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3 Download: 0

The Effects of English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on the Self-Esteem of Kore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Early Study Abroad

Title
The Effects of English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on the Self-Esteem of Kore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Early Study Abroad
Authors
김진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운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능숙도와 사회적 지지가 조기유학 경험이 있는 한인 유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기유학 경험이 있고 현재 미국 또는 캐나다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중인 한인 유학생 24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Mak(2009)의 영어 능숙도 척도를 사용하여 참가자들의 영어 능숙도를 측정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는 Zimet 등(1988)이 개발한 지각된 사회적 지지 척도(MSPS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를 사용하였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Sandhu와 Asrabadi(1994)가 개발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ASSIS: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를,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RSES: Rosenberg Self-Esteem Scal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6.0 (IBM Co., Armonk, NY)와 AMOS 22.0 (IBM Co., Armonk, NY)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법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능숙도와 사회적 지지 중 사회적 지지만이 한인 유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인 유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지각할수록 그들의 자아존중감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어 능숙도는 한인 유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능숙도와 사회적 지지 모두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통해 한인 유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능숙도와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영어 능숙도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이는 한인 유학생들의 높은 자아존중감으로 이어졌다. 종합하면, 영어 능숙도와 사회적 지지는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통해 한인 유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부족했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영어 능숙도,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더불어 기존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지 않았던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조기유학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에 따르면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연령 또는 발달단계와 관계없이 초, 중,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모두 연구대상으로 포함한 연구가 다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특히 조기유학 경험이 있고 조기유학 국가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하며 여전히 유학생활을 지속하고 있는 한인 유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영어 능숙도, 사회적 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조기유학 경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한인 유학생들의 자아존중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유학생 상담사, 또래 지지단 등의 전문가들이 한인 유학생들을 포함한 다양한 인종의 유학생들의 현지적응, 언어 능력 향상, 사회적 지지 제공 및 문화적응 스트레스 최소화를 위한 정보와 자원을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s of English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the indirect effects of English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through acculturative stress among Kore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who have early study abroad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241 Kore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who have early study abroad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Mak’s (2009) 4-item measure of English proficiency was used to assess the participants’ English proficiency, social support was measur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Zimet et al., 1988), acculturative stress was assessed by the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SIS; Sandhu & Asrabadi, 1994), and self-esteem was measured using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RSES; Rosenberg, 1965).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IBM Co., Armonk, NY) and AMOS 22.0 (IBM Co., Armonk, NY) for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were confirmed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Findings indicated that, among English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only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self-esteem of Kore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In other words, the more students perceiv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ir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English proficienc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elf-esteem. Second, both English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the self-esteem of Kore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through acculturative stress. English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effects on acculturative stress, and acculturative stress significantly affected self-esteem.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acculturative stress, resulting in higher levels of self-esteem among Kore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In conclusion, English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indirectly affected Kore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self-esteem through acculturative stress. This is noteworthy since it explor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nglish proficiency,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that impact self-esteem and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acculturative stress, which had not been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focused on international students. Furthermore, since this study focuses specifically on Kore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who have early study abroad experience and are continuing their education at institutions in the host country, it contributes to existing research and literature in understanding the various experiences related to studying abroad of Korean international college students specifically those with early study abroad experience.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by professional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 counselors and peer support groups to provide information and resources for fostering adjustment, facilitating language skills, social support, and minimizing acculturative stress for international students from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