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3 Download: 0

민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욕망의 형상화

Title
민화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욕망의 형상화
Other Titles
The embodiment of desire based on Minhwa (Korean folk painting) characteristics
Authors
구민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본 연구는 전통 민화 속 동물들의 상징 의미와 시각적 특성에 대해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물들이 담고 있는 삶에 대한 애정과 욕망의 모습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동시대적 욕망의 모습을 형상화하는 과정이다. 민속신앙의 색채가 강한 민화에서 다뤄진 동물들의 상징성에 묻어있는 오랜 시대적 이념과 가치, 그리고 삶에 대한 애착은 과거의 것만이 아닌 동시대적 인간의 속성으로 그들을 다시 회화에 소환하여 다룸으로써 나와 우리의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궁중 장식화의 양식을 기반으로 대중들에게 널리 전파된 민화는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운 필체로 당대의 삶의 태도를 반영하여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다. 궁중에서 화원들에 의해 그려졌던 민화와 서민들이 즐긴 무명화가들의 민화는 기술적 측면에서 그 미감은 달리하지만 회화 속 동물들이 전하고자 하는 삶에 대한 애착과 사랑은 같다. 이는 ‘욕망’에 대한 염원의 에너지로써 여러 시각적 특징과 함께 발현되었다. 먼저 색감적 측면에서 이전 동양화 화단의 것과 구분되는 진채의 대비가 있다. 오방색의 사용을 통해 색감에도 길상적 의미를 부여하여 상징성을 더 강화하고 생활공간을 장식하고 복을 기리는 목적성을 충족시켰다. 이러한 색감의 특징점은 재해석 과정에서 더욱 강렬하고 과잉된 색감으로 이어져 형광안료와 반짝이와 같은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현대의 상업적 안료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욕망에 대한 본인의 해학적인 관점을 유쾌한 색감으로 표출하였으며 과거 민화 속 동물들이 보여주는 욕망의 이야기를 너무 무겁지만은 않은, 우리들의 이야기로 전환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후반 작업에서 과잉된 색감과 이어져 키치적(kitsch) 표현인 무지개, 폭죽, 마름모 빛 형상 등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 또한 같은 맥락이다. 이러한 색감적 특성 뿐 아니라 복합성, 반복성이라는 민화의 특성도 본인의 작업에 녹아있다. 그리고 재해석 과정에서 구도와 화면의 비율적인 측면의 경우 전통 동양회화의 ‘축(軸)’과 ‘권(卷)’의 양식을 차용하였는데 축(軸)의 종단(縱斷)의 시선의 흐름과 권(卷)의 횡단(橫斷)의 시선의 흐름이 교차되며 집중되고 분산되는 효과를 의도하였다. 그리고 가로로 길고 거대한 화면을 통해 시공간의 분절과 연속, 그리고 공존하는 환상공간을 연출하였다. 한편, 본인의 작품 속 소재와 내용 면에서 ‘욕망’을 긍정, 부정, 균형의 관점에서 단계적으로 풀어내고자 하였다. 욕망이라는 것은 인간의 삶을 더욱 능동적이고 희망차게 만드는 원동력으로 작용하지만 그것이 과잉되면 양날의 칼과 같이 삶을 지배당하게 된다. 현대 물질만능주의 사회에서 미디어의 노출로 인해 부추겨지고 소비되며 범람하는 욕망의 흐름에서 단지 욕망을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아닌 욕망의 균형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욕망은 그저 존재할 어떻게 다루는지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작품 속 소재의 원료 또한 민화에서 역사적 텍스트, 설화 속 상상의 동물로 전환되며 전개되었다. 직관적으로 상징성을 읽어낼 수 있는 동물에서 그렇지 않은 동물로의 소재 변화는 더 복합적인 욕망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색감, 화면 연출과 구성 등 조형 언어에서의 차용과 재해석, 그리고 소재의 변환을 통해 작업을 이끌어나가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민화가 내포하는 욕망의 에너지를 재해석하여 회화적으로 어떻게 형상화하고 해석할 것인지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논문의 Ⅰ장에서는 역사적으로 욕망을 기반으로 형성된 예술과 문화, 그리고 동물간의 긴밀한 관계성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이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조선시대의 ‘민화’에 대해 언급한다. 이후 Ⅱ장에서 민화의 시각적 특성에 대해 탐구하고 민화 속 동물들의 상징의미에 대해 정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본인의 작업에서 욕망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달라지는 단계적 변화 과정을 다루면서 욕망에 대한 본인의 이해에 대해 담고자 하였다. 그리고 작업의 방향성에 맞추어 변화한 색감적, 구도적 재해석을 Ⅳ장에서 풀어낸다. 이처럼 과거의 것에서 차용하고 더 강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게 된 작업을 통해 인간이기에 느낄 수밖에 없는 결핍, 우울, 좌절에서 다시 일어서게 만드는 생생한 욕망의 힘을 다시 전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ymbolic meaning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animals in Minhwa (Korean folk painting), and based on this, reinterprets the love and desire for life told by animal figures to shape human contemporary desires. The long-term ideology, values, and attachment to life in the symbolism of animals dealt with in Minhwa with strong overtones of folk beliefs are not only of the past, but also of contemporary humans. so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m by summoning their stories to my paintings. ‘Minhwa’, which were widely spread to the public based on the style of royal decorative paintings, are candidly captured by reflecting the attitudes of life of the time in free handwriting without being bound by form. Minhwa drawn by painters in the court and Minhwa of unknown painters enjoyed by ordinary people have different technological aspects, but they have the same attachment and love for the life that animals in the painting