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7 Download: 0

간호사의 양육 실태, 양육스트레스, 직무착근도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간호사의 양육 실태, 양육스트레스, 직무착근도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Parenting status of nurses and Effects of Nurses’Parenting Sterss and Job Embeddedness on Retention Intention
Authors
황민화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Keywords
간호사, 양육스트레스, 직무착근도, 재직의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건정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사의 양육 실태 및 양육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양육스트레스, 직무착근도가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양육기 간호사의 재직의도 향상을 위한 제도 확립 및 효율적인 간호 인력관리를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 이후 2023년 4월 10일부터 6월 4일까지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모집 대상의 구체적인 선정기준은 임상경력 1년 이상이며, 만 5세 이하의 영유아 자녀를 둔 간호사이며, 제외기준은 신체적 또는 정신적 장애가 있는 자녀를 둔 간호사이다. 모집 공고문을 통하여 총 152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시행하였으며 142개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양육스트레스, 직무착근도, 재직의도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program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자녀 양육형태는 출근 시 보육 시설에 맡기고, 퇴근 후 본인 집에서 양육하는 경우가 69.7%(99명)로 가장 많았으며, 본인이 근무하는 동안 자녀의 주 양육자는 기관(어린이집/유치원)이 53.5%(76명)이었다. 2. 대상자의 양육 관련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는 퇴근 후 주 양육자(F=2.506, p=.025), 배우자의 양육 참여 만족도(F=4.265, p=.003), 자녀 양육이 직장생활에 미치는 영향(F=8.370, p<.001), 자녀 양육으로 인한 사직 의향(F=11.487,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배우자의 양육 참여 만족도가 높은 대상자가 양육스트레스가 더 낮았으며, 자녀 양육으로 인한 사직을 많이 생각한 대상자가 양육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4점 만점 중 평균 2.70±0.50점이었으며, 세부 항목 중 근무하는 동안 아이에게 갑작스러운 문제가 생겼을 때 즉시 가보지 못해 안타까웠던 적이 있었다(3.32±0.78점)는 문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착근도는 5점 만점 중 평균 3.07±0.52점, 재직의도는 8점 만점 중 평균 5.46±1.30점이었다. 4.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양육스트레스(r=-.266,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무착근도(r=.398,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다중회기분석 결과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형태(β=.287, p<.001), 양육스트레스(β=-.172, p=.032), 직무착근도(β=.379, p<.001)로 나타났다. 변수들의 전체 설명력은 28.2%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상자의 근무형태, 양육스트레스, 직무착근도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근무형태가 상근직인 경우, 직무착근도가 높은 경우 재직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양육스트레스는 재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재직의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간호사의 직무착근도를 높이기 위하여 직무 내외적으로 사내 복지를 확대하여 근무 혜택을 늘리고, 구성원들 간의 연대감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간호사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시간대의 보육 시설 확충과 병원의 복리후생 제공 및 가족친화제도 시행이 필요하며, 배우자의 적극적인 자녀 양육 참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renting status of nurses, nurses' parenting stress, nursing and job embeddedness, and confirm their effects on job retention intention. This is a descriptive study conducted based on an evaluation of 142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The specific selection criteria for recruitment target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and all those who had a child under 5 years old. The exclusion criteria are nurses with children with physical or mental disabil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0 to June 4,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progra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enting stress of the subject averaged 2.70±0.50. Among the items, the question of having felt sorry for not being able to visit immediately when a sudden problem occurred with the child while working (3.32±0.78) recorded the highest score. The average score of the subjects' job embeddedness was 3.07±0.52, and intention to stay was 5.46±1.30. Retention inten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stress (r=-.266, p=.001), while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embeddedness (r=.398,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intention were work type (β=.287, p<.001), parenting stress (β=-.172, p=.032), and job embeddedness (β=.379, p<.001).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tention intention were found to be the subject's work type, parenting stress, and job embeddedness and the explanatry power was 28.2%. Parenting stress has a negative effect on retention intention and job embedded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retention inten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nurses' job embeddedness,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 to increase work benefits by expanding in-house welfare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job, and to increase solidarity among members.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stress of child raising nurses, it is necessary to expand childcare facilities at various times, provide welfare benefits in hospitals, and implement a family-friendly system. Also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pouses in childrearing is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