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68 Download: 0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Title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Enthusiasm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Keywords
부모양육태도, 학업열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익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열의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들이 학업에 대한 어려움을 스스로 극복하고 학업에 대한 열의를 높이거나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데 필요한 요인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인 우울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다각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의 제 1차년도 자료로, 중학교 1학년 총 2,590명(남자 1,405명, 여자 1,185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가 우울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IBM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과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4.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학업열의는 높아지고,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학업열의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우울 및 사회적 위축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나타났다.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우울 및 사회적 위축에 각각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우울 및 사회적 위축에 각각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과 사회적 위축은 부모의 긍정적 및 부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열의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우울과 사회적 위축을 통해 학업열의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우울 및 사회적 위축이 긍정적 및 부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열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녀 청소년 모두 부모의 양육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우울 및 사회적 위축을 매개하여 학업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우울 및 사회적 위축을 매개하여 학업열의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긍정적 및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우울 및 사회적 위축을 거쳐 학업열의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밝혀내어 부모양육태도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향상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함양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부모 교육의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가정 내에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와 자녀의 학업열의에 미칠 영향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단기성 프로그램이 아닌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 및 온라인 교육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접근의 용이성을 모색한다면 학령기 자녀와 부모 간의 관계를 개선하고, 자녀의 학업에 대한 열의와 동기를 강화하여 긍극적으로 학업 수행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과 사회적 위축을 예방 및 개입하기 위한 내용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심리적인 어려움으로 우울을 경험하고 있거나 사회적으로 위축되어 있는 청소년들의 심리상태와 학업과 관련된 스트레스를 고려하여 학교사회복지사, 상담사, 교사가 협력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할 필요가 있으며, 학업 수행에 있어서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학습법과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하다. 셋째, 성별의 차이와 개인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차별화되고 맞춤형인 교과 외 활동이나 정서적지지 프로그램을 모색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현재의 부모 교육 프로그램은 남학생과 여학생을 단일집단으로 전제하여 진행되고 있어 성별 차이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여학생의 경우 관계 지향적이기에 남학생보다는 부모의 영향을 더 크게 받기에 부모에게도 자녀의 성별에 따른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성별에 따른 차이를 반영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necessary to help adolescents overcome their academic difficulties and increase or maintain their academic enthusiasm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s and academic enthusiasm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process, by reveal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which are internalized problems of adolescents, it provides basic data to understand adolescents' academic enthusiasm in various ways, and seeks intervention plans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a total of 2,590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1,405 male and 1,185 female)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inaugural year of the 2018 Korean Child and Adolescent Panel.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 and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4.2, developed by Hayes (2013),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impact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practices on scholastic enthusiasm through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as mediators.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practices influenced the scholastic enthusiasm of adolescents. The greater the positive parenting practices, the higher the scholastic enthusiasm of adolescents, and the greater the negative parenting practices, the lower the scholastic enthusiasm of adolescents. Second, parenting practic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Positive parenting practices had negative (-) effects on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whereas negative parenting practices had positive (+) effects on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Third,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practices and scholastic enthusiasm. This suggests that over time, parenting practices can influence scholastic enthusiasm through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Fourth, partial mediation was observed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practices,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scholastic enthusiasm. In other words, both male and female adolescents experienced positive parenting practices positively influencing their scholastic enthusiasm through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while negative parenting practices negatively impacted their scholastic enthusiasm through the same media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verifies the importance of parenting practices on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academic enthusiasm. Furthermore, by identifying factors that can enhance adolescents' scholastic enthusiasm, especially as self-directed learning is becoming increasingly cruc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hold substantial value.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practical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offered to encourage positive parenting practices. Implementing systematic education systems, including online education and a diverse array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that facilitate easy access, can improv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their school-aged children while strengthening the children's enthusiasm and motivation for academic pursuits. Second, content should be considered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in adolescent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For instance, continuous monitoring by collaborative efforts of school social workers, counselors, and teachers is essential, along with providing education programs and study techniques that can stimulate interest in academics. Third, providing differentiated and personalized extracurricular programs or emotional support services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and individual needs might be more effective. Moreover, introducing gender-specific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that account for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s necessary, as current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are conducted assuming a single group without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