want to convey. This was expressed along with various visual characteristics as the energy of the desire. First, in terms of color, there is a clear contrast of color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previous oriental painting method. Through the use of five colors, which are traditional colors, they gave lucky meanings to colors to further strengthen symbolism, decorate living spaces, and satisfy the purpose of honoring blessings. These color features led to more intense and excessive colors in the reinterpretation process, and modern commercial pigments that did not exist in the past, such as fluorescent pigments and glitter, were used in my work. Through this, I expressed my own humorous point of view on desire in pleasant colors, and tried to convert the story of desire shown by animals in past Minhwa into our own story that is not too heavy. In the latter part of the work, excessive colors were followed, leading to the emergence of kitsch expressions such as rainbows, firecrackers, and rhombus light shapes. This is also in the same context, and not only the color characteristics, but also the characteristics of Minhwa such as complexity and repetition are incorporated into one's work.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atio of composition and screen during the reinterpretation process, the styles of ‘Chuk(Vertical Long Screen Ratio)’ and ‘Gwon(Horizontal Long Screen Ratio)’ of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were borrowed. The flow of time and space flowing vertically of ‘Chuk’ and the flow of time and space flowing horizontally of ‘Gwon’ are intersected, and the flow of gaze looking at the work is intended to be concentrated and dispersed. And through a horizontally long screen, the segmentation, continuity, and coexisting fantasy space were created. On the other hand, I wanted to solve 'desire' step by step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e, negative, and balance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work. Desire acts as a driving force that makes human life more active and hopeful, but when it is excessive, life is dominated by desire. In the flow of desire fueled, consumed, and flooded by media exposure in the modern materialistic society, I would like to talk about the balance of desire rather than interpreting it negatively. This is because desire simply exists and changes its appearance depending on how it is handled. As my work progressed, the foundation of animals in the work was developed by converting from Minhwa to historical texts and imaginary animals in tales. This is because I thought that the symbolic meaning of animals that could not intuitively read the symbolism contained more complex desires than animals that could intuitively read the symbolism. In this way, it was intended to lead the work through borrowing and reinterpretation in the formative language such as color, screen production and composition, and the conversion of the featured animals. This study aims to deal with how to visually shape and interpret the energy of desire implied by Minhwa(Korean folk painting). Chapter I of the paper talks abou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culture, and animals historically formed based on desire, and mentions the ‘Minhwa' of the Joseon Dynasty, which shows thi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fter that, in Chapter II, the visual characteristics of Minhwa were explored, and the symbolic meaning of animals in Minhwa was summarized. Chapter III tried to contain one's understanding of desire by dealing with the step-by-step process of change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desire in one's work. And the color and compositional reinterpretation that hav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this work is explained in Chapter IV. Through my work, which has developed in a way of borrowing and reinforcing past paintings, I would like to convey the power of vivid desire that makes us rise again from deficiency, depression, and frustration that we are forced to feel because we are huma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