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8 Download: 0

도박중독 온톨로지 개발

Title
도박중독 온톨로지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problem gambling Ontology
Authors
박은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전종설
Abstract
우리나라에서는 불법 인터넷 도박이 성행하며 사회 전반에 도박문제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과 청년층의 도박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박문제는 개인의 정신 건강뿐만 아니라 직장이나 학교에서의 역할 수행, 범죄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치며, 나아가 가족, 지역사회에까지 부정적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심리, 사회, 생물학의 복합적인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어, 다양한 변수들 사이의 상호작용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도박중독 온톨로지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와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도박중독 온톨로지는 온톨로지 구축, 전문가 평가, 온톨로지 수정 보완, 포함력 평가의 네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온톨로지 구축은 Noy와 McGuinness(2001)의 ‘Ontology Development 101’ 방법을 기반으로 하였다. 온톨로지는 상·하향 복합식으로 개발하였는데 선행연구를 통해 유목화, 범주화하여 분류체계를 구성하고(하향식), 뉴스와 소셜미디어 자료에서 핵심 용어를 추출하여 적절한 범주에 배치하거나 적절한 범주를 추가하였다(상향식). 또한, 개발된 온톨로지의 타당도와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및 포함력 평가를 진행하였다. 전문가 평가는 도박중독 영역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전문가가 진행하였고, 포함력 평가는 2021년 데이터에서 추출된 결과를 이전 년도 자료로 구축한 결과와 비교하여 용어의 출현율과 개념의 일치 정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박중독 온톨로지 개발하여 도박중독 관련 소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틀로써 활용하여, 추후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도박중독의 위험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하고자 하는 것이다. 온톨로지 개발을 위해 학술논문 426편, 뉴스 5,374건, 소셜미디어 61,643건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키워드 분석을 통해 ‘도박중독 정의’, ‘도박중독 이해관계자’, ‘도박중독 영향요인’, ‘도박중독 폐해’, ‘도박중독에 대한 대응’의 5개 대분류를 설정하였다. 또한, 중-소-세분류에 해당하는 하위분류 134개를 구성하였고, 총 1,476개의 키워드를 구축하였다. 온톨로지 구성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도박중독의 정의’는 도박유형, 질병 개념, 증상, 진단을 중분류로 구성하였다. ① '도박유형’은 도박중독에 이르게 하는 도박의 종류로 사행산업, 사행행위, 유사도박의 세분류로 구분하였다. ②‘질병개념’은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DSM-5)과. 국제질병사인분류(ICD-10)를 비롯한 과도하거나 위험한 수준의 도박을 명명하는 용어가 포함되게 구성하였다. ③‘도박중독의 증상’은 DSM-5에서 도박장애 진단기준인 ‘금단/갈망, 내성, 충동, 조절 실패/재발, 집착, 회피, 추격매수/본전 되찾기, 거짓말, 경제적 원조’를 표현하는 용어를 포함하였다. ⑤‘도박중독 진단’에는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척도와 검사와 관련된 용어를 포함하였다. 둘째, ‘도박중독의 이해관계자’는 서비스 이용자, 서비스 제공자, 서비스 관련 기관으로 구분하였다. 서비스 이용자는 도박경험 여부, 성별, 연령대, 특성으로, 서비스 관련 기관은 관리 감독기관과 사행산업체, 관련 부처와 기관으로 세부적인 구분을 하였다. 셋째, ‘도박중독의 영향요인’은 Abbott et al.(2018)의 위험한 도박 개념 틀을 참고하여 심리 요인, 사회 요인, 생물학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심리 요인은 성격과 기질, 자기 인식, 사회학습, 비합리적 신념, 도박 동기를 중분류로 구분하였고, 사회 요인은 접근성, 가족·지인의 도박참여, 낙인, 사회문화환경, 경제환경을 중분류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생물학적 요인은 단일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도박중독의 폐해’는 Langham et al.(2015)의 도박중독 폐해 개념 틀을 참고하여 건강문제, 관계문제, 재정문제, 학업직업 문제, 법적 문제로 구성하였다. 건강문제는 정신 건강과 신체 건강으로 구분되며 정신 건강 문제에는 공존 질환, 건강위험 행동, 정서 문제, 행동문제, 자살, 기능 저하를 포함하였다. 다섯째, ‘도박중독에 대한 대응’ 은 예방·치유서비스와 정책 및 제도로 구성하였다. 예방서비스는 미국 약물 남용 및 정신건강청(SAMHSA)의 물질남용 예방부서의 예방전략을 기반으로 정보확산, 예방 교육, 지역사회 기반 서비스, 문제발견 및 의뢰로 구성하였다. 치유서비스는 치유방법과 기법으로 구분하였고, 회복에 대한 긍정적 가치는 ‘회복자원’으로, 회복을 위한 구체적 실천을 포함하는 용어는 ‘회복실천’으로 소분류를 생성하였다. 또한 ‘정책과 제도’에서는 책임도박과 사행산업 규제를 소분류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정책과 실천에서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도박중독 영역의 온톨로지를 개발하고, 평가한 것으로 소셜데이터에서 도박문제의 위험신호를 예측하고, 동향을 정기작으로 모니터링하는 분석 틀로 활용될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 전 세대를 아우르며 도박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박이 어떤 경로나 계기, 유형을 통해 접근성과 가용성을 높일 수 있는지, 그리고 도박자의 성별, 연령, 지역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면 더 효과적이고 적시에 대응하는 도박중독 예방 실천전략을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현재는 자료 본문의 명사 키워드를 중심으로 구축이 되었으나 향후 본문의 댓글과 피드까지 포함하고, 명사와 형용사, 동사까지 구축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도박중독 감정사전을 구축하고, 데이터의 수집에 있어서도 본문 뿐 아니라 댓글, 피드 분석을 통해 도박중독 이슈의 확산 과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둘째, 소셜빅데이터는 개인이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감정, 가치, 반응을 포함하므로 기존에 학술조사에서 얻지 못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온톨로지에서는‘폐해’카테고리 내의‘기능저하’항목과‘치유서비스’의 하위 카테고리인‘회복자원’과‘회복실천’카테고리가 그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결과에서는 개인의 회복자원과 실천방법은 주목받지 못하였다. 추후에는 회복자원과 회복실천, 기능저하 분류에 대해 요인분석, 군집분석 등을 통해 하위요인을 발견하고, 도박중독과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확인하여 도박중독과 회복에 대한 종합적 이해와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문영역 온톨로지는 많은 관련 구성원이 참여하여 개발하고, 수정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나 본 연구에서는 6명의 전문가를 통해 온톨로지를 검증하는 것에 그쳤다. 향후에는 더 많은 전문가로부터 현재 온톨로지의 효용성과 타당성을 점검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도박중독 영역에서 처음으로 온톨로지 분석틀 개발을 시도하였고, 소셜빅데이터 수집과 분석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근거기반으로 도박중독 정의, 이해관계자, 영향요인, 폐해, 대응을 모두 포괄하는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논의점을 제시함으로써 실천가와 연구자에게 함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온톨로지를 활용하여 미래에 더 다양하고 효용이 있는 연구들이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gambling problem has spread rapidly in Korea due to the prevalence of illegal Internet gambling. There is a loud voice of social concern about the problem of youth and young peolple gambling. Gambling is not just about individual mental health but it affects the performance of roles at work or school, and even crimes and furthermore, the negative ripple effect is profound for families and communities. It's also a combin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factors that interact and because it affects the problem, interaction analysis with various variables is necessary. To this end, this study develops an ontology that can be used to garner and analyze social big data on problem gambling online and feasibility and usefulness were assessed. The Problem gambling ontology wa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Ontology