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7 Download: 0

위탁 공공도서관 사서를 위한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Title
위탁 공공도서관 사서를 위한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Learning Communities for Librarians in Outsourced Public Libraries.
Authors
권지은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차미경
Abstract
지식의 유효기간이 짧아진 현대사회로의 진입은, 사서에게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 새로운 정보환경의 불확실성에 직면한 사서는 상호 교류를 통한 지식과 자원의 공유가 필요하며 변화를 이끌어나가기 위한 지식의 최신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사서들의 소속에 따라 교육의 기회와 제도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위탁 기관 소속 공공도서관 사서의 경우, 사서교사나 사서직 공무원과 달리 계속 교육이 의무화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동기부여가 약화되기 쉽다. 또한, 업무 공백의 우려와 제도적 장치의 미흡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나 위탁 공공도서관은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소속된 사서들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지속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소규모 학습공동체를 형성하여 스스로 학습하는 사서들이 늘어나고 있다. 학습공동체란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과 공유를 통해 공동체로서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집단이다. 이러한 활동은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여 개인과 공동체의 경쟁력을 제고 할 수 있으며, 집단 내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의 함양을 통해 유연한 조직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서들이 지속적으로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고 협력하여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조성하고자, 학습공동체 활동 현황을 점검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활동이 사서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사례 조사, 설문 조사를 병행하였다. 공공도서관 사서의 학습공동체에 관한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하였으며, 이에 다른 전문직군의 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연구를 추가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공동체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였고, 위탁 공공도서관 사서의 교육 현황을 점검하여 계속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사서의 학습공동체 특징을 도출하였다. 사례 조사는 2018년부터 학습공동체를 꾸준히 운영하고 있는 서울시 강남구 위탁 공공도서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학습공동체의 활동 기록을 살펴보았다. 설문지는 2회의 사전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활동 척도에 관한 문항 13개, 만족도 및 유용성에 관한 문항 10개, 학습 성취도에 관한 문항 5개, 직무 만족 변화에 관한 문항 12개, 희망하는 학습공동체 운영 방향에 관한 문항 5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문항 8개로, 총 6부문 5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는 강남구립도서관 소속 사서를 대상으로 2023년 5월 20일부터 2023년 5월 22일까지 진행하였으며, 학습공동체 활동에 한 번이라도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총 101부를 배포하여 81부를 회수하였으며, 모든 응답을 분석 데이터로 활용하여 회수율은 80.2%로 나타났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Statistic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을 산출하고,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응답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사후분석으로 Scheffé 검증을 하였으며, 신뢰도 검사를 위해 Cronbach’s Alpha 계수를 확인하였다. 사례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통해 강남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공동체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참여하고 있는 학습공동체는 비교적 목적에 맞게 잘 운영되고 있었다. 학습공동체 운영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인 활동 척도 문항에서, 평균 점수가 대체로 4점 이상을 상회하는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학습공동체 활동의 필요성에 대해 사서들이 상당 부분 공감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둘째, 1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신입 사서와 10년 이상 15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사서에게서 직무 만족 변화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들에게 학습공동체 활동은 긍정적이며 새로운 영향을 주었고,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사서들은 현재의 학습공동체 운영 방향에 대부분 만족하였다. 구성원의 조직 방법, 운영 횟수, 운영 시간에 대한 응답이 현재의 운영과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만, 운영방식은 현재와 다른 답변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학습공동체 활동이 주로 아이디어 공유 및 실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사서들은 학습공동체 활동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강사의 피드백을 원했다. 넷째, 활동 척도는 학습활동의 효과인 만족도 및 유용성, 학습 성취도, 직무 만족 변화에 대부분 정비례 관계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학습공동체 활동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동료 사서와의 유대감이 잘 형성될수록 학습공동체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각 변수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개선이나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학습공동체 활동 효과에 대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활동 경험의 기간에 따라 효과가 높은 것이 아니라, 활동 내용이나 동료 사서와의 유대감, 적극적인 참여 정도가 학습공동체 효과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활동 척도에 관한 문항 중에서 공동연구에 관한 문항은 직무 만족 변화에 반비례 관계인 부(-)적 영향을 주었다. 협력적 학습활동이 사서들에게 부담으로 느껴져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모든 문항 중 가장 낮은 평균 점수를 기록한 문항은 활동 척도에 관한 문항 중에서 예산 지원에 관한 문항이다. 사서들은 대체로 학습공동체 활동에 필요한 충분한 예산을 지원받고 있지 않다고 생각하며, 학습공동체가 잘 운영되기 위해서는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서의 학습을 위한 학습공동체 활동을 제안하며,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협업을 촉진하는 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구성원 간에 신뢰 관계를 구축하고 서로를 지지할 수 있는 정서적 환경의 조성은, 변화에 유연한 조직구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시대변화에 맞춘 도서관 서비스 품질과 효과성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그룹 활동이 직무 만족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관리자의 고민이 필요하며,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집단전문성을 형성하려는 사서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사서들은 교류를 통해 무엇을 배우며 얻고 싶은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야 하고, 사서로서의 가치와 자신의 가치를 일치시켜나가는 태도와 자세가 필요하다. 둘째, 사서의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학습활동에 대한 비전과 가치를 공유하여 사서들의 공감과 이해를 높여야 한다. 이는 학습공동체의 지향성을 명확히 해주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평가와 환류 과정에 보완이 필요하다. 실천적 사례 공유는 사서들이 스스로 활동을 점검하고, 다른 그룹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부족한 만큼 사서들의 충분한 이해와 합의가 필요하다. 