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8 Download: 0

평온한 관계

Title
평온한 관계
Other Titles
A Peaceful Relationship
Authors
이혜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영
Abstract
연구자는 학창 시절부터 친밀감을 느끼는 인간관계에 대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곤 했다. 상대방에 대한 애착으로 인해 특별한 사이일수록 집착을 하게 되어 문제를 만들었고 그 문제는 본인을 힘들게 했다. 점점 더 가까워질수록 역설적이게도 점점 더 멀어지게 되었다. 그렇게 관계 속의 큰 기쁨과 행복이 지나고 난 후에 찾아오는 심적 우울로 인해 처음 행복의 크기에 맞먹는 큰 불행을 느껴야만 했다. 이러한 경험을 하면서 가까워진다는 것에 대해서 두려움을 느끼는 양가적인 감정을 갖게 되었다. 항상 설레고 기쁜 인간관계의 시작점은 결국 우울을 촉발하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인간관계에 대해서 상당한 두려움이 있다. 그래서 본인은 더 이상 인간관계에서 받은 상처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싶지 않았고, 상대와 거리감을 유지하는 본인만의 방법을 만들어 사용하게 되었다. 스스로 관계에 대한 집착을 줄여나가면서 관계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크나큰 기쁨을 포기하게 됐다. 하지만 전과 같은 심각한 우울을 겪지 않음으로써 심적인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것이 옳은 방법이거나 좋은 방법인지는 확실치 않다. 하지만 평온함의 범주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본인에게는 매우 기쁜 상태보다 특별히 나쁜 일 없는 평온한 상태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를 그린다”라는 것, 자신을 표현한다는 것은 인간관계에 점철되어 있는 본인을 그대로 드러내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나의 인간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과연 만들어낼 수 있을까?”라는 의문에 대해서 고민하게 되었고, 과연 그렇다면 어떤 접근일지에 대하여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것을 그림으로 표현하던 중 놀랍게도 본인이 인간관계에서 상대를 대하는 것처럼 그림을 대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처음엔 즉흥적으로 그리는 것이 좋았지만 강렬한 처음의 느낌에만 집착하게 되면서 연구자 본인이 그림을 이끌고 있는 것이 아닌 그림이 본인을 이끌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또한 그림의 밀도에 대한 한계를 느끼게 되면서 즉흥적인 것 그 이상의 것을 갈구하게 되었다. 그래서 인간관계에서 마음이 편해지는 루틴을 썼던 것처럼 그림에도 조형적인 방법을 쓰게 된다면 평온함을 시각적으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다다르게 되었다. 인간관계에서의 루틴을 어떤 방식으로 화면 속에 옮길 수 있을지 고민하던 중, 본인이 사용했던 규칙들은 모두 관계에 대한 집착을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분산’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여러 연구를 하게 되었다. 그 결과, 뚜렷한 감정선이 느껴지는 상황을 그린 그림 위에 처음과는 다른 상황이나 감정들 혹은 아무 관계없는 조형적인 요소들을 쌓아 나가는 회화 구조를 만들게 되었다. 처음의 상황과 감정이 점점 평범해지고 플랫 해지면서 초동의 격렬한 감정이 점점 희미해졌다. 이 연구 과정에서 화면을 분산하겠다는 목표 아래 여러 가지의 기법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그중 ‘白, 배접, 페이퍼 커팅’이라는 세 가지의 방법론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어 적극적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白’은 백토나 석고 가루를 화면 전체에 분포하여 채도를 떨어뜨리는 규칙이다. 또 ‘배접’은 여러 모양의 종이를 배접하여 여러 겹으로 화면의 깊이를 만드는 규칙이다. 마지막으로 ‘페이퍼 커팅’은 패턴 모양으로 잘라낸 종이를 화면 위에 붙이거나 그 종이를 대고 물감을 발라서 화면을 장식적으로 만든다. 그림에 사용한 모든 레이어들의 순서를 혼란시키는 규칙이다. 연구자의 그림은 인간관계에서 상처받지 않기 위해 집착을 버리는 노력들의 과정이며,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의 부산물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작업의 과정 자체가 의미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 일련의 과정은 초동의 그림에 대한 본인의 집착을 깨뜨리고 평온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한 것이다. 도달한 그곳에 꼭 평온이 존재한다고 확신할 수는 없지만, 그 과정 속에는 평온하고자 하는 욕구와 기대감이 깃들어 있다.;Since my school days, I have had a lot of difficulties with human relationships that I feel close to. The attachment to the other person made me obsessed with that person and that obsession caused problems in relationships. And I had a hard time because of the problems. Paradoxically, as I got closer to the other person, I became more distant. After the end of the relationship that felt great joy and happiness, I felt depressed. And I had to feel a great misfortune equal to the size of the happiness I felt at first. Through this experience, I had an ambivalent feeling of being afraid of getting close. There is still considerable fear of human relationships now, because the starting point of human relationships, which are always exciting and joyful, eventually triggers depression. Thus, I no longer wanted to suffer from the wounds I received in human relationships. So I created and used my own method of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other person. As I reduced my obsession with relationships, I gave up the great joy I could get from relationships. Yet, since I had no more serious depression, I was able to escape from my mental anxiety. I am not sure whether this is the right way or the best way. But as my mind grew calm, I found it more important for me to be calm without any bad things than to be very happy. I thought that “drawing myself” is revealing oneself in one's human relationship. Thus, I began to think about the question of “Can I visually create a story about my human relationship?” and began to study what approach if so. While I was painting that relationship, to my surprise, I found that I was treating my paintings as if I were treating someone in a relationship. At first, I liked to paint freely, but I became obsessed with the intense first feeling. And I felt that I was not leading the painting, but the painting was leading me. Besides, as I felt the limitation of the density of the painting, I craved more than improvisation. So, just as I used a comfortable routine in human relationships, I came to think that if I used a formative method in my painting, I could create tranquility visually. So I thought about how to translate the rules used in human relationships into my painting. Then I decided that all the rules I used were to disperse my obsession with relationships. Therefore, I have conducted various studies focusing on the keyword ‘dispersion’. After drawing a situation where the emotions of the time were clearly represented, I created a painting structure that accumulates situations, emotions, or pictorial elements unrelated to the initial situation. As the initial situation and emotions became more normal and flat, the intense emotions of the initial period gradually faded. In this research process, I used various techniques with the goal of distributing the painted screen. Among them, the three methodologies of ‘white(白), attaching in many layers, and paper cutting' were effective, so I actively used them. White(白) is a rule that reduces saturation by distributing white clay or gypsum powder throughout the screen of the painting. Attaching in many layers is a rule that creates the depth of a painting in multiple layers by attaching various shapes of paper. And paper cutting is a method of cutting a paper into a pattern shape and then attaching the paper to the painting or applying paint on it. This rule makes the painting's screen decorative, confusing the order of all the layers used in the painting. My painting is a process of efforts to abandon obsession in order not to be hurt in human relationships. And it is also a by-product of efforts to maintain a calm state. Thus, the process of the work itself becomes meaningful. And the goal of this series of processes is to break my obsession with the first painting and move on to a peaceful world. I am not sure that there is necessarily tranquility in my paintings. Yet there is a desire and expectation for tranquility in the proc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