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0 Download: 0

대학생의 피해자 정의민감성과 사이버 언어폭력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피해자 정의민감성과 사이버 언어폭력의 관계
Other Titles
Associations between victim justice sensitivity and flam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roles of anger rumination and moral dis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Authors
이은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Keywords
피해자 정의민감성, 사이버 언어폭력, 분노반추, 도덕적 이탈, 외적 통제소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불공정성에 대한 민감성이 사이버 언어폭력으로 이어지는 기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피해자 정의민감성과 사이버 언어폭력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와 도덕적 이탈의 두 가지 하위 기제(도덕적 정당화, 비인간화)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지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가 인생이 외적인 요소에 의해 좌우된다고 믿는 외적 통제소재에 의해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대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인터넷 카페를 통하여 참여자를 모집하였으며, 총 445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측정모형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하였으며, 백분위수 부트스트랩(percentile 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여 피해자 정의민감성과 사이버 언어폭력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와 도덕적 이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외적 통제소재의 수준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외적 통제소재의 평균값을 중심으로 외적 통제소재 고⋅저 집단으로 나누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해자 정의민감성과 사이버 언어폭력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도덕적 이탈의 두 하위 기제인 도덕적 정당화, 비인간화 중에서 도덕적 정당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나 비인간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더불어, 분노반추와 비인간화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분노반추와 도덕적 정당화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때 피해자 정의민감성이 사이버 언어폭력으로 가는 직접경로에 음의 값이 나오는 비일관적 매개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매개변수들의 간접효과의 추정치가 매우 큰 나머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관계가 음의 값으로 억제되어, 실제 변수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나는 거짓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김하형, 김수영, 2020). 비일관적 매개로 인한 거짓효과를 제외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피해자 정의민감성이 사이버 언어폭력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는 못했으며, 오직 분노반추와 도덕적 정당화를 통해서만 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불공정한 상황의 피해자가 되는 것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질 자체는 사이버 언어폭력을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하며, 분노반추나 도덕적 정당화를 통해서만 사이버 언어폭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피해자 정의민감성과 사이버 언어폭력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와 도덕적 정당화의 이중매개효과는 외적 통제소재가 높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고, 외적 통제소재가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두 집단에서의 매개효과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자신의 인생에서 일어날 사건들이 외적인 요소에 의해 좌우된다고 믿는 경향이 강한 사람일수록 피해자 정의민감성으로 인한 분노반추나 도덕적 정당화가 사이버 언어폭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대 대학생들의 사이버 언어폭력을 예방하고 이들이 불공정함을 느꼈을 때 겪게 되는 분노나 좌절감을 완화하기 위해 외적 통제소재를 낮추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20대 대학생들의 피해자 정의민감성이 사이버 언어폭력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관여하는 기제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이에 대한 개입으로 외적 통제소재를 낮추는 방안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다.;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perceived injustice of university students on online flaming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 justice sensitivity and flam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determine whether anger rumination and moral disengagement mediate the relationship and whether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moderates the relationship. Self-reported data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of 445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ger rumin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 justice sensitivity and flaming, and of the two moral disengagement mechanisms – moral justification and dehumanization – moral justification was the only mechanism that mediated the relationship. Also,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anger rumination and moral justification was significant. Meanwhile, the direct effect of victim justice sensitivity on flaming was found to be negative, indicating the inconsistent mediation effect. Thi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significantly large estimate of the indirect effects of mediating variabl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 justice sensitivity and flaming has been suppressed to be negative, resulting in a spurious effect. Excluding the spurious effect caused by inconsistent mediation, the result shows that victim justice sensitivity itself cannot predict flaming, but only through anger rumination and moral justification.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flaming, as well as moral justification and flaming were stronger among the group of individuals with high external locus of control.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of anger rumination an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anger rumination and moral justification was moderated by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Thus, the stronger the tendency of believing that events in one’s life are dependent on external factors, the more likely that anger rumination or moral justification caused by victim justice sensitivity will lead to flaming. Based on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the intervention focusing on the method to lower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frustration and anger experienced due to the perceived injustice and prevent online flam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