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1 Download: 0

한글 단어 재인에서 의미성의 효과

Title
한글 단어 재인에서 의미성의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mantic relatedness effect in Hangul word recognition
Authors
민경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혜원
Abstract
단어 재인에서 의미적 맥락이 단어의 처리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언어학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주제이다. 의미관련효과(Semantic relatedness effect)는 의미적으로 관련되는 단어가 표적단어에 선행하여 또는 동시적으로 제시되는 경우, 무관한 단어가 제시되는 경우보다 표적단어가 더 효율적으로 처리되는 현상을 뜻한다(Meyer & Schvaneveldt, 1971). 의미관련효과는 크게 의미성의 효과와 연상성의 효과로 나뉜다. 의미성에서의 관련성(semantic relatedness)은 두 단어 간 공유되는 특성의 중첩(featural overlap)과 같은 의미적 유사성에 의해 정의되며, 연상성에서의 관련성(associative relatedness)은 첫 번째 단어가 두 번째 단어를 불러일으킬 확률인 연상규준으로 정의된다(Ferrand & New, 2004). 의미성이 독립적으로 단어의 처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와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 방법과 자극을 사용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의미성은 그 효과를 보이기도 보이지 않기도 하며 혼재된 결과를 보였다(Fischler, 1977; Shelton & Martin, 1992). 본 연구는 단어-단어 간섭과제(실험 1)와 점화 어휘판단과제(실험 2)에서 의미성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상성에서 관련되지 않으면서 의미성에서 관련되는 두 글자 한글 단어를 자극으로 사용하였으며, 의미성에서 관련되는 두 단어는 유의어, 동일 또는 상·하위 범주단어로 구성되었다. 연상성은 연상규준과 자유연상 과제를 사용하여 통제되었다. 단어-단어 간섭과제는 응시점에 제시되는 방해단어를 무시하고 방해단어의 위 또는 아래에 함께 제시되는 표적단어로 주의를 빠르게 이동하여 명명하는 과제이다(Mulatti, Ceccherini, & Coltheart, 2015). 본 연구에서는 의미성에서 관련되는 방해자극이 제시되는 경우와 무관한 방해자극이 제시되는 경우의 명명시간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점화 어휘판단과제는 의미성에서 관련된 점화단어가 표적자극에 선행하여 제시되는 경우, 무관한 표적자극이 제시되는 경우보다 어휘판단의 시간과 정확도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80ms의 자극 제시시간을 사용하여 의미성의 자동적 점화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어-단어 간섭과제에서 의미성에서 관련된 단어가 방해단어로 제시되는 경우 무관한 단어가 제시되는 경우보다 표적단어의 명명시간이 빨라졌다(11.38ms). 둘째, 점화 어휘판단과제에서 의미성에서 관련된 단어가 점화단어로 제시되는 경우 무관한 단어가 제시되는 경우보다 표적단어에 대한 빠른 어휘판단이 이루어졌다(20.79ms). 본 연구에서는 단어 재인에서 의미성이 독립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80ms의 빠른 SOA에서 의미성의 효과가 관찰됨으로써 의미성이 자동적인 처리수준에서 역할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에 관찰되어왔던 의미관련성의 효과가 의미성에 기인한 효과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semantic relatedness effect” is one of the most studied effect in psycholinguistics. It has been mainly reported as the effect of semantic priming: a word was recognized significantly faster when it was preceded by a related word than when it was preceded by an unrelated word(Meyer & Schvaneveldt, 1971). The “pure” semantic effect can be obtained by using semantically related but not associatively related prime-target word pairs. However, the results were inconsistent and hard to replicate. The present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semantic relatedness affect word recognition in Hangul words. Participants preformed a word-word interference task(Experiment 1) and a primed lexical decision task(Experiment 2). In WWI task, participants have to read target word aloud, while ignoring distractor word presented adjacent to the target word. In primed lexical decision task, the duration of prime words(SOA) was manipulated as 80ms to identify the automatic process. The main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In experiment 1, facilitatory semantic effect was observed, resulting in faster reaction time(RT) where a semantically related word is presented as a distractor. In experiment 2, the lexical decision was significantly faster when the semantically related word is preceded by a target word. The results demonstrates that the existence of automatic semantic priming in the absence of association. The effect of semantic priming is interpret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preading-activation theory(Collins & Loftus, 1975) and the distributed model(Plaut, 1995). The finding of a semantic effect in Hangul word is an important one since it is the first attempt to identify the role of semantic relation. And it suggests that semantic relation only can be enough to show facilit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