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8 Download: 0

학령전기 외현화 문제행동, 냉담-무정서 특성, 정서적 반응성의 잠재 프로파일 분석

Title
학령전기 외현화 문제행동, 냉담-무정서 특성, 정서적 반응성의 잠재 프로파일 분석
Other Titles
An Investig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Callous-Unemotional Variants in a Community Sample of Preschool-Aged Youth: Association with School-Aged Conduct Problems and Anxiety
Authors
이자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생애초기 시절부터 공격행동과 같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들은 이후 시기 더욱 심각한 품행문제를 보이는 집단으로 발전하기도 하지만, 아동의 문제행동은 발달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감소하거나 중단되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냉담-무정서 특성(callous-unemotional traits, CU 특성)은 더욱 극단적이고 반사회적 모습을 띠는 문제행동을 연속시키는 강력한 위험 표지로서 널리 주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연구 동향은 CU 특성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이 본질적으로 동질적이지 않고, 상이한 병인에 의해 두 개의 하위 집단으로 구분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일차적 CU 집단은 “냉담-무정서”의 명칭이 함의하고 있는 낮은 정서적 반응성을 특징으로 하며, 기질적 또는 유전적 소인에 의해 정서 단서에 민감하지 않고 낮은 수준의 불안을 보이는 집단이다. 반면, 이차적 CU 집단이 생애 초기 학대 또는 부정적 생활 사건에 노출되는 과정에서 냉담한 “가면”을 대처(coping)의 한 형태로 선택하여 CU 특성을 후천적으로 발달시키고 있는 집단일 수있음이밝혀지고있다.이렇듯일차적및이차적CU집단은냉담성혹은반사회성과 같은 양상에 의하여는 외견상으로는 구별되지 않으나, 학대와 같은 역기능적 사건에 직면하게 됨으로써 후자의 집단이 경험하는 높은 수준의 불안에 근거해 두 집단의 이질성을 탐구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있어 왔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두 이질적인 CU 집단을 구분할 수 있는 부가적인 변인에 대한 탐색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서적 반응성이 아동기 CU 집단의 비동질성을 변별할 수 있는 추가 변인으로 고려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정서적 반응성 수준에 따라 분별된 이질적인 아동집단이 동일 시기 외현화 문제행동 및 이후 시기 품행문제와 불안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아동을 대표할 수 있는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학령전기(N = 1,597, 7차 시기, 연령 평균 만 6세)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외현화 문제행동, CU 특성, 정서적 반응성 수준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도출된 잠재집단별 학령기(12차 시기, 연령 평균 만 11세) 품행문제 및 불안 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3단계 BCH(“three-step BCH”) 접근법을 활용하여 각 잠재집단과 결과변수 간 관계를 추정하였다. 한편, 종단자료의 특성상 결측치는 MAR(missing at random)을 가정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여 본 연구에서 역시 MAR을 가정, 완전정보 최대우도(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FIMI) 추정법을 활용하여 12차 시기 누락된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6세 경 측정된 외현화 문제행동, CU 특성, 정서적 반응성 수준에 따라 다섯 개의 이질적인 잠재집단이 도출되었다. ‘저위험집단(n = 998, 62.5%)’은 대다수의 아동이 소속되어 있었던 집단으로, 학령전기 외현화 행동문제, CU 특성 및 정서적 반응성 정도가 모두 평균 이하로 나타나 문제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아동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차적 CU 집단(n = 235, 14.7%)’은 외현화 행동문제 수준이 저위험집단을 제외한 다른 네 집단에서 가장 낮았으며, CU 특성이 평균보다 1 표준편차(> 1 𝑆𝐷) 이상 높지만 정서적 반응 수준은 낮게 도출된 집단으로 낮은 정서적 반응성을 특징으로 하는 일차적 CU 집단을 대표할 수 있다. ‘저 CU/중 반응성 집단(n = 193, 12.1%)’은 외현화 문제행동 및 정서적 반응성이 다섯 집단 내 중간 수준이지만 CU 특성은 평균 이하의 낮은 수준을 보여주고 있는 집단으로, CU 특성이 두드러지지 않음에도 높은 정서적 반응성과 관련된 외현화 문제행동을 보일 수 있는 집단이다. ‘이차적 – 중 CU 집단(n = 104, 6.5%)’과 ‘이차적 – 고 CU 집단(n = 67, 4.2%)’은 학령전기 외현화 문제행동 및 정서적 반응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후자의 집단에서 극명하게 높은 CU 특성이 발견되었다. 반면, 전자의 집단이 보이는 CU 특성은 ‘일차적 CU 집단’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출된 잠재집단별 학령기 품행문제 및 불안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본 결과, 두 이차적 CU 집단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품행문제가 관찰되었으나, ‘일차적 CU 집단’은 ‘저 CU/중 반응성 집단’과 유사한 품행문제 수준이 도출되어 일차적 및 이차적 CU 집단 간 학령기 품행문제에서의 차별성이 보고되었다. 반면, 두 이차적 CU 집단의 차별성은 학령기 불안 수준에서 두드러졌는데, CU 특성에서만이 차이가 나타났던 학령전기 결과와 달리 ‘이차적 – 중 CU 집단’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학령기 불안이 관찰된 반면, ‘이차적 – 고 CU 집단’이 보이는 불안은 ‘일차적 CU 집단’과 유사한 정도로 낮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함의는 성인기 정신병질의 발달적 전조로서, 혹은 CU 특성의 선천성에 주목하여 타인에 대한 피상적이거나 결여된 정서 반응으로 인해 반사회성이 높다고 알려진 일차적 CU 집단을 근본적으로 재고하게 한 것에 있다. CU 집단은 이질적이며, 기존의 통념과 달리 정서적 반응성이 낮아 전형적인 CU 특성을 보이는 ‘일차적 CU 집단’과 대비되어 정서적 반응성 역시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는 두 이차적 CU 집단이 학령전기 외현화 문제행동뿐만 아닌 학령기 품행문제의 수준 역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사실은 이차적 CU 집단 아동이 선제적 개입 대상이 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The present