on the nation's responsibility or intervention in child protectio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promotion of legislation related to child abuse was found to be the occurrence of incidents of child abuse within the socio-cultural context, along with the activities of civil society and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related to these incidents. Furthermore, it was noted that laws have been created from a perspective that objectifies children as "objects of protection" rather than viewing them as independent individuals with equal right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criteria for national intervention in cases of child abuse through consideration of parental rights and improvement of child abuse investigation public system, proactively formulate laws related to child abuse through deliberation, actively expand relevant infrastructure, an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societal awareness of child abuse and to enforce children's rights through measures such as education, mandatory procedure and ensuring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e.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o enhance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by ensuring their participation rights in legislation related to child abuse. Al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ituations where children's rights are infringed upon within society based on a perspective that views children as subjects of rights, and to create a child-friendly environment by engaging in multifaceted activities to advocate for children's righ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attempt to provide a more in-depth approach to legislation related to child abuse by analyzing the discourses that emerged during the process of formulating and amending laws concerning child abuse,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se discourses with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아동학대 관련 법률이 아동학대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회가 아동학대 관련 법률을 어떤 시각으로 만들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2000년 「아동복지법」 개정을 통하여 아동학대를 법제화하고 아동학대 개입 및 방지에 관한 절차 및 제도를 마련하였다. 또한, 2014년에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제정하여 아동학대범죄를 명확히 정의하고 그 처벌 및 학대피해아동에 대한 보호 절차 등을 규정하였다. 그러나 법률이 마련되어 시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아동학대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잔혹성 또한 줄어들지 않아 현행 아동학대 관련 법률 및 제도에 여전히 미비한 점이 있음이 시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 이유를 현행 법률의 입법 과정에 내재된 국회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아동에 대한 시각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오늘날 아동학대는 더 이상 가정 내의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고,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국가의 개입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친권으로 대표되는 부모의 권리와 아동의 최선의 이익으로 대표되는 아동의 권리 사이의 균형점을 찾아 개입하고 지원하는 것은 쉽지 않다. 아동학대 문제와 관련해서도 친권과 아동 권리, 원가정 중시와 아동의 분리 보호, 아동학대행위자에 대한 처벌적 또는 회복·치료적 대응 등 다양한 가치에 의거한 담론들이 경합한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에 관한 여러 담론이 국회 입법 과정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변화해 왔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CDA) 방법을 채택하였다. 국회는 법률 제·개정 과정에서 사회의 요구를 수렴하고 참여자 간 토론을 통해 결정을 이끌어내는 담론 형성의 장이며, 담론들은 입법 과정을 거쳐 법률로 제도화됨으로써 수행되고 사회에 다시 영향을 미친다. 비판적 담론 분석은 텍스트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담론 수행과 사회문화적 수행 차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사회 현상과 담론에 내재된 권력관계 및 이념들을 밝히는 데 탁월한 연구 방법이다. 