Development 101' method of Noy and McGuinness (2001). The ontology was developed in a combination of up-down directions of which classification system was constructed by nomadicization and categorization (top-dow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key terms were extracted from news and social media materials and organized into appropriate categories or added appropriate categories (top-down). Besides, expert evaluation and inclusion evaluation were carried out to properly assess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ontology. In the expert assessment, six expert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of problem gambling assessed the structure and expressiveness of ontology, and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ontology, usefulness was evaluated through inclusion assessment. The inclusion assessment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extracted from the 2021 data with the results constructed from the previous year's data evaluate to what extent the key terms and concepts in the new data can be reflected, as well as the rate of appearance of the terms and the level of conformity of the concepts (complete, partial, consistent, or inconsistent with a broader or narrower concept). For ontology development, 426 academic papers, 5,374 news articles, and 61,643 social media data were garnered and through keyword analysis, and five major categories comprising ‘definition of problem gambling, problem gambling Stakeholders, problem gambling Influencing Factors, problem gambling, and response to problem gambling’ as the main category, and 134 sub-categories comparable to the small-medium category were formed and a total of 1,476 keywords were built. Looking at the com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major classification of ontology, first, 'Definition of problem gambling' has 14 subconcepts in three stages of the medium-small-segment classification and gambling type, disease concept, symptoms, and diagnosis were split into divisions. Second, the stakeholders of problem gambling was categorized as service users, service providers, and service-related institutions.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public health, service users were considered from ordinary people who had no gambling experience to the level of problem gambling including family, acquaintances, and service-related people. Third, with respect to 'the harmful effects of problem gambling' referring to Langham et. al. (2015)'s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harmful effects of problem gambling, it comprised health problems, relationship problems, financial problems, academic job problems, and legal problems. Fourth, regarding Abbott et. al. (2018)'s dangerous gambling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fluencing factors of problem gambling', it comprised psychologic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biologic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comprise personality and temperament, self-awareness, social learning, irrational beliefs, and gambling motivation while social factors comprise accessibility, stigma,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biological factors comprised a single factor without subcategorization. Fifth, 'Response to problem gambling' consisted of preventive healing services and policies and institutions. The prevention service consisted of information diffusion, prevention education, community-based services, problem discovery, and requesting based on SAMHSA's prevention strategy in the field of substance abuse. Prevention services are on the basis of SAMHSA's substance abuse prevention strategy and comprise information dissemination, prevention education, community-based services, problem discovery and referral. Healing services were classified into healing methods and healing techniques, and the positive value of recovery was subclassified as 'recovery resources', a term that includes specific practices for recovery, and 'restorative practice'. Besides, 'Policies and Institutions' classified responsible gambling and speculative industry regulation into subcategori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ise in connection with theoretical and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oblem gambling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the one that developed and assessed an ontology in the problem gambling domain, and can be utiliz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to confidently predict the risk signals of gambling problems in social data and to monitor trends regularly. Second, since social big data includes emotions, values, and reactions that individuals voluntarily express, it is possible to gain access to information that cannot be obtained in conventional academic research. In this ontology, Third, ontologies in specialized fields require the participation of many related members to develop, correct, and supplement the process,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confined to verifying the ontology through six experts. In the future, more experts will ne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current ontology.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attempted to develop an ontology analysis framework for the first time in the problem gambling area and laid the sound foundation for social bi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builds an ontology that runs the gamut of the definition of problem gambling, stakeholders, influencing factors, harms, and responses based on evidence, and presents discussion points and thereby provide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and thus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and effective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utilizing ontolog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