study draws attention to a growing body of recent findings suggesting that individuals with callous-unemotional traits (CU traits), a risk factor for a cascade of externalizing behaviors, are not homogeneous in nature and could be distinguished into two subgroups with different etiologies. The primary CU variants are characterized by low emotional reactivity, as the term “callous-unemotional” suggests, with a temperamental or genetic predisposition to be insensitive to emotional cu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emerging evidence that secondary CU variants may be those who develop “acquired” CU traits as a result of exposure to childhood maltreatment or negative life events, adopting a “mask” of callousness as a form of coping. Although primary and secondary CU variants are phenotypically indistinguishable, there have been ongoing attempts to identify the heterogeneity of these two groups based on the high levels of anxiety shown by the latter group making a linkage to adverse life events. Notably, there has been limited exploration of adding variables that may parse their non-homogenous natur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emotional reactivity can be considered as an additional construct to discriminate the heterogeneity of childhood CU variants, and to explore if identified subgroups differ in concurrent externalizing behavior and subsequent severity of conduct problem and anxiety. Utilizing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the current study conduct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mong a community sample (N = 1,597) of preschool youth (mean age 6) based on their CU traits, emotional reactivity level, and externalizing behavior. Next,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ces existed in school-age (mean age 11) conduct problems and anxiety levels among the identified subgroups, a three-step BCH approach was us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latent classes and the distal outcome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ive heterogeneous subgroups were identified based on levels of externalizing behavior, CU traits, and emotional reactivity at age 6. The “low- risk” group (n = 998, 62.5%), to which the majority of children belonged, consisted of children with below-average levels of all three indicators and were highly unlikely to develop consecutive problem behaviors. The “primary CU” group (n = 235, 14.7%) had the lowest levels of externalizing behavior, except for the “low-risk” group, with CU traits more than one standard deviation above the mean with lower levels of emotional reactivity. The “low CU with moderate emotional reactivity” group (n = 193, 12.1%) demonstrated intermediate externalizing behaviors. Also, they exhibited a moderate level of emotional reactivity within the five groups, while low to below-average levels of CU traits. The “secondary - moderate CU” group (n = 104, 6.5%) and the “secondary - high CU” group (n = 67, 4.2%) did not differ in preschool externalizing behaviors and emotional reactivity, but the latter group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CU traits. When it comes to conduct problems and anxiety levels at school age, there were also disparities. The highest levels of conduct problems were observed in the two secondary CU groups (i.e., both “secondary - high CU” and “secondary - moderate CU” groups), but the “primary CU” group had similar levels of conduct problems to the “low CU with moderate emotional reactivity” group, suggesting differences in school-age conduct problems between the two variants. On the other hand, the two secondary CU groups differed in school-age anxiety levels, as the highest level of anxiety was detected in the “secondary - moderate CU” group, whereas the “secondary - high CU” showed similar levels of anxiety to the “primary CU” group. The findings reveal the heterogeneity of CU traits spotted by dissimilar levels of emotional reactivity in the Korean preschool youth community sample. Also, it implies that secondary CU variants, not primary, should be targeted for proactive interven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