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3 Download: 0

Z세대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자아표현 유형과 사회자본 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Z세대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자아표현 유형과 사회자본 인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Self-presentation and Social capital on social media among Gen-Z
Authors
김유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Keywords
Z세대, 소셜미디어, 자아표현, 사회자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영일
Abstract
Modern people live in a world connected to various digital devices and the Internet. And the world is full of various images. Images pouring out from the media every day like this are no longer a special stimulus to us living in this era. The communication method of modern people is also changing from the communication method of writing, reading, and interpreting text to communication based on images. Unlike blogs or personal websites in the past, through social media such as Instagram and Pinterest, which have been growing continuously since 2015, people can easily create and share their emotions, events, and various information. Image-based social media, called third-generation social media, is media that shares information based on users' interests and is thoroughly built around users.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mages are a medium for self-expression while interacting with others as a central medium of communication. I believe that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Generation Z, born in the era of commercializ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smartphones, will be a key to understanding the impact technology has had on humans and the human psychology that develops and develops technologies. Accordingly, this paper set up two research questions and phenomenologically looked at the psychological attributes of social media users and the experience of forming social capital, focusing on the concept of self-expression and social capital of digital natives (Generation Z)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technology.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to explore social media use patterns and perceptions of self-expression of Generation Z social media users, and second, to find out about Generation Z social media users' social capital formation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composition of the study is prior research investigation, subject selection, survey and interview, and analysis. Accordingly, online/offlin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Generation Z, who actively use social media, and a simple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ocial media use pattern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Speech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images select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Zaltmann's metaphor extraction technique used to understand their use psychology in depth. There are three main findings of the study. ① First, generation Z social media users prefer media that allows them to easily communicate and express themselves through images instead of sharing information or self-expression in text. Social media services mainly used by young people in Generation Z are moving from Facebook to Instagram and photos, stories, and releases in the order of Instagram. reported behavior.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user's perception of self-expression in social media, all Generation Z users reported a sense of gap between the virtual and the real, even though they said that they felt the freedom or sense of liberation given by the virtual space of social media. ② Second, it is the type of self-expression seen through their self-expression. The three types of self-expression described by Park Hwa-jin and Shin Jae-wook (2010) appeared evenly. Among them, although generation Z values their individuality, hobbies, and interests, the most dominant type of self-expression was the 'social relation type', which is conscious of others' gazes, among all 12 research participant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the gaze of others has a great influence on self-expression in the space of social media because the third-generation social media mainly expresses itself through images and moves based on a closed network centered on interests. .