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97 Download: 0

한국 국가정체성의 변화와 한·일 관계

Title
한국 국가정체성의 변화와 한·일 관계
Other Titles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n National Identity and South Korea-Japan Relations : The Collapse of the Two Track Diplomatic Strategy After the Verdict on the Forced Labor Compensation Issue
Authors
권예진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Keywords
국가정체성, 한·일 관계, 투-트랙 전략, 강제징용 배상 판결, 문재인-아베 정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봉
Abstract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사건에 대한 판결은 왜 한·일 관계 악화의 트리거(trigger)가 되었는가? 본 연구는 문재인 정권과 아베(安倍 晋三) 정권 시기(문재인-아베 정권 시기) 한·일 관계를 시계열적 흐름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국가정체성이라는 구성적 요인이 외교정책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강제징용 배상 판결이 한·일 관계 악화의 트리거가 된 이유에 대해 분석한다.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국가정체성에 대한 개념 정리와 함께 제퍼슨·웬트·카첸슈타인의 안보정책결정 모델을 이론틀로 활용한다.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갈등의 핵심에 국가정체성이 존재하며,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배상 판결이 아베 정권의 보수 우파적 국가정체성의 역사수정주의적·경제성장주의적 성격과 정면으로 충돌하면서 문재인-아베 정권 시기의 한·일 갈등의 트리거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한국은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 일제강점기라는 공통의 역사적·민족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 ‘식민지배 피해국 정체성’과 더불어 안보·경제·문화·지정학적 등의 맥락에서 전략적 이해관계를 공유하는 ‘동반자적 이웃국가 정체성’을 내재화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과 더불어 등장한 문재인 정권은 식민지배 피해국 정체성과 동반자적 이웃국가 정체성을 모두 반영하여 투- 트랙 외교 전략을 대일 외교정책으로 내세웠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한·일 간 역사문제에 단호히 대응한다는 기조를 유지하는 한편, 동반자적 이웃국가 정체성을 통해 일본을 가까운 이웃이자 동반자로 인식하고 북한 핵·미사일 등의 안보 및 경제 문제에 대한 실질적 협력 정책을 펼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문재인 정권의 투-트랙 외교 전략은 2018년 10월 30일 한국 대법원의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사건에 대한 판결을 기점으로 무너지게 되었고, 한·일 관계는 급속도로 악화되었다. 본 연구는 ‘인정’과 ‘배상’을 요구한 2018년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및 판결 후속 조치와 이에 대한 대응으로써의 일본의 경제 제재 조치로 인해 일제강점기 과거사 문제와 안보·경제 문제가 결합되면서 한국의 식민지배 피해국 정체성이 강화되고 투-트랙 외교 전략이 점차 붕괴되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시각을 적용하여 2018년 10월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사건에 대한 판결을 전후로 한국과 일본의 국가정체성 및 외교정책이 형성되고 충돌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본 논문은 한국의 국가정체성의 형성 및 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일본의 국가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일본의 정치권에 한정한다. 이는 강제징용 배상 판결이 한·일 관계 악화의 트리거가 된 이유와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 갈등의 핵심에 국가정체성이 있음을 주장하고자 하는 본 논문의 목적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why the verdict on the forced labor compensation became a trigger for the deterioration of South Korea-Japan relations. By analyzing the sequential flow of the relationship during the administrations of Moon Jae-in and Abe Shinzo(Moon-Abe administration perio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national identity as a constitutive factor on the formation of diplomatic policies and the reasons why the verdict on forced labor compensation became a trigger for the deterioration of the South Korea-Japan relationship. To conduct this analysis, the study utilizes the conceptual clarifica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Jefferson-Wendt- Katzenstein’s security policy decision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argues that national identity lies at the core of the South Korea-Japan conflict surrounding historical issues, and that the verdict on forced labor compensation clashed directly with the Abe administration’s revisionist and economically driven conservative right-winged national identity, triggering the conflict during the Moon-Abe administration period. In terms of its relationship