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6 Download: 0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이 부부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

Title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이 부부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Father's Family of Origin Experience on Coparenting: The Mediating Role of Marital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uthors
김수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Keywords
원가족경험, 부부공동양육, 부부갈등, 심리적안녕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운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이 부부공동양육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 그리고 부부갈등과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2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은 Hovestadt 등(1985)이 개발하고 최현미(1997)가 한국 부부에게 적합하도록 수정·번안한 원가족 척도(The Family of Origin Scale-55: FOS-5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부부갈등은 Grych 등(1992)이 개발한 자녀 보고용 부부갈등 척도(CPIC: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 parental Conflict Scale)’를 권영옥과 이정덕(1997)이 번안·타당화한 K-CPIC를 부모 보고용으로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은 Ryff와 Keyes(1995)가 개발하고 박서영(2007)이 번안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 The Psychological Well Being)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부부공동양육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Van Egeren과 Hawkins(2004)가 개발한 ‘부부공동양육(Coparenting) 도구’를 박재진(2015)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이때 연구대상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일부 문항의 번역을 원문에 가깝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6.0(IBM Co., Armonk, NY)과 AMOS 22.0(IBM Co., Armonk, NY)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구조모형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고, 팬텀변인(phantom variable)을 설정하여 개별 간접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은 부부공동양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아버지의 건강한 원가족 경험 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공동양육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은 부부갈등을 매개로 부부공동양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아버지의 건강한 원가족 경험 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 수준이 낮았으며 이는 아버지가 지각한 높은 부부공동양육 수준으로 이어졌다. 셋째,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은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로 부부공동양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아버지의 건강한 원가족 경험 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 수준이 높았으며 이는 아버지가 지각한 높은 부부공동양육 수준으로 이어졌다. 넷째,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은 순차적으로 부부갈등과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을 매개로 부부공동양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아버지의 건강한 원가족 경험 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 수준이 낮았으며, 이는 아버지의 높은 심리적 안녕감 수준 및 아버지가 지각한 높은 부부공동양육 수준으로 이어졌다. 종합하면,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은 부부공동양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부갈등과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 각각을 매개로 부부공동양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나아가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은 부부갈등 및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의 순차적인 매개를 통해 부부공동양육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부부공동양육에 관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하여, 부부공동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의 개인적 특성 및 부부관계적 특성을 탐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즉,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 및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이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공동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공동양육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아버지의 원가족 경험을 회복시키고 부부갈등을 해결하며 아버지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가정에서 특별히 중요한 부부공동양육 증진을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대상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effect of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on coparenting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marital conflict and the fa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Data were collected from 250 fathers with children aged 3 to 5.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experience was measured using the Family of Origin Scale-55 (FOS-55), developed by Hovestadt et al. (1985), which was translated and modified by Choi Hyun-mi (1997) to suit Korean couples.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PIC) developed by Grych et al. (1992), which was translated and validated by Kwon Young-ok and Lee Jeong-deok (1997), then modified for parental reporting was used to measure participants’ marital conflict. Fa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easured us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PWB) scale developed by Ryff and Keyes (1995) and translated by Park Seo-young (2007) was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coparenting, the 'coparenting tool' developed by Van Egeren and Hawkins (2004) was used with this scale translated by Park Jae-jin (2015). The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also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as well as individual indirect pathways by setting a phantom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oparenting. Second, the experience of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indirectly affected coparenting through marital conflict. Third, the experience of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had an indirect effect on coparenting through the fa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the experience of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had an indirect effect on coparenting through marital conflict and the fa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sequentially. That is, the higher the father's level of healthy family of origin experience, the lower the father's perceived level of marital conflict, leading to the father's higher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resulted in higher levels of the father's perceived coparenting.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explored the fath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marit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that affect coparenting. Moreover,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literature by investigating coparenting, which has recently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while specifically focusing on fathers with infant children. This study also confirmed the specific paths in which the experience of the father's family of origin, the father's perceived marital conflict, and the fa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mpacts the father's perceived coparenting.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promote the coparenting perceived by fathers,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fathers to reconsider and examine their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resolve marital conflicts, and improve fa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Thus, it is believ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practical resources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o enhance coparenting, which is especially vital among families with infa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