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2 Download: 0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일에 대한 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일에 대한 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moderating effect of inclusion in the workplace
Authors
이지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적경제협동과정
Keywords
자폐 범주성 장애, 삶의 만족, 직무만족, 조직 포용성, 사회적 포용성, 고용지원, 고용환경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자폐 범주성 장애인 고용은 기업과 지역사회, 국가와 개인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폐 범주성 장애는 실업률이 높고 고용과 고용유지가 저조한 장애 유형에 속하며 이는 그들의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일에 대한 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고 일터 내 포용성이 자폐 범주성 장애인 삶의 만족 향상에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삶의 만족도, 일에 대한 만족도, 일터 내 포용성을 변인으로 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일터 내 포용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인 삶의 만족에 기여방안을 제시하고,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 연구의 주요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2020년 12월 31일 기준 보건복지부 등록 발달장애인이 1인 이상 포함된 가구의 발달장애인 본인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한『2021년 발달장애인의 일과 삶 실태조사』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체 설문 대상자 3,000명 중 만 18세 이상의 취업한 자폐 범주성 장애인 278명 중 조사 문항에 응답한 203명을 대상으로 SPSS 25.0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인 삶의 만족에 일터 내 포용성이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삶이 만족에 있어 일에 대한 만족과 일터 내 포용성은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 내 포용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에서 일에 대한 만족과 삶의 만족 간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일터 내 포용성이 강화요인으로써 조절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강화할 수 있는 개입방안과 정책적 접근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장애의 특성으로 인한 어려움과 지원 요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삶의 모습에서 지속되는 주제이므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삶의 만족을 향상하기 위해 차별화된 고용과 고용지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높은 이직률은 다시 취업 지원 서비스로 진입해야 하는 어려움을 발생시키므로 취업과 고용유지를 위한 모든 과정을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고용으로 개념을 확장하고, 이를 위한 지원과 정책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세 번째로 자폐 범주성 장애의 특정 경험과 다양성을 고려한 자폐 범주성 장애만의 정량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일과 삶 그리고 포용성을 연구해야 하며, 정확한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로 자폐 범주성 장애인에 대한 인식이 소속된 조직의 문화에 긍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중요하므로 직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잘 이해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 번째로 기업의 인권존중 개념이 더욱 성장하여 자폐 범주성 장애인이 훈련되고 변화되어야 일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닌 개인에게 맞는 직업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기업 내 풍토가 마련되어야 한다. 여섯 번째로 기업의 일터 내 포용성은 장애인 지원 고용의 질을 가늠하게 하는 중요한 척도임이 분명하며, 기업은 이에 대한 자체적인 기준을 만들고 국가는 이를 이행하는지 점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자폐 범주성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일터 내 포용성에 대한 사회 통합적 기반 마련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개인과 조직 그리고 사회적 차원의 변화가 동시에 일어나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자폐 범주성 장애인이 일터에서 더 높은 가치를 주고받게 되길 바라며, 이를 위해 개인과 사회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와 실천 전략을 수립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Employment of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has a positive impact on businesses, communities, countries, and individual lives. ASD are among the disability types with high unemployment rates and poor employment and retention, which can lead to a decrease in their quality of life.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in individuals with ASD and examines whether workplace inclus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 individuals with ASD. For this purpose, a research model with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workplace inclusion as variables was propos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workplace inclusion was tested.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ways to contribute to the life satisfaction with ASD and to draw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data from 『The 2021 Survey on the Work and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tested the research model on 278 employed with ASD over the age of 18 out of 3,000 total survey participants, and 203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s. To test for moderating effect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This was done to test whether workplace inclusion interacts with life satisfaction with AS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job satisfaction and inclusion in the workplace have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mong individuals with ASD. Second, workplace inclus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workplace inclusion as a reinforcing factor on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AS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interventions and policy approaches are suggested to strengthen the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ASD. Firstly, because challenges and support needs due to the nature of the disability are a persistent theme in the lives of ASD, differentiated employment and employment supp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with ASD. Secondly, the high turnover rate of ASD creates difficulties in re-entering employment support services, so the whole process of getting and keeping a job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the employment of ASD, and support and policy should be guided by this. Third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measures of inclusion in work, life, and the workplace based on quantitative outcomes specific to ASD that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 experiences and diversity of ASD. Fourthly, it is important that awareness of ASD is positively connected to the culture of the organization, s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utilize workplace disability awareness training. Fifthly, companies need to become more aware of ASD so that they can modify their workplaces to accommodate diverse workers, and the concept of respect for human rights needs to be more widespread in their organizations. Sixthly, it is clear that inclusion in the workplace is an important measure of the quality of accessible employment, and companies should set their own standards and countries should check their implementation. Finally, creating a socially inclusive foundation for workplace inclusion is crucial to improving the life satisfaction of ASD and requires simultaneous changes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etal levels. This study will serve as an evidence base for research and action strategies on what individuals and society can do to increase the value workers of ASD in the workpl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적경제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