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4 Download: 0

마음 기록가

Title
마음 기록가
Other Titles
A mind archivist: How to let go by confronting.
Authors
장한이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서경
Abstract
많은 것들이 공유되면 될수록 우리는 예전보다 조금 더 가깝고 친밀한 사회 속에서 살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우리의 생각과 일상은 너무나도 쉽게 공유를 넘어서 노출이 되었다. 언제든지 만나고 헤어질 수 있는 관계는 탄력적인 것이 아닌 가볍고 가늘어진 것처럼 되었다. 수많은 정보와 연결 속에서 ‘나 자신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어떤 사람이 될 것인가’는 마치 수많은 선택 가지 속에서 복불복 게임을 하는 듯하다. 그러나 오늘날에 이런 사회 안에서 잘 사는 방법은 잘 고르는 것이 아닌 정답이 없음을 인정하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이다. 우리는 하루에 많은 시간을 타인과 소통하며 살 수밖에 없는 사회에 살게 되면서, 나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간보다 타인과의 관계에 집중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자신과 마주하는 시간이 줄어들수록 자신 안에 울리는 소리를 듣지 못한다.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답은 스스로에게 있다.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 간에 다양한 이해관계, 서로 다른 견해 차이 속에서 나 자신을 잃지 않고 자신만의 중심점을 찾아야 한다. 이처럼 본 논문은 자신만의 중심점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신만의 중심점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들을 알아 보았다. 먼저, 본론의 첫 장에서는 왜 정해진 것이 아닌 자신의 중심점을 찾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심리학자 빅터 프랭클(Viktor Frankl)의 로고테라피(logotherapy)통해 살펴보았다. 위의 이론은 본인의 작품이 형성되는 데에 중요한 태도가 되었으며, 이러한 태도는 일상을 기록함으로부터 시작된다. 기록을 통한 일상의 미세한 변화의 관찰은 자신의 마음을 객관화하는 지평이 되는데, 이를 소설가 조르주 페렉(Georges Perec)의 글쓰기를 통해서 알아 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자신만의 중심점을 찾는 과정에서 그림으로 표현할 때 나타나는 특징에 대해서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다. 먼저, 본인은 반복적 기록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객관화하여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은 글을 다듬으면서 자극된 상상력이 자연스럽게 이미지로 연상이 되는 상태를 만들어준다. 글에서 이미지로 넘어가는 자연스러운 현상을 브렌트 윌슨(Brent Wilson)의 미술교육 이론과 동양화의 상징과 은유의 특징에서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본인은 반복적인 글쓰기와 이미지 도출을 통해 정답이 없는 사회에서 하나의 해답을 내릴 수 있는 유연함을 기르려고 했다. 마음 속에서 떠나지 않은 문제를 비워내는 방법으로, 그 문제들을 일시적으로 정의하고 분류한다. 이러한 특징은 사공도(司空圖)의 『시품』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모호한 것들을 정의와 분류한다. 마지막 본론 장에서는 앞서 살펴보았던 ‘중심점을 찾아 가는 과정’의 특징의 조형적 측면에 대해서 다뤘다. 은유를 통한 글과 이미지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장으로써 작품 구성 형식 등 실체적인 부분을 보여준다. 그 형식을 두 가지로 나누어 설명했다. 우선, 연상을 통해 도출된 이미지들이 은유의 보조관념에 따라서 형성되는 형태의 차이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반복적인 배치와 나열이 주는 의미의 탈락과 생성이 본인의 마음에서 흘려보내는 상태와의 연관성을 발견했다. 또한, 시각화된 감각들이 단순화된 도형으로 반복적으로 화면에 등장하면서 본인만의 사적인 기호가 되어 여러 작품에 나타나는 특징에 대해 다뤘다. 마지막으로 시의도(詩意圖) 형식을 차용하여 글과 그림이 어우러지는 형식의 변화에 대해서 서술한다. 시의도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안중식과 정선의 작품 비교를 통해 개인의 사사로운 감정이 드러나는 방식의 유사점과 차이점에 주목했다. 더 나아가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징인 함축적인 텍스트와 단순화된 형상 그리고 담담한 제목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지점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요컨대 본 논문은 세상을 잘살아 보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은 것이며, 작품의 특징으로 나타나는 은유와 반복 그리고 정의와 분류는 본인만의 중심점을 찾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이는 각자 개인이 마음의 고민을 처리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을 것이며, 본 연구는 본인의 특성에 맞춰 특화된 하나의 방법으로 이는 꼭 정해진 것이 아니며, 본인의 작품을 기점으로 독자 자신의 인식과 경험에 따라 다양한 해석과 이해가 가능하다. ;We thought that the more things we shared, we would live in an intimate society than before. However, our daily lives were exposed too easily beyond sharing. The relationship that can meet and break up at any time has become less elastic, lighter, and thinner. Among a lot of information and connections, "How do I live my life?" and "What kind of person I will be" are like playing a luck test game. Nonetheless, the way to live well in the close society is not to choose well, but to admit that there is no correct answer. Just deal flexibly with. Nowadays we spend a lot of time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focused on relationships with others than on ourselves. The less time you spend facing yourself, the less sound you can hear inside you. Among the overflowing information, you should find your own center point without losing yourself between various interests and differences of views. In this way, this study contains the process of finding one's own central point. Therefore, in this paper, I found out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finding my own center point. In the first chapter of the body, I observed at psychologist Viktor Frankl's logo therapy which contains about why we should find our center point. The above theory became an important attitude in the formation of my work, and this attitude begins with recording daily life. Observation of small changes in daily life through records becomes a criterion of objectify one's mind. Which was examined through the work of novelist Georges Perec. In the next chapter, I described the aspects when expressing on paintings while finding my own center point. First, I tried to objectify my mind through repeated records. While re-organizing sentences, this process creates a state in which stimulated imagination comes out as images. I detected the natural phenomenon of moving from writing to image through Brent Wilson's theory of art education and the symbols and metaphors of Korean paintings. Second, I tried to develop the flexibility through repeated writing and derived image. Define and classify problems temporarily in a way that leaves them open. These features are classified as definitions by referring to Sagong-do’s "Poetry”. In the last chapter, I handled at the formative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finding the center point" that we looked at earlier. It is a place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sentences and images through metaphors. It also indicates substantive parts such as the composition of art works. I explained the format in two parts. First, I discerned the differences in the forms of derived images depends on what metaphorical substantive parts used. Then, I found a connection between the omission of meaning given by repeated arrangement and the state then can be stressed out form my mind. In addition, as visualized senses appear repeatedly on my paintings. They become simplified figure as my own personal symbols. Finally, I descried the change of harmony between sentences and pictures by applying the form of ‘poem with picture’. Through the comparison of works by Ahn Jung-sik and Jung Sung, who actively used the form of ‘poem with picture’, paid attention to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way individuals' personal feelings are revealed. Furthermore, I explained the point where implicit text, simplified shape, and calm titles, harmonize together in my paintings. In short, this paper contains the process of finding the way to live well. Metaphors, repetitions,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that appear as characteristics of the work suggest ways to find my own center poin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the way each individual handles his or her mental concerns. This study is a method specialized according to my personality. It can be interpreted and understood depending on the reader's own perception and experi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