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6 Download: 0

Grit-S 척도에 대한 한국과 미국 간 비교문화연구

Title
Grit-S 척도에 대한 한국과 미국 간 비교문화연구
Other Titles
A Cross-Cultural Study of the Grit-S Scale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 approach using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Response Theory
Authors
여예인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심리적 구인을 측정하는 척도는 집단에 따라 그 개념 및 요인구조에 있어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러므로 척도가 개발된 이후에는 해당 척도가 다른 집단에서도 동일하게 기능하는지 검토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릿은 2007년에 미국에서 제안된 개념으로 현재도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이를 측정하는 Grit-S가 한국 문화에도 일반화될 수 있는지를 비교문화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Grit-S가 어떠한 공통성과 차별성을 지니는지를 검토하고 이를 문화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척도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Grit-S의 여러 문제점들이 결국 척도에 대한 이론적, 측정학적 검토의 부족에서 기인한다는 주장(임효진, 2019; Alhadabi, 2023)에 기반하여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척도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에서 성인진입기(만 18-25세)를 대상으로 수집한 Grit-S 데이터를 활용하여 요인분석 및 문항반응이론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1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Grit-S는 한국과 미국 모두 2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하였다. 각 문화권에 적절한 요인구조 탐색을 위해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단일요인, 2요인, 2중요인의 3가지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모형적합도에 있어서는 2요인 모형과 2중요인 모형이 양호한 수준이었으나 요인계수 추정치를 함께 고려했을 때 2중요인 모형의 일부 요인부하가 낮은 수치를 보여 2요인 모형을 최종모형으로 결정하였다. 이후 시행된 다집단 요인분석 결과, 측정단위동일성까지 확보되어 Grit-S는 두 문화권에서 동일한 요인구조와 유사한 요인부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편동일성 및 부분절편동일성은 성립되지 않았는데, 이는 두 집단 간 문항 평균에서의 차이를 시사하므로 개별 문항에 대한 탐색을 위해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2에서 문항반응이론의 등급반응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과 미국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흥미유지 3번(‘나는 한동안 새로운 생각이나 계획에 사로잡히지만 곧 관심을 잃게 된다’)과 4번(‘나는 달성하는데 몇 개월이 걸리는 일에 꾸준히 집중하기 어렵다’), 노력지속의 7번(‘나는 열심히 하는 사람이다’)과 8번(‘나는 부지런하다’)은 문항변별도 및 범주경계난이도가 양호하여 잘 기능하고 있는 문항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력지속 6번(‘좌절은 나의 의욕을 꺾지 못한다’)은 두 집단에서 가장 낮은 변별도를 보였으며 범주경계난이도도 응답자의 특성범주를 벗어나 잘 기능하지 않는 문항이었다. 검사정보함수에서는 흥미유지의 경우 한국과 미국 응답자의 흥미유지 수준이 평균 근처인 지점에서 가장 정확하게 추정하고 있었다. 노력지속의 경우 한국은 응답자의 노력지속 수준이 평균보다 낮을 때, 미국은 평균보다 높을 때 정확한 추정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노력지속 6번(‘좌절은 나의 의욕을 꺾지 못한다’)은 한국과 미국 집단에서 수정 후 타당성을 재확인해야 하며, 7번(‘나는 열심히 하는 사람이다’)은 노력지속 수준이 높은 한국 응답자들에게 기능하도록 보완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1의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한국과 미국의 Grit-S가 측정학적으로 같은 요인구조를 보이며, 각 문화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연구 2에서 문항반응이론을 통해 개별 문항 특성과 정보함수를 분석하고 이를 비교했을 때에는 문화 보편성과 동시에 차별성도 드러났다. 이는 그릿 척도의 해석과 활용 시 문화권의 고유한 특성을 함께 이해해야 함을 시사한다. Grit-S가 널리 활용되는 척도인만큼 비판점도 제기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본 연구가 이후 척도 개선을 위한 측정학적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constructs can vary in terms of the conceptualization and factor structure across different groups. Even if Grit is a concept that is widely used, there is a lack of cross-cultural research that examines whether the Grit-S scale can be generalized to Korean cultur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Grit-S Scal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t the factor and item level.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ts applicability as a culturally universal scale and propose modifications to enhance its effectiveness. Self-reported Grit-S data of young adults aged between 18 and 25 were analyzed using multiple-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response theor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Study 1, a two-factor model was the most appropriate for bo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explore an appropriate factor structure based on cultural differences, three hypothetical models were established: a single-factor model, a two-factor model, and a bifactor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two-factor model and the bifactor model had good model fit. However, some factor loadings in the bifactor model did not meet the criteria, leading to selecting the two-factor model. Subsequently, a multiple-group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measurement invariance. The results showed that configural and metric invariance were achieved, indicating that the Grit-S scale demonstrated the same factor structure and similar factor loadings across the two cultural groups. To conduct a fine-grained analysis at the item level extending factor analysis, the graded response model of item response theory was applied in Study 2.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were satisfactory, specifically Item 3 (‘I have been obsessed with a certain idea or project for a short time but later lost interest’), Item 4 (‘I have difficulty maintaining my focus on projects that take more than a few months to complete’), Item 7 (‘I am a hard worker’) and Item 8 (‘I am diligent’) in both the Korean and U.S. samples. On the other hand, Item 6 (‘Setbacks don't discourage me’) showed the lowest discrimination and did not function well in terms of category threshold difficulty, as it fell outside the range of trait levels (-3~+3) in both groups. In the results of test information function, it revealed that the estimation accurately captured the point where respondents' consistent interest levels were near the mean in both groups. Regarding perseverance of effort, the largest amount of information was obtained when the Korean respondents' levels were below the mean and the U.S. respondents' levels were above the mean.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Item 6 (‘Setbacks don't discourage me’) should be revised in both samples, and Item 7 (‘I am a hard worker’) should be further complemented to function well for Korean respondents with high levels of perseverance of effort. To conclude, in Study 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monstrated that Grit-S has the same factor structure and could be adapted across Korean and U.S. cultures. In Study 2, item response theory was used to analyze individual item parameters and information functions, revealing both cultural universality and distinctiveness. This sugges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when interpreting and utilizing the Grit-S scale. Considering that the criticism of Grit Scale stems from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issue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e necessity of future study improving psychometric limit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