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72 Download: 0

국가상호대차 서비스의 영향요인과 네트워크 분석 연구

Title
국가상호대차 서비스의 영향요인과 네트워크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and Network Analysis of National scope Interlibrary Loan
Authors
최재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eywords
상호대차, 자원공유, 네트워크, 영향요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은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중요성이 점차 커지는 국가적 범위의 자원공유 서비스에서 양질의 지표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네트워크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자원공유 서비스 중에서도 매년 이용량이 증가하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책바다 서비스를 선정하였다. 국내 상호대차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주로 특정 관종 또는 특정 지역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다수였고 전국적 범위의 다관종 상호대차를 다룬 연구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책바다 데이터를 관종, 지역, 주제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관종은 운영주체와 운영방식, 지역은 광역과 기초지방자치단체와 같이 추가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에서는 이러한 관종, 지역 간 장서의 흐름과 주요 도서관을 규명하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다음으로 관종별, 지역별로 신청과 제공의 균형을 살펴보기 위해 공헌도를 활용하였고, 상호대차 이용패턴, 상호대차에 영향을 미치는 도서관 환경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대학, 국립도서관의 제공을 통한 서비스 기여와 공공, 전문, 작은도서관의 신청을 통한 장서 보충 현상이 드러났다. 두번째로 신청이 많을수록 제공도 많은 이용패턴은 교육청 도서관이 지자체보다 높게 나타나고, 지역적으로는 광역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었다. 특히 경기도는 참여도서관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이용패턴이 일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책바다 신청은 공공도서관의 경우 대출책수, 대학도서관의 경우 대출자수와 가장 큰 관계가 있었다. 책바다 제공의 경우 공공도서관은 직원수, 대학도서관의 경우 대출자수와 많은 관계가 있었다. 한편, 모든 환경 요인과의 상관계수는 교육청 도서관이 지자체보다 높게 나타났다. 네 번째는 네트워크의 주요 분석 결과이다. 연도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2009년 참여하기 시작한 대학도서관이 2010년 네트워크부터 높은 제공건수를 바탕으로 내향 연결정도중심성이 높게 나타나며 주요 행위자로 등장함을 확인하였다. 2014년부터 대거 가입한 경기도 지자체 직영 공공도서관은 많은 신청을 바탕으로 높은 외향 연결정도중심성, 외향 근접중심성을 나타낸다.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확대되어 2022년에 경기지자체 직영 도서관이 네트워크의 가장 중심으로 이동한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내향 연결정도중심성이 가장 높은 서울교육청은 제공처로서 역할하고, 내향 근접중심성이 높은 국립중앙도서관은 전국 상호대차에서 다른 도서관이 소장하지 않은 자료를 제공하는 최종 도서관으로서 역할하는 것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역별 네트워크에서 광역지자체 내 밀도의 차이가 있었다. 밀도가 높은 부산, 인천 등은 교육청 도서관이 제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전북, 충남 등은 교육청 도서관의 역할이 미미하게 나타났다. 기초지자체 간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내향 연결정도중심성이 높은 도서관이 위치한 서울 용산구, 서울 종로구 등이 마찬가지로 내향 연결정도중심성 상위권으로 나타났으며, 비수도권 지자체 중 높은 내향 연결정도중심성을 나타낸 곳은 해당 지역의 대학도서관이 많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각 도서관의 네트워크 중심성과 상호대차 지표, 도서관 환경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내향 연결정도중심성은 제공건수와, 외향 연결정도중심성은 신청건수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따라서 제공 및 신청과 관계가 높았던 영향요인과도 이들 중심성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자원공유 협의체에서 인센티브제를 도입할 때 어떤 도서관을 선정해야 할지, 협의체 내 의사결정 시에는 어떠한 도서관 그룹과 논의해야 하는지, 장서확충이 필요한 지역 및 관종은 어디인지, 높은 밀도를 통해 자체적인 광역 상호대차 서비스를 검토할 수 있는 지역은 어디인지 등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기반의 분석을 최근 확대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자원공유 서비스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협의체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and network characteristics that affect quality indicators in national resource-sharing service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day. Among the resource sharing services, “Chaeck-Bada” service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hose use increases every year,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interlibrary loans in Korea,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specific types of libraries or specific regions, while studies dealing with varies kind of libraries nationwide were insignificant. Therefore, in this study, “Chaeck-Bada”data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ypes, regions, and book themes. The types of libraries were further subdivided into operating entities and operation methods, and regions. In data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was adopted to identify the flow of collections between these types and regions and major libraries. Next, “the contribution figure(Yu 2013)” was used to examine the balance of borrowing and lending by library type and reg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library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interlibrary loan use pattern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libraries and national libraries contribute to services through lending. Public libraries, special libraries, and small libraries supplement their insufficient collections through borrowing. Second, the more borrowing, the more lending patterns appeared in the librarie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Office of Education. The pattern also differed regionally. In particular, as Gyeonggi-do accounts for the highest portion of participating libraries, it was found that the usage pattern is not constant. Thirdly, the number of lending had the greatest relationship with the number of borrowed books in the case of public libraries and the number of borrowers in the case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case of lending, public libraries had a lot to do with the number of employees, and university libraries had a lot to do with the number of borrowers. Meanwhil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all environmental factors was higher in the Office of Education library than in the local government. The fourth is the main analysis result of the network. Through yearly network analysis, university libraries, which started participating in 2009, emerged as important actors. University libraries did a lot of lending to public libraries. Since 2010, the in-degree centrality of university libraries has gradually increased. Public libraries directly operated by Gyeonggi-do local governments, which have joined in large numbers since 2014, show high out-degree centrality and out -closeness centrality based on many borrowing. This continues to expand over time, and in 2022, it can be seen that the library directly operated by the Gyeonggi municipal government has moved to the very center of the network. On the other hand, the Seoul Office of Education with the highest in-degree centrality acts as a lender,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ith a high in-closeness centrality acts as the final library that provides materials not owned by other libraries in nationwide interlibrary loans. Next, there was a difference in density within metropolitan municipalities in regional networks. In Busan and Incheon, the density of Network is high. Because education office libraries lends many books and local government libraries borrows that books. whereas in Jeonbuk and Chungnam, where the role of education office libraries is relatively insignificant. So the density of network of Jeonbuk and Chungnam is low. In the network analysis between basic local governments, Yongsan-gu and Jongno-gu, Seoul, where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Library is located with high in-degree centrality, also ranked first in In-degree centrality.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network centrality of each library, interlibrary index, and library environmental factors was analyzed. In-degree centrality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lending, and out-degree centrality showe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borrowing.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centralities was also high with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had a high relationship between lending and borrow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library to select when introducing an incentive system in a resource sharing council, which library group to discuss with when making a decision within the council, and which regions and library types need to expand collections. In addition, through high density, it is possible to derive which areas can be reviewed for their own wide-area interlibrary loan service. If such data-based analysis is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esource sharing services that are recently expanding, effective and efficient service operation will be possi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