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10 Download: 0

윤리적 소비에 관한 의향 및 실천 연구

Title
윤리적 소비에 관한 의향 및 실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Intention and Practice of Ethical Consumption
Authors
김재원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Keywords
윤리적 소비, 윤리적 소비 실천, 윤리적 소비 의향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샛별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dea that ‘ethical consumption’,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new cultural phenomenon, is closely related to consumers’ socioeconomic status and is employed as a strategy of distinction within high cultural capital consumers. Therefore, it ai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consumers nowadays and further explore social differentiation surrounding ethical consumption.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this study traced the development of the sociology of consumption and examined how sociology can provide a useful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onsumer culture. Then, this study explained the concept and types of ethical consum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n ethics and explored the factors affecting ethical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consumers in Korean society and to seek social differentiation surrounding ethical consumption. This study consisted of two dependent variables: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experie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demographic, socio-economic,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based on “purchase experience” and the sam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purchase intention”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who currently practiced or were willing to practice ethical consumption.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20s, 30 to 40s, and above 50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8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which the sample size is 1,031.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re was no gender gap when the dependent variable was “purchase intention”, but women turned out to be more active in ethical consumption when the dependent variable was “purchase experience”.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younger generation has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ethical consumption than the older generation. However, unlike the fact that the gender gap was not observed in other groups, women in their 20s showed an active interest in ethical consumption while men in their 20s showed relatively low interest in it. Furthermore, this study reaffirmed that the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had a great influence on active participation and willingness to ethical consumption among the factors of resources. On the other hand, respondents who feel less proud of fairness and equality in Korean society are more willing to practice ethical consumption, confirming that consumption functions as a means of expressing social dissatisfaction.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father's education level and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played a major role in having an interest in ethical consumption in their 20s,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presence of children, cosmopolitanism, fair-equality pride was significant in 30 to 40s, and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 above 50s. Finally, this study found a gap between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experience”.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olitical orientation had a strong influence on forming an intention for ethical consumption. Overall,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thical consumers in current Korean society and but also examined which factors play a role in “purchase intention” and “purchase experience”.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ethical consumption is an action formed based on an individual's socio-economic background and critically suggested that ethical consumption could serve as a new status marker. Moreover,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diverse aspects surrounding the ethical consumption phenomenon by age.;본 연구는 최근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윤리적 소비(ethical consumption)’가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 행위이자 새로운 유형의 구별짓기 기제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출발하여, 현재 한국 사회의 윤리적 소비자의 특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윤리적 소비를 둘러싼 사회적 분화를 살펴보며 이에 대한 사회적·문화적·정치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먼저 본 연구는 사회학 내에서 소비가 다루어진 역사에 대해 훑고 사회학이 소비문화 연구에 어떤 유용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 ‘윤리’에 대한 도덕철학적 고찰에 이어 윤리적 소비의 정의 및 실천 유형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윤리적 소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연구 차원에서 한국 사회의 윤리적 소비자의 특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이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하여 크게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연구는 종속변수를 윤리적 소비 ‘실천 여부’ 및 윤리적 소비 ‘실천 의향’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성하여, 설명변수가 동일한 분석을 두 번 실시하였다. 이에 먼저 ‘실천 여부’를 기준으로 윤리적 소비를 실천했다고 답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계층적, 정치적 특성에 대해 파악한 후 ‘실천 의향’을 기준으로 추가적인 분석을 실시하여 현재 윤리적 소비를 실천하거나 혹은 실천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의 특성에 대해 규명하고자 했다. 나아가 분석 대상을 20대, 3·40대, 5·60대 이상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 세대가 윤리적 소비를 둘러싸고 나타내는 독특한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31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2018년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이에 대해 카이제곱분석(Chi Square Test)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B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천 의향을 가진 사람을 모두 포함하여 분석을 진행했을 시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직접적인 실천을 기준으로 분석 시 여성이 남성보다 윤리적 소비에 보다 활발히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아가 5·60대 이상의 기성세대보다 2·3·40대의 젊은 세대가 윤리적 소비에 대해 더욱 호의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40대 집단 내에서 성별 차이가 목격되지 않았던 것과 달리, 20대 응답자 내에서 독특한 성차가 발견되었다. 한편 본 연구는 응답자의 학력과 소득 수준이 윤리적 소비를 실천할 의향을 형성하거나 혹은 실천하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통하여 윤리적 소비가 소비자의 계층적 배경과 긴밀한 연관성을 가진 행위라는 점을 재확인하였다. 한편 한국 사회의 공정함과 평등함에 대한 자긍심을 약하게 느끼는 응답자일수록 윤리적 소비를 실천하거나 혹은 실천할 의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윤리적 소비가 사회적 불만을 표출하는 동시에 사회적 변화를 끌어낼 수 있는 정치적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나아가 각 연령대 별 분석 결과, 20대의 경우 아버지의 교육 수준 및 인권교육 경험이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을 갖는데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였으며 3·40대의 경우 학력, 월 소득, 자녀 유무, 세계시민의식, 공정평등자긍심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5·60대 이상의 경우 학력, 월 소득이 유효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를 실천할 의향과 실제 윤리적 소비를 실천하는 행위 사이의 격차(gap)를 발견하였다. 특히 지지하는 정당으로 대변되는 응답자의 정치적 성향이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의향을 형성하는데 강력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현재 한국 사회의 윤리적 소비자에 대한 특성을 규명하고 나아가 이들이 윤리적 소비를 실천하거나 혹은 실천할 의향을 형성하는데 어떠한 요인이 작용하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윤리적 소비가 개인의 계층적 배경 위에서 형성되고 발현되는 행위임을 발견하며, 윤리적 소비를 위시한 소비 실천이 새로운 지위 표식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더욱이 본 연구는 실천 여부와 실천 의향을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며 의도와 행동 간의 격차(gap)에 대해 살펴보았을 뿐만 아니라, 연령별로 윤리적 소비를 둘러싸고 나타내는 독특한 양상에 대해 파악하며 해당 사회 현상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