with Japan, South Korea embodies a “victim of colonial rule identity”, formed through an internally shared historical and ethnic experienc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well as an “identity of neighboring partnership country” that shares a strategic interest. The Moon administration, which emerged alongside the movement calling for the resignation of President Park Geun-hye, pursued a two-track diplomatic policy toward Japan, reflecting both the identity of a victim of colonial rule and that of a neighboring partnership country. The Moon administration tried to maintain a firm stance in addressing historical issues such as the issue of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while perceiving Japan as a close neighbor and partner and pursuing substantive cooperation regarding security and economic issues such as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However, the two-track diplomatic strategy of the Moon administration collapsed on October 30, 2018, with the Supreme Court of Korea’s verdict on the forced labor compensation, leading to a rapid deterioration of the South Korea-Japan relationship. This study argues that the Supreme Court of Korea’s verdict on the forced labor compensation in 2018, demanding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and Japan’s economic sanctions in response to the verdict, has led to the convergence of historical issues and the security and economic issues. This strengthened South Korea’s identity as a victim of colonial rule and led to the gradual collapse of the two-track diplomatic strategy. To support these arguments, this study applies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clash of national identities as well as the diplomatic policie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verdict on the forced labor compensation in 2018.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the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South Korea’s national identity with a limited discussions on Japan’s national identity confined to the political sphere.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ncentrate on the role of national identity in the context of the strained South Korea-Japan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 to the triggering factors behind the deterioration of bilateral relations.;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 䍚制徴用に対する判決はなぜ韓日꞊係䖾化の引き金となったのか? 本溿究は、文在寅政嘤と安倍政嘤時代の韓日꞊係を時系列的な流れを通 じて調べることで、㎁家アイデンティティという構成的要因が外交政策形成に及ぼ す影響と䍚制徴用賠償判決が韓日꞊係䖾化のトリガーになった理由について分析する。 分析のため本溿究は、㎁家アイデンティティに対する概念整理と共にジェファ ーソン·ウェント·カチェンシュタインの安保政策決定モデルを理論枠組みとして活用 する。 分析を基に本溿究は、過去史問題を巡る韓日葛藤の核心に㎁家アイデンティティが存在し、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䍚制徴用賠償判決が安倍政嘤の保守右派的㎁家アイデンティティの歴史修正主義的·磬岷成長主義的性格と正面から衝突し、文在寅-安倍政嘤時期の韓日葛藤のトリガーになったと主張する。韓㎁は日本との꞊係において、日帝䍚占期という共通の歴史的·民族的磬験を通じ て形成された「植民支配被害㎁アイデンティティ」と共に、安保·磬岷·文化·地政㰢的などの脈絡で䡵略的利害꞊係を共有する「同伴者的隣㎁アイデンティティ」を内在化している。 朴槿䕤 大統領退陣運動とともに登場した文在寅政嘤は、植民地支配被害㎁のアイデンティティと同伴者的隣㎁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すべて反映し、ツートラック䡵略を対日外交政策として掲げた。韓日間の歴史問題に了固として対䑴するという基調を維持する一方、日本を近隣でありパートナーと認識し、北朝鮮核·ミサイルなどの安保および磬岷問題に対する㲔質的な協力政策を展開しようとしたものだ。しかし文在寅政嘤のツートラック外交䡵略は2018年10月30日、韓㎁最高裁の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䍚制徴用に対する判決を基点に崩れることになり、韓日꞊係は急速に䖾化した 本溿究は「認定」と「賠償」を要求した2018年最高裁の䍚制徴用賠償判決および判決後禈措置とこれに対する対䑴としての日本の磬岷制裁措置により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過去史問題と安保·磬岷問題が結合され、韓㎁の植民地支配被害㎁アイデンティティが䍚化されツートラック外交䡵略が次第に崩壊したことを主張する。このような主張を裏付けるために本溿究は構成主義的見解を適用し、2018年10月日本による植民地時代䍚制徴用に対する判決前後に韓㎁と日本の㎁家アイデンティティおよび外交政策が形成され衝突する過程を分析する。本論文は韓㎁の㎁家アイデンティティの形成および変化に焦点を合わせており、日本の㎁家アイデンティティに꞊する議論は日本の政界に限定する。 これは䍚制徴用賠償判決が韓日꞊係䖾化の引き金になった理由と過去史問題を巡る韓日間葛藤の核心に㎁家アイデンティティがあることを主張しようとする本論文の目的を集中的に遂行するためだ。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