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7 Download: 0

공공도서관 청년 이용자를 위한 독서 모임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공공도서관 청년 이용자를 위한 독서 모임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Reading Groups for Young Users of Public Libraries
Authors
임미리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들이 공공도서관 독서 모임에 ‘왜’, 그리고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지 청년 독서 모임에 대한 현주소를 파악하고, 공공도서관에서 청년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독서 모임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청년은 왜 공공도서관 독서 모임에 참여하는가? 둘째,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의 참여 및 운영 과정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의 지속적인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도서관과 사서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의 범위를 「청년기본법」과 청년 관련 법령 등을 기준으로 삼아 19세 이상 39세 이하로 규정하고, 청년의 개념 및 특징, 청년의 독서실태와 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독서 모임 참여 실태 등을 검토하였다. 공공도서관 독서 모임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 독서 모임 관련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공공도서관 밖 유료 독서 모임 및 온라인 독서 모임 관련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청년 이용자를 위한 독서 모임을 위해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필요한 과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 밖에서 청년들은 유료 독서 모임 기반 커뮤니티와 문화플랫폼을 통해 책을 기반으로 함께 읽고, 모이는 현상을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동안 공공도서관 독서 모임 관련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주 이용자층인 40대 중장년을 대상으로, 참여자의 경험과 삶의 변화를 탐구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청년의 경우는 공공도서관 이용 및 실태조사 자체에만 치중되어 있어, 청년의 개인적 삶의 맥락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독서 활동에 관한 실제적 맥락을 탐구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에서는 청년 이용자 그 자체와 청년의 독서 모임 참여를 통한 함께 읽기의 구체적인 경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 참여 경험이 있는 19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 5명과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 운영 경험이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 4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4월 17일부터 5월 16일까지로, 인터뷰는 평균 80분가량 이루어졌으며, 온라인 원격 화상 회의 프로그램인 줌(zoom)을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 질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 절차는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청년과 사서의 참여 경험에 대하여 1단계 개방 코딩과 2단계 의미 구조의 도출을 위한 코딩으로 진행하였다. 1단계 코딩은 전사 자료로부터 의미 있는 단어, 문장, 문단을 개념별로 범주화하여 축약하는 과정이며, 2단계 코딩에서는 개념들과 범주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고 연결하여 의미 구조의 도출을 위한 코딩으로 진행하였다. 각 과정에서 도출된 주요 개념을 해석하고 제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청년과 사서 인터뷰를 각각 구분하여 진행하였으며, 종합 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의 청년 참여 경험과 사서 운영 경험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구조화하여 총체적인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의 코딩을 거쳐 최종 3가지의 주제 묶음인 참여 동기와 유입 요인, 문제 요인, 활성화 요인으로 도출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2019년 <국민 독서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독서인구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 중에도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에 참여한 청년이 다양한 활동 중에서도 ‘책’을 그리고 독서 모임을 선택한 이유는 ‘책에 관한 긍정적인 기억’에서 기인하며, 책을 좋아하거나, 독서를 통해 윤택한 삶을 살 수 있다는 기대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공공도서관 밖 유료 독서 모임 및 문화플랫폼에 참여하는 청년들의 참여 동기인 실용적이고 실무적인 ‘유익한 네트워크’는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의 ‘다양한 만남에 대한 기대’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개념이었다. 둘째,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의 모집 및 모임 과정과 운영 과정의 어려움 중, 공통으로 파악된 문제 요인으로는 청년 참여자의 바쁜 삶과 독서 및 독서 모임에 관한 심리적 장벽, 공공도서관에 대한 고리타분한 인식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신규 회원모집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회원의 고착화라는 문제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식 개선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셋째, 청년은 공공도서관 밖 공간, 카페 등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비용의 부담과 도서관의 정숙한 분위기를 모임 과정의 어려움으로 지적하였다. 한편, 사서 인터뷰를 통해 도서관 공간의 부족, 도서관 밖 공간 활용의 제약이 운영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청년과 사서의 양쪽에서 공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공간의 분위기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청년들이 상호작용하는 정서적 공간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공간은 도서관의 상황과 독서 모임 콘텐츠에 따라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을 적절히 활용될 필요가 있다. 청년의 니즈를 파악하여 선정 도서에 따라 세부적이고 유연한 독서 모임 구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식 개선과 내용 및 운영 요소 두 가지 측면에서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먼저, 인식 개선 측면에서는 청년들의 책과 독서에 대한 인식 개선과 기존의 공공도서관 독서 모임의 이미지에 관한 인식 개선으로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운영 및 내용 요소는 구체적인 대상 설정을 통한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의 정체성 확립, 청년들의 접근성을 고려한 다양한 홍보 채널 활용 모색, 그리고 청년들의 니즈를 바탕으로 콘텐츠와 공간을 활용한 독서 모임 방식의 유연한 구성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공공도서관에서 소외되었던 청년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공공도서관 독서 모임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의 참여 동기 및 과정에서 청년과 사서 양쪽의 입장을 고려하여 실천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향후, 공공도서관 청년 독서 모임에 참여 경험이 없는 청년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를 통해 공공도서관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청년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독서 모임 또는 독서 프로그램을 위한 설문지 개발 등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y and how young people participate in reading groups at public libraries an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youth reading groups. Furthermore, it aimed to propose strategies to activate reading groups for youth library users. The study focused on three main objectives. First, why do young people participate in reading groups at public libraries? Second, what are the challenges in the particip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youth reading groups in public libraries? Third, what roles do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 play in supporting the ongoing operation of youth reading groups in public libraries? In this study, the range of youth was defined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Youth」 and other related laws as individuals aged 19 to 39. The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the current state of youth reading behaviors, and the participation in reading groups in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It also review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reading