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5 Download: 0

한국판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 척도(The Korean Beauty Myth Scale: K-BMS) 타당화

Title
한국판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 척도(The Korean Beauty Myth Scale: K-BMS) 타당화
Other Titles
A Validation of the Korean Beauty Myth Scale(K-BMS)
Authors
신지수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을 측정하기 위하여 Ramati-Ziber 등(2020)이 개발한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 척도(Beauty Myth Scale)를 국내 20~30대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원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한국판 척도를 제작하고 문항 특성과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척도의 12개 문항에 대한 번역과 역번역 및 검토 과정을 거쳐 예비척도를 제작하고, 준거 관련 타당도 검증에 필요한 척도들을 포함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성인 남녀 432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자료를 두 집단으로 무선 할당하였다. 둘째, 첫 번째 표본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하여 예비척도 문항의 양호도와 내적 합치도를 확인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예비척도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척도는 모든 문항에서 기술통계치가 양호하였고 높은 내적 합치도를 보였으며, 원척도와 같이 4요인 구조로 가장 잘 설명되었으나 요인 부하량에서의 문제로 인해 첫 번째 문항의 삭제가 결정되었다. 셋째, 두 번째 표본을 대상으로 2차 문항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척도의 문항 양호도 및 요인별 내적 합치도를 검토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 척도에 대한 4요인 모형의 적합도 지수와 요인 부하량이 적합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하였으며, 요인 간 상관을 살펴보았다. 넷째,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에서 성차를 알아보기 위해 남녀 집단의 형태 동일성 검정과 측정단위 동일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형태 동일성과 부분 측정단위 동일성이 성립한다고 판별한 후, 성별에 따라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 요인별 합산점수 및 준거 변인들의 차이 검증을 실시하여 유의한 성차가 나타난 변인들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척도의 동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여성의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와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 총점의 상관을 살펴보았고,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양가적 성차별주의 및 사회지배지향성과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 총점의 상관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 총점은 모든 준거 변인들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척도가 동시 타당도와 예측 타당도를 갖추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을 서술적 규범과 지시적 규범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번안하고 타당화하여 국내의 20~30대 성인 남녀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기존에 국내에서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을 다차원적으로 폭넓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사용에 제한이 있던 실정에서, 본 연구를 통해 여성의 아름다움 규범과 관련된 후속 연구의 가능성을 넓힐 수 있었다는 의의가 있다. 본 척도는 양가적 성차별주의 및 사회지배지향성과 유의한 상관을 보여 위계에 대한 선호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개인 내적인 정신건강 변인뿐 아니라 사회적인 결과 변인을 예측하는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Korean Beauty Myth Scale(K-BMS). The original 12 items were transla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32 participants who were aged between 20s and 30s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in Sample 1(N=288). A four-factor structure was identified, and one item(BM1) was deleted due to a problem with its factor loading. In sample 2(N=144), item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four-factor model fit the data well, and all four factors show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The results of the multi-group factor analysis indicated configural invariance and partial weak invariance between female(N=216) and male(N=216) groups. Finally, concurrent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were demonstrated through the correlation with K-SATAQ-4R, K-MSI and SD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K-BMS is a reliable and valid scale to measure the female beauty norms in the Korean young adult popul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