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43 Download: 0

교육 수준이 가계 자산 축적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육 수준이 가계 자산 축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Education Level on Household Asset Accumulation :Evidence from Korea
Authors
Li, Chunying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기석
Abstract
Many studies have confirmed that education affects household savings. However, it is difficult to draw clear theoretical conclusions on how educational attainment affects household saving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e effect of education on household savings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from 2001 to 2020. We theoretically examine how education affects household savings from the perspectives of income uncertainty, lifetime income/consumption patterns, time preference, and consumption growth rates. The results reveal the following: Firstly, education level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ousehold savings. secondly, a comparative analysis of income uncertainty by education level shows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lower the income uncertainty, which is difficult to explain by the theory of precautionary saving. Thirdly, we estimated the time preference rate using the GMM method and found that,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the time preference rate tends to increase with education level. However, since the GMM estimation is sensitive to the model structure and the choice of instrumental variables, the results are inconsistent, making it difficult to estimate and analyse the time preference rate by education level. Fourthly, we estimated the consumption growth rate using the 2SLS method and found that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consumption growth rate. Finally, a comparative analysis of lifetime income/consumption patterns shows that highly educated individuals tend to save more for retirement, while low-educated individuals tend to continue working after retirement because they are not able to plan their lives sufficiently, suggesting that improving educational attainment may be a factor in increasing interest and ability to sav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positive effect of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on household asset accumulation in Korea using the precautionary saving theory and the time preference theory. This suggests that the purpose of bequest may be one of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in savings rates between income groups or educational levels, as in Dynan's (2000) study, and may be suggested as a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교육 수준이 가계 저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많은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그러나 교육 수준의 향상이 가계 저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의 한국노동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교육 수준이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는 소득불확실성, 생애 소득/소비패턴, 시간선호율 및 소비증가율의 관점으로부터 교육수준이 가계저축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 원인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교육 수준이 가계저축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수준별로 소득불확실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소득불확실성이 낮아짐으로 불확실성에 의한 예비적 저축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셋째, GMM방법으로 시간선호율을 추정한 결과, 예상과 달리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시간선호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GMM추정이 모형의 구조나 도구변수의 선택에 따라 민감하게 달라지므로 결과가 일관성이 없어 교육 수준별로 시간선호율을 추정하고 분석하기 어렵다. 넷째, 2SLS방법으로 소비증가율을 추정한 결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소비증가율이 더 높아짐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애 소득/소비패턴을 비교 분석한 결과, 고학력층은 은퇴 후를 대비해 저축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으며, 저학력층은 생애계획을 충분히 세우지 못해 은퇴 후에도 근로를 계속하는 경향이 보임으로 교육수준의 향상이 저축에 대한 관심과 능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위 결과에 따르면 한국에서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가계 자산 축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예비적 저축이론과 시간선호율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이는 Dynan(2000)의 연구와 같이 소득 그룹 또는 학력 간의 저축률 차이의 원인 중 하나로 유산 목적을 언급할 수 있으며, 향후 연구의 방향성으로 제시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