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6 Download: 0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arental Rejection Recalled by Undergraduate Students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uthors
장하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운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19~25세 대학생 30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Rohner와 Khaleque(2005)의 ‘성인용 부모 수용-거부 설문지 단축형(Adult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Adult PARQ]: Short form)’의 번안본을 원저자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는 홍상황 등(2002)이 타당화한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 단축형(Short form of the KIIP Circumplex scales[KIIP-SC])’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거부민감성은 박명진과 양난미(2017)가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 및 타당화한 ‘거부민감성 척도(Rejection Sensitivity Scal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서표현 양가성은 King과 Emmons(1990)가 개발한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Questionnaire[AEQ])’를 최해연, 민경환(2007)이 번안하고 한국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재구성하여 타당화한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2.0을 통해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때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고,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개별 매개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팬텀변인(phantom variable)을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경로와 관련하여,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문제 수준은 높아졌다. 둘째,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와 관련하여,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거부민감성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이 높아졌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대인관계문제로 이어졌다. 셋째,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정서표현 양가성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와 관련하여,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자기방어적 양가성과 관계관여적 양가성 각각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높아졌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대인관계문제로 이어졌다. 또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낮아졌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대인관계문제로 이어졌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경로와 관련하여,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거부민감성과 자기방어적 양가성을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거부민감성과 관계관여적 양가성을 매개로 대인관계문제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이 높아졌으며, 이는 높은 수준의 자기방어적 양가성 혹은 낮은 수준의 관계관여적 양가성으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높은 수준의 대인관계문제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대학생이 회상한 부모의 거부적 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경로를 규명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자녀의 발달 및 적응에 있어 부모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력을 강조하는 결과를 보여주는 한편, 한국의 집단주의 문화 맥락에서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를 증진하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를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rejection recalled by undergraduate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two factor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elf-defensive and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 as well as to explor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i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reje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 Data were collected from 308 undergraduate students (138 males and 170 females) between the ages of 19 to 25 years ol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IBM Co., Armonk, NY) and AMOS 22.0 (IBM Co., Armonk, NY) for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bootstrapping method, and phantom variab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rejec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this study. Second, parental rejection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interpersonal problem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Third, parental rejection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 through both self-defensive ambivalence and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Finally, parental rejection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interpersonal problem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However, the direction of influence of two factor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on interpersonal problem differed, with self-defensive ambivalence having a positive effect and relation-involved ambivalence having a negative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 To conclude,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during childhood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emerging adulthood,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s an active suppressive mechanism that may play as an adaptive role in the collectivist context and cultural aspect of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and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practical resources for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forming and building meaningfu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