셋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룹별 학습공동체 활동의 목적에 맞는 전문 강사를 섭외하여, 현재의 학습공동체 활동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점검과 피드백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사서들이 견문을 확대하고 학습의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는 것과 학습에 대한 흥미를 새롭게 고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활동 주제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충분한 예산이 지원된다면, 사서들이 지적 영역에 관한 충분한 탐구를 하고 이를 통해 개인과 집단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서의 계속 교육과 재교육의 중요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소규모 학습공동체가 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례 조사와 설문 조사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의무적인 학습공동체 활동은 누군가에게는 좋은 교육이 될 수 있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부담스러운 교육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학습공동체 활동이 사서들 간의 협력과 지식 공유를 촉진하여 개인의 전문성은 물론 도서관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같은 자치구에 속한 사서들끼리 학습공동체를 조직하는 것은 활동 시간의 조율이 유연하다는 점과 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학습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서 개개인의 특성과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으로, 학습에 대한 의지와 즐거움이 동반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The entry into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validity period of knowledge has been shortened, emphasizes the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to librarians. In the face of uncertainties in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librarians need to share knowledge and resources through mutual exchange, and update knowledge to lead change is required. However,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systems depending on the affiliation of librarians. In the case of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affiliated with outsourced institutions, unlike a school library librarian or government librarian, there is a tendency for motivation to weaken as continuous education is not mandatory.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provide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due to concerns over work gaps and lack of institutional devices. However, since the number of entrusted public libraries is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number of librarians belonging to them is steadily increasing, measur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y can continue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s an alternative, small-scale learning communities are being formed, where librarians engage in self-directed learning. A learning community refers to a group of individuals with shared interests who come together to set goal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rough learning and knowledge sharing. Such activities can generate new knowledge,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and the community, and foster a sense of solidarity and communal consciousness within the group, thereby helping to create a flexible and cohesive organiz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where librarians can continue to share knowledge and skills and cooperate to grow together, the current status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as checked and the effect was identified. We wanted to confirm that these activities could be an alternative to librarian education, and in addition, we sought ways to revitalize the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surveys at the same time. Prior research on the learning community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was very insufficient, and further studies on the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of other professional groups were examined. Through thi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mmunity were identified,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entrusted public library librarian was checked to confirm the need for continuous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ian's learning community were derived. In the case study, the public library entrusted by Gangnam-gu, Seoul, which has been steadily operating the learning community since 2018,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he activity records of the learning community were examine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wice, consisting of 13 questions on the activity scale, 13 questions on satisfaction and usefulness, 5 questions on learning achievement, 12 questions on job satisfaction changes, 5 questions on the desired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8 questions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librarians belonging to the Gangnam-gu Library from May 20, 2023 to May 22, 2023, and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librarians who had participated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t least once. A total of 101 copies were distributed and 81 copies were recovered, and the recovery rate was 80.2% using all responses as analysis data. The collected data used the SPSS Statistics 27.0 program, calculated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nd examined differences in responses through t-test, one-way ANOVA,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Scheffé verification was performed by post-analysis, and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confirmed for reliability t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mmunity operated in Gangnam-gu through case studies and surveys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community in which librarians were participating was operating relatively well for a purpose. In the activity scale question, an indicator of how the learning community is operated, the average score was generally higher than 4 point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confirmed that librarians sympathize with the need fo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Second, job satisfaction changes were significant in new librarian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and