③Third, in the process of in-depth interview,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media users were aware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norms, networks, and reciprocity through self-expression. As such, although social media i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t can be understood as a kind of virtual society and a new ecosystem that connects and shares people, rather than a medium that is grown and used due to simple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express it again as a theoretical concept, social media is a daily and powerful tool that can manage one's image and actively create (modify) one's self and identity while constantly being conscious of the existence of others. In summar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lthough there are various research data on the personality, media use, an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Z, there is a lack of academic research on their actual experiences. have meaning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self-expression or social capital is difficult to quantify, and I tri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which calculates people's perceptions as the average value of survey responses. However, this study also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method training and expertise to maintain objectivity in qualitative research. Second, because the sample size is small, generalization may be difficult. Third, terms such as social media and SNS, self-expression and self-expression are mixed. Lastly, since the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is incomplete, further research is needed.;현대인은 각종 디지털 기기와 인터넷으로 연결된 세상을 살고 있다. 그리고 그세상은 각종 이미지로 가득하다. 이처럼 매일같이 미디어에서 쏟아내는 이미지는 더 이상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특별한 자극이 아니다. 현대인의 커뮤니케이션 방식 역시 텍스트를 쓰고 읽고 해석하는 소통 방식에서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소통으로 변화되고 있다. 과거 블로그나 개인 홈페이지와 달리, 2015년 이후 지속 성장 중인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같은 소셜미디어를 통하여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과 일어난 일, 각종 정보들을 간편하게 생산하고 공유한다. 3세대 소셜미디어라고 불리는 이미지 기반 소셜미디어는 사용자의 관심사를 기반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철저하게 사용자를 중심으로 구축되는 미디어이다. 즉, 이미지를 중심적인 소통 매개체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하며 자기표현을 하는 미디어라고 할 수 있다.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술이 상용화된 시대에 태어난 Z세대의 경험을 이해하는 일은 기술이 인간에게 미친 영향과 기술을 개발·발전시키는 인간의 심리를 알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2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디지털기술에 익숙한 디지털네이티브(Z세대)자기표현과 사회자본의 개념을 중심으로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심리적 속성과 사회적 자본 형성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는 첫째, Z세대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와 자기표현에 대한 인식에 관해 탐색하고, 둘째, 심층 인터뷰를 통해 Z세대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사회자본 형성 경험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구성은 선행연구 조사, 대상자 선정, 설문 및 인터뷰 수행 및 분석이다. 이에 따라 소셜미디어를 활발하게 이용하는 Z세대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의 소셜미디어의 이용행태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이들의 이용심리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한 잘트만의 은유추출기법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선택한 이미지를 가지고 발화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3가지이다. ① 첫째, Z세대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텍스트로 된 정보 공유나 자기표현을 하는 대신 이미지를 통해 손쉽게 소통하고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미디어를 선호하고 있었다. Z세대 청년들이 주로 이용하는 소셜미디어 서비스는 페이스북에서 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 내에서도 사진, 스토리, 릴스 순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유튜브와 핀터레스트의 움직이는 사진, 짧은 영상을 게시하고 시청하는 등의 이용행태를 보고하였다. 한편, 소셜미디어의 자기표현에 대한 사용자 인식은 Z세대 모든 Z세대 이용자가 소셜미디어라는 가상공간이 주는 자유로움이나 해방감을 느낀다고 하면서도 가상과 현실 사이 괴리감을 보고하였다. ② 둘째, 이들의 자기표현을 통해서 본 자아표현 유형인데 박화진, 신재욱(2010)이 설명한 3 가지 자아표현 유형이 고루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Z세대가 자기 개성과 취미, 관심사를 중요하게 여기지만 12명의 전체 연구 참여자들에게서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사회관계형’이 가장 우세한 자아표현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는 3세대 소셜미디어가 주로 이미지를 통해 자기를 표현하고, 관심사 중심의 폐쇄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소셜미디어라는 공간에서 자기 표현은 타자의 시선이 자기표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해석해볼 수 있다.③셋째, 심층인터뷰 과정에서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이 자기표현을 통해 신뢰, 규범, 네트워크, 호혜성 등 사회자본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소셜미디어는 디지털 기술에 기반하고 있지만, 단순한 기술 발전으로 성장하고 이용되는 미디어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공유하는 일종의 가상 사회, 새로운 생태계로도 이해해볼 수 있다. 이론적 개념으로 다시 표현하자면, 소셜미디어는 타자의 존재를 끊임없이 의식하면서 자기의 이미지를 관리하고, 능동적으로 자아와 정체성을 만들어(modify)낼 수 있는 일상적이고도 강력한 도구인 것이다.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는 다음과 같다. 우선, Z세대의 성격, 미디어이용, 소비 특성에 관한 다양한 조사 자료는 있으나, 그들의 실제 경험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미비하였다는 점에서 이들의 경험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질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다시 말해, 자기표현이나 사회자본이라는 개념은 수치화가 어려운데다 사람들의 인식을 설문 응답 값을 평균치로 계산하는 양적 조사가 가지는 제약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 역시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 질적 연구에 대한 객관성 유지를 위해 방법에 관한 훈련과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표본의 크기가 적기 때문에 일반화에 무리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소셜미디어와 SNS, 자아표현과 자기표현 등 용어가 혼재되어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사회자본 개념의 이론적 정립이 미비한 상태이기 때문에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