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6 Download: 0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이후 고용궤적 결정요인

Title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이후 고용궤적 결정요인
Other Titles
A study on Determinants of Employment Trajectories for Women Reentering the Labor Market after Career Discontinuity : A Focus on the Semi-Structural Group-Centered Model
Authors
김수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영민
Abstract
노동시장 이행은 단순히 진입으로 끝나지 않고 그 이후의 과정이 중요하며,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후 노동시장 궤적은 다양하며 주목할 가치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궤적 유형과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여성가족패널(KLoWEP)의 1차부터 8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이행 궤적을 분석하기 위해 SPSS 26.0과 SAS 9.4 그리고 TRAJ 프로시저를 사용했다. 이를 통해 준모수적 집단중심 모형을 구축하여 유형화하였으며, 재취업 후 노동시장 이행궤적 유형의 종속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소득궤적은 4개로, 고용 안정성 궤적은 3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재취업 경력단절여성의 소득과 고용 안정성 변화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소득궤적은 궤적의 형태에 따라 각각 "점진하락형", "하락 후 상승형", "변동형", "안정형"으로, 고용 안정성 궤적은 "불안정 심화형", "비임금 근로 유지형", "임금 근로 유지형"으로 명명하였다. 분석 결과, 소득궤적의 각 유형에 소속될 확률을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가구소득, 남편의 소득, 취학 자녀 수, 비공식 돌봄 및 가사노동 제공자, 첫 직장 종사상 지위, 남편의 아내 취직에 대한 태도로 나타났다. 또한, 고용 안정성 궤적의 각 유형에 소속될 확률을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는 연령, 가구소득, 남편의 소득, 취학 자녀의 수, 첫 직장 종사상 지위, 남편의 아내 취직에 대한 태도로 확인되었으며, 소득궤적과 고용 안정성 궤적의 유형에 대한 종속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과 관련한 중요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단일하고 고정된 시점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일정 기간의 과정으로 이해해야 함을 제시하고, 유형별 노동시장 이행의 궤적이 고용 안정성과 소득에서 다양하게 나타남을 입증하였다. 이에 따라 경력 지원 서비스의 확대가 필요하며, 고용 관련 정책 프로그램과 서비스는 단순히 노동시장 진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근속 유지와 관련한 실질적이고 효용성 있는 개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비공식 돌봄 및 가사노동 제공자의 역할이 경력단절여성의 안정적인 소득과 고용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에 국가의 돌봄 서비스의 접근성과 유동성을 증진시켜 여성의 노동시장 이행을 지원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첫 직장의 종사상 지위와 초기 고용 안정성 수준이 경력단절 이후 재취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통하여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젠더 차별이 중첩적으로 작용하여 경력단절여성은 더욱 취약한 위치에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별을 보정하기 위해 질적인 차원에서 남성의 돌봄 책임을 반영한 일 가정 양립 패러다임을 개발해 인식 개선과 실질적 개입을 통해 여성에 대한 노동시장 이중구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Labor market transitions are not simply about re-entry but also encompasses the subsequent processes, and the post-employment trajectories of women experiencing career breaks have diverse and noteworthy characteristic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s and determinants of labor market re-entry trajectories among women with career breaks.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EP) from Wave 1 to Wave 8, the author employed SPSS 26.0, SAS 9.4, and the TRAJ procedure to analyze the labor market re-entry trajectories of women with career breaks. The author constructed a 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 to categorize the trajectories and conducte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he identified types of post-employment labor market trajectories. The results revealed income trajector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employment stability trajecto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is allowed us to identify the changes in income and employment stability for women who experienced career interruptions. The income trajectories were named as "gradual decline," "decline followed by recovery," "fluctuating," and "stable" trajectories. The employment stability trajectories were named "worsening instability," "non-wage employment maintenance," and "wage employment maintenance" trajectories. The major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type of income trajectory are household income, husband's income, number of school-age children, informal care and household labor provider, first job occupational status, and attitudes towards the wife's employment. Similarly, for the employment stability trajectories, the key variable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each type are age, household income, husband's income, number of school-age children, first job occupational status, and attitudes towards the wife's employment. The main variables determining the membership in each type of income trajectory and employment stability trajectory showed similarities. Based on the analysis the results, this study has derived important conclusions regarding the re-entry of career-interrupted women into the labor market. Firstly, the study suggests that the re-entry of career-interrupted women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ver a certain period rather than a singular and fixed point in time.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different trajectories of labor market transitions for various types of women manifest in terms of employment stability and income.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to expand career support services, and employment-related policy programs. These services should involve practical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ocusing not only on re-entry but also on job retention. Policy interventions that differentiate the types of career-interrupted women can have meaningful impacts on vulnerable groups, encouraging job retention and supporting the development of their human capital. This necessitates the development of specific policy programs, such as compensation programs that financially reward a certain period of employment. Secondly, the study confirms the influence of informal caregiving and domestic labor providers on the stable income and employment stability of career-interrupted wome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accessibility and flexibility of the nation's caregiving services to support women's labor market transitions. Lastly, through the fact that the initial occupational position and level of employment stability in the first job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ost-career interruption re-employment,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labor market dualism and gender discrimination compound to put career-interrupted women in a more vulnerable position. To address such discrimin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aradigm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that incorporates men's caregiving responsibilities in a qualitative dimension.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improved awareness and substantive intervention to resolve the issue of labor market dualism for wom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