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9 Download: 0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Other Titles
Associations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roles of self-concept clar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oneliness
Authors
김규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애착 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 주목하여,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애착 불안, 자기개념 명확성,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각 변인들의 관계가 외로움의 수준에 의해 조절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참여자 모집 및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55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변인 및 잠재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측정모형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검정하고, 백분위수 부트스트랩(percentile 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여 애착 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외로움의 수준에 따른 구조방정식 모형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 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직접효과와 자기개념 명확성을 통한 간접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애착 불안 경향성 자체가 SNS 중독경향성을 유의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자기개념 명확성의 저하라는 기제를 통해서도 SNS 중독경향성을 설명할 수 있음을 뜻한다. 둘째, 외로움이 높은 집단에서는 낮은 집단에서 비해 애착 불안이 자기개념 명확성으로 이어지는 관계는 다소 약했으나, 자기개념 명확성과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는 외로움이 높은 집단에서만 유의했다. 또한 자기개념 명확성을 통한 간접효과에서 외로움의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외로움이 높은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인이 고립되어있으며 사회적 자원이 결여되어 있다고 믿는 경향이 큰 사람일수록 애착 불안으로 인한 자기개념 명확성의 저하가 SNS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짐을 뜻한다. 해당 결과는 대학생들의 SNS 과다사용 및 중독에 적절히 개입하기 위해서는 스스로가 고립되었다고 느낄 때 이러한 인지적 왜곡을 수정하고 더욱 건설적인 해결방법을 찾을 수 있게 돕는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애착 불안이 SNS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지는 관계에 있어 작용하는 기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으며, 이에 대한 개입방안으로 외로움 수준을 낮추는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on SNS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loneliness levels. The study recruited participants from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through online communities commonly used by them and conducted a self-report survey. A total of 554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direct effect and the indirect effect through self-concept clarity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ttachment anxiety itself can significantly explain SNS addiction and that the decrease in self-concept clarity serves as a mechanism to explain SNS addi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elf-concept clarity was weakened in the high loneliness group compared to the low loneliness group,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NS addiction was only significant in the high loneliness group. Furthermore,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was significant only in the high loneliness group. This suggests that individuals who perceive themselves as isolated and lacking in social resource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 decrease in self-concept clarity due to attachment anxiety, ultimately leading to SNS addiction. These results imply the need for interventions that appropriately address excessive SNS use and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help them correct cognitive distortions when they feel isolated and find more constructive solu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proposed reducing loneliness levels as an intervention strateg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