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4 Download: 0

문화자본과 하위문화의 관점에서 본 기성세대와 청년세대의 문해력 지형도

Title
문화자본과 하위문화의 관점에서 본 기성세대와 청년세대의 문해력 지형도
Other Titles
Mapping of the literacy of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younger gen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apital and subculture: Focusing on vocabulary
Authors
정승혜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문화자본, 하위문화, 문해력, 어휘력, 세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This study classifies vocabulary that may be considered controversial in Korean society by social groups like different generations and classes into Sino-Korean vocabulary and loanwords and foreign words based on English, which may be classified as cultural capital, and Internet neologisms, which may be described as the subcultural language embodied by the younger generation.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vocabulary and social variables and measure the form of literacy shaped in each generation. Vocabulary is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that comprises the meaning of sentences; knowing the correct meaning of diverse vocabulary can be considered the essential condition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spoken or written word. Therefore, having a high literacy, defined a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spoken and written word, means becoming more proficient in learning and communication based on language. This study conducts a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a survey to chart and analyze literacy across generations and examines it from two perspectives: cultural capital composed by Bernstein’s class code and Bourdieu’s theory, and subculture. The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survey links online for three days, from April 24th to 26th, 2023, through the research facility EMBRAIN. The research subjects are Generation MZ, who are the younger and/or emerging generation, and those in their 50s, who are the older generation; 355 samples were collected nationwide using the equal allocation sampling method according to gender, generation, and place of residence. Participants were first tested on their knowledge of Sino-Korean vocabulary, loanwords and foreign words, and Internet neologisms. They were then questioned on how they perceived each style of language. Finally,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o observe the social meaning and positioning of subjects’ vocabulary proficiency and literacy influenced by demographic factors. The analysis shows that for subjects in their 50s, the bigges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of Sino-Korean vocabulary comes from the level of education. This may speak to the fact that people currently in their 50s are the last generation that was taught Sino-Korean vocabulary as a compulsory part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fact that Sino-Korean vocabulary comprises approximately 75% of Korean technical terms and jargon and is therefore considered the language for higher learning. Also, Sino-Korean vocabulary showed a static relationship with a subjective sense of hierarchy among Generation Z. This is because as basic Korean language education weakened in the public sector due to changes in the curriculum,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was transferred to families, widening the gap in Korean language skills according to the family environment and class. For subjects in their 50s, a strong difference in the knowledge of loanwords and foreign words came from their level of education and whether or not they lived in Seoul; for subjects in Generation M, the difference came from the level of education. The fact that the level of education is a valid factor for both subjects can be seen as the influence of the importance put on English education, which has been continuously strengthened since the 1970s. The factor of residence shown in subjects in their 50s shows regional disparities deepened by the state-led growth-pole strategies in the course of economic development. In Generation M, which is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younger to the older genera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net neologisms and a subjective sense of hierarchy, thereby showing that Internet neologisms are considered hierarchical low language. On the other hand, Internet neologisms were not correlated with any other factors apart from gender for Generation Z, showing that such neologisms are not only the common subcultural language embodied by the younger generation but also a part of the gap between gender in the younger generation, which is a topical issue.;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세대나 계층과 같은 사회적 집단에 따라 논쟁의 도마에 오르게 되는 어휘를 문화자본이라 분류될 수 있는 한자어와 영어를 바탕으로 한 외래어/외국어, 그리고 청년세대의 하위문화적 언어라고 할 수 있는 인터넷 신조어로 구분하여 한국 사회에서 각 어휘들이 여러 사회적 변수들과 맺고 있는 관계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세대 안에서 형성되는 문해력의 형태를 가늠하고자 한다. 어휘는 문장의 뜻을 형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다양한 어휘의 뜻을 정확히 알고 있다는 것은 주어진 말과 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위한 기본 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말과 글을 이해하는 능력을 지칭하는 ‘문해력’이 높다는 것은 언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학습과 소통에 더 능숙하게 임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해력에 대한 세대별 지형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번스타인의 계급약호와 부르디외의 이론을 통해 이루어지는 문화자본, 그리고 하위문화라는 두 관점을 통해 해석한다. 설문조사는 리서치 업체 엠브레인을 통해 2023년 4월 24일부터 4월 26일까지 3일간 해당 업체에 가입된 패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설문지가 연결된 URL을 배포하는 온라인 회원조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자는 청년세대인 MZ세대와 기성세대인 50대로, 성별과 세대, 거주지에 따른 균등 할당에 따라 표본을 표집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총 355명의 표본을 표집하였다. 표집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자어, 외래어/외국어, 인터넷어에 대한 어휘력 테스트를 실시한 뒤 각 언어에 대한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각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에 따라 주어진 어휘력과 그에 따른 문해력이 어떻게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위치 지어지는가에 대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한자어는 50대에서 학력에 의한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현재 50대인 세대까지만 교육과정에서 한자어를 필수 교과로서 학습했다는 점과 한자어가 전통적 지배계급의 언어인 동시에 현재 한국 전문용어의 약 75%가량을 차지하는 지식의 언어라는 것에서 이유를 유추할 수 있다. 또한 한자어는 Z세대에서도 주관적 계층의식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라 공교육에서 기초 국어교육이 약화되어 그 책임이 가정으로 이양되면서 가정환경과 계층에 따른 국어 실력 격차가 심화되었다는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외래어/외국어는 50대에서는 학력과 서울 거주 여부, M세대에서는 학력에 따른 격차가 강하게 나타났다. 50대와 M세대에서 공통적으로 학력에 따른 외래어/외국어 격차가 유효하게 나타난 것은 7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강화되어온 영어교육의 중요성이 미친 영향으로 볼 수 있으며, 50대에서만 나타난 서울 거주 여부에 따른 격차의 경우 경제발전 과정에서 국가에 의해 주도되었던 거점개발 방식에 의해 심화된 지역 격차로부터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인터넷어의 경우 청년세대에서 기성세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서있는 M세대에서는 주관적 계층의식과 부적인 관계를 보임으로써 계급적 하위언어로서 측면이 보여졌다. 반면 Z세대에서는 다른 변수들과는 유효한 관계가 없이 성별에 따른 격차만을 보여줌으로써 인터넷어가 단지 청년세대 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청년 하위문화임을 넘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청년세대 성별 격차의 일각을 보여주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