분석 대상은 2000년 1월 공포된 「아동복지법」 전부개정법률, 2014년 1월 공포된 「아동복지법」 일부개정법률 및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법률, 2020년 12월 공포된 「아동복지법」 일부개정법률, 그리고 2021년 1월 및 3월에 각각 공포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일부개정법률로, 선행연구 검토 및 예비 연구 수행 결과에 따라 해당 법률 제·개정이 우리나라 아동학대 관련 입법체계의 변화에 유의미한 역할을 하였으며 담론 또한 가장 활발하게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 자료는 해당 법률의 제·개정에 관련된 국회의 회의록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법률안 의안 원문과 검토보고서, 대안반영폐기된 법률안들의 관련 문서 또한 포함하여 의안 원문 총 48건, 검토보고서 총 14건, 회의록 총 35건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2000년 「아동복지법」 전부개정 당시에는 아동학대를 사회문제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려는 아동학대의 ‘사회문제화 담론’이 지배적 담론으로 기능하였고, 이는 ‘아동보호 담론’ 및 ‘처벌강화 담론’과 접합하여 당위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또한 제도의 설계에는 ‘자율성 중시 담론’과 ‘보편적 원칙 담론’이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에는 정부의 「UN 아동권리협약」 비준과 IMF 금융위기를 계기로 정권교체와 함께 들어선 김대중 정부의 복지정책 확장이 담론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결정적으로 소위 ‘영훈이 사건’과 ‘신애 사건’으로 불리는 아동학대사건에 대한 언론 보도에 따른 사회적 인식 변화 및 아동 관련 단체 등 시민사회의 활동이 아동학대의 법제화에 기여하였다. 다음으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제정되고 이에 맞추어 「아동복지법」이 개정된 2014년에는 ‘처벌강화 담론’이 심각한 아동학대 사건의 발생과 이에 따른 국민적 여론의 형성을 배경으로 ‘아동보호 담론’ 및 ‘제도적 강제 담론’과 접합하여 압도적인 우위를 차지하였다. 이에 따라 아동학대 관련 의무 규정들이 마련되었으나, 또 다른 우세 담론인 ‘재정 한정 담론’의 영향으로 아동학대 관련 인프라나 예산의 확충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제도 설계에 있어서는 ‘보편적 원칙 담론’이 여전히 통용되고 있었으나 ‘아동학대 특화 담론’ 또한 발전하였다. 이 시기 사회문화적 맥락으로는 이념논쟁에서 벗어난 생활 정치의 확산과 자발적·참여적 시민운동의 전개를 토대로 ‘아동학대사건의 공론화’가 이루어진 것이 아동학대 관련 입법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소위 ‘이서현 사건’으로 불리는 ‘울주 아동학대 사건’에 대한 시민들의 활동과 민간의 자발적 조직인 ‘울주 아동학대 사망사건 진상조사와 제도개선위원회’의 ‘이서현 보고서’ 발간이 법률 제·개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2020년 말에서 2021년 초에 이루어진 법률 개정 시기에는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국가의 개입을 강화할 필요에서 ‘공적 개입 강화 담론’이 지배적 담론으로 등장하였고, 이는 ‘아동보호 담론’, ‘처벌강화 담론’, ‘원가정 회복 담론’, ‘제도적 강제 담론’ 및 ‘아동학대 특화 담론’과 접합하여 논리를 강화하였다. 재정적 측면에 대해서는 ‘재정 확보 담론’과 ‘효율적 집행 담론’이 공존하였다. 담론 형성의 배경이 되는 주요 사회문화적 맥락으로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및 정권교체를 이뤄낸 ‘촛불집회’로 대표되는 시민사회의 성공 경험과 소위 ‘정인이 사건’으로 불리는 ‘양천구 입양아 학대사건’에 대한 국민적 분노 및 이에 따른 「민법」의 징계권 폐지, ‘포용국가 아동정책’을 통한 정부의 적극적 자세 등이 발견되었다. 국회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아동학대에 대하여 처벌의 강화만이 아닌 원가정 회복을 위한 아동학대행위자에 대한 치료 등의 제공과 아동보호의 강화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보편적 법 원칙 위주에서 아동학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화된 제도를 마련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제도 운용에서도 개인의 도덕적 의무감 등 자율성을 중시하는 관점에서 제도적으로 의무화하는 관점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아동보호 담론’과 ‘효율성’에 관련된 표현들은 모든 시기에 지속적으로 등장하여 국회가 아동학대 문제를 아동의 보호에 관한 문제로 여기고 있으며 당위성이 아닌 효율성의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매 시기 심각한 아동학대사건의 발생을 계기로 민간의 주도적 입법 추진을 통하여 법률이 제·개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회의 아동학대 관련 입법에서는 국가의 아동보호 책임이나 개입에 관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입법이 추진됨에 따라 뚜렷하게 지배적인 담론이 나타나지 않는 등 담론의 형성이 저조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아동학대 관련 입법이 추진될 수 있었던 추동력은 사회문화적 맥락 중 아동학대사건의 발생과 이와 관련된 시민사회의 활동 및 사회적 여론의 형성이 결정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동을 독립적인 인격체나 권리의 동등한 주체로 바라보기보다는 ‘보호의 대상’으로 객체화하여 인식하는 관점에서 법률을 만들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및 논의에 따른 제언으로는 친권에 대한 고찰 및 아동학대 조사 공공화 제도 개선을 통한 아동학대 관련 국가의 개입 기준 수립, 아동학대 사망사건 분석제도의 도입 등 숙의를 통한 아동학대 관련 법률의 선제적 입법 및 학대피해아동쉼터 등 관련 인프라의 확충, 교육 및 절차의 의무화와 아동의 참여권 보장을 통한 아동학대 인식 및 아동권리 강화를 위한 입법 및 제도의 개선과 아동을 권리의 주체로 바라보는 시각을 바탕으로 사회에 내재된 아동 권리 침해 상황을 식별해 내고 아동권리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는 등의 다각적인 아동권리옹호 활동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동학대와 관련된 법률의 제·개정 과정에서 나타난 담론을 분석하고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이를 살펴봄으로써 아동학대 관련 입법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접근을 시도하였고, 담론의 시기별 특성 및 변화의 양상을 살펴보았다는 점에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