librarians with more than 10 years and less than 15 years of experience. For them,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had a positive and new impact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to satisfy their self-realization needs. Third, librarian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current direction of opera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The response to the members' organizational method, number of operations, and operating hours was the same as the current operation. However, the operation method appeared to be a different answer from the present. Currently,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mainly conducted in the form of idea sharing and practice, but librarians wanted instructors' feedback on whet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were proceeding in the right direction. Fourth, the activity scale had a positive (+) effect, which is a direct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satisfaction and usefulness, learning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which are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better the bond with fellow librarians is formed, the greater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mmunity. On the other hand,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n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parts that were confirmed to need improvement or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effect was not high depending on the period of activity experience, but the content of the activity, the bond with fellow librarians, and the degree of active participation affected the effect of the learning community. Second, questions about joint research had a negative (-) effect, an inverse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job satisfaction. It can be judged that cooperative learning activities felt a burden on librarians and had a negative effect. Third, the question with the lowest average score among all questions is about budget support. librarians generally think that they are not receiving sufficient budget fo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responded that budget support is needed for the learning community to operate wel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propos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librarians' learning, and a plan to revitalize them is as follows. First, a culture that promotes collaboration should be formed. Creating an emotional environment that can build trust among members and support each other can help form a flexible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change and improve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library services tailored to the changing times. In addition, managers' concerns are needed so that group activities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librarians' efforts to form group expertise through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needed. librarians should seriously think about what they want to learn and gain through exchanges, and they need an attitude and attitude to match their values as librarians. Second, the librarian'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s needed. In order to cultivate this attitud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librarians by sharing the vision and value of learning activities. This can be a central point that clarifies the direction of the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process of evaluating and refluxing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Practical case sharing is an opportunity for librarians to check their activities on their own and evaluate their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comparisons with other groups. However, as there is a lack of positive response to this, sufficient understanding and agreement from librarians are needed. Thir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By recruiting professional instructors suitable for the group's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purposes, they should be able to receive checks and feedback on whether the current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proceeding in the right direction. It will help librarians expand their knowledge and set a new direction for learning, and will be able to inspire new interest in learning. In addition, if sufficient budget is provided to ensure the diversity and autonomy of activity topics, librarians will be a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s and groups through sufficient exploration and learning of intellectual areas.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at a small learning community could be an alternative amid the importance of continuing education and retraining of librarians. Accordingl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ed the current status through case studies and surveys and sought solutions. Mandatory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can be a good education for someone, but a burdensome education for someone els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re a useful tool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libraries as well as individual expertise by promoting cooperation and knowledge sharing among librarians. Organizing a learning community among librarians belonging to the same autonomous region has sufficient advantages in that it is flexible to coordinate activity hours and can select customized learning topic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rary. Therefore, as an education to strengthen the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individual librarians,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various ways of activities in the learning community that can be accompanied by willingness and pleasure in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