groups in public librarie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on this topic. Additionally, the study investigated for-profit reading groups and online reading groups outside of public libraries to identify the necessary tasks in the field of public libraries for organizing reading groups for young users. Furthermore, it explored cases where youth outside of public libraries gathered and read books together using the for-profit reading groups and platforms. Previous research on reading groups in public libraries has primarily focused on the main user group of public libraries, which is the middle-aged population in their 40s, especially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changes in their lives. However, research on youth has been primarily centered around the utilization and survey of public library services, lacking investigations into the actual context of various reading activities that occurred within the personal lives of young individuals. Therefore, this study paid a particular attention to both the young library users themselves and their specific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reading groups, emphasizing the context of reading together within the personal lives of young people in public librar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five young individuals aged 19 to 39 who had participated in youth reading groups at public libraries, and four librarians who had operated youth reading groups at public librari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pril 17, 2023, to May 16, 2023. Remote Zoom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pproximately 80 minutes. Data collection involv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The analysis process included two steps: Step 1 involved open coding to derive meaningful categories and condense significant words, sentences, and paragraphs into conceptual categories from the transcribed data. Step 2 involved coding to establish relationships and connections between concepts and categories for the derivation of a meaningful structure. The study interpreted and presented the key concepts derived from each step.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separately for the interviews with the young participants and the librarians. The comprehensive analysis aimed to integrate and structure the meaning of the youth participation experience in youth reading groups at public libraries and the operational experience of the librarians, in order to achieve a holistic understanding. The coding of the interview data resulted in three main thematic clusters: motivations and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problematic factors, and factors for activation, with the following insights: First, according to the "National Reading Survey" conducted in 2019, despite a decrease in the reading population in Korea, young participants in youth reading groups at public libraries chose "books" and reading groups based on their positive memories associated with books. They had a liking for books and expected to lead a fulfilling life through reading.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useful networks" that motivated young people to participate in for-profit reading groups and platforms outside of public libraries was not found in the analysis on the expectations of young participants in public library youth reading groups, who had “a desire for diverse social encounters.” Second, among the difficulties in recruitment and operation of youth reading groups at public libraries, the common identified problematic factors were the busy lives of young participants, emotional barriers related to reading and reading groups, and perception that public libraries were outdated. These factors posed challenges in recruiting new members and contributed to the stagnant participant pool. This highlighted the need for improving perceptions and awareness of public libraries. Third, young participants pointed out that the cost of using commercial places and coffee shops outside of public libraries, as well as the too-quiet atmosphere of the library posed challenges in reading group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librarian interviews revealed the constraints of limited library space and outside spaces posed challenges in operation. Therefore, both the perspectives of young participants and librarian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hysical space. The ambiance of the space played a significant role, and there was a need for emotionally engaging spaces where young people could interact. Thus, depending on the library's situation and the content of the reading groups,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utilize online and offline spaces. The content required a specific and flexible structure of reading groups, with the selection of books considering the needs of young individuals. The study ha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activating youth reading groups in public libraries from two aspects: awareness improvement and operational and content elements. First, regarding awareness improvement, the study proposed enhancing young people's awareness of books and reading and the image of existing public library reading groups. Second, regarding operational and content elements, the study suggested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public library youth reading groups with specific targets, exploring diverse promotional channels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for young individuals, and proposing flexible structures of reading groups based on the needs of young people, utilizing content and spa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cused on young library users, who have been overlooked in public library reading groups. Furthermore, it provides comprehensive and practical activation strategies for public library youth reading groups by considering the perspectives of both young participants and librarians. Qualitative future studies on young individuals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public library youth reading groups can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factors that hinder their participation. This research can serve as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surveys for reading groups or reading programs targeting young users of public librar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