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6 Download: 0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환아 부모의 질병 불확실성과 자기효능감이 공유의사결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환아 부모의 질병 불확실성과 자기효능감이 공유의사결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llness uncertainty and self-efficacy on the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 making in parents with an infa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uthors
최다해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혜원
Abstract
본 연구는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환아 부모를 대상으로 질병 불확실성, 자기 효능감이 공유의사결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S 병원 및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모집한 자녀가 신생아중환자실에 입원 중인 부모 103명이며, 2023년 4월 18일부터 2023년 6월 4일까지 자기보고식의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와 환아의 일반적 특성, 질병 불확실성, 자기효능감, 공유의사결정 인식 정도를 조사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t-test), 일원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분석하고 Scheffe’s test로 사후검정하였다. 질병 불확실성, 자기효능감, 공유의사결정 인식의 관련성은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했으며 공유의사결정 인식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선형 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질병 불확실성은 88점 만점에 평균 44.92±9.72점, 자기효능감은 65점 만점에 평균 45.88±8.11, 공유의사결정 인식은 115점 만점에 평균 102.29±10.35이었다. 2. 본 연구에서 질병 불확실성은 직업(F=2.939, p=.037), 임신 계획 여부(t=-2.970, p=.004), 출생 시 임신 주수(t=2.937, p=.003), 출생 순위(t=-2.413, p=.018), 계획된 입원 여부(t=-3.984),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임신 계획 여부(t=2.934, p=.006), 환아의 출생 시 임신 주수(t=-2.059, p=.042), 계획된 입원 여부(t=3.167, p=.002), 방문 시 의료진과의 대화 시간(F=9.003,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공유의사결정 인식은 출생 순위(t=2.056, p=.014), 지난 일주일 동안 방문 횟수(F=3.930, 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질병 불확실성과 자기효능감(r=-.659, p<.001), 자기효능감과 공유의사결정 인식(r=.255, p=.009)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공유의사결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방문 횟수(t=-2.482, p=.015)와 자기효능감(t=2.228, p=.028)이 유의미한 영향변수로 확인되었으며, 공유의사결정 인식의 11.9%를 설명하였다(F=6.782, p=.002). 공유의사결정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자기효능감(β=.271)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환아 부모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공유의사결정 인식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가 되지 않았던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환아 부모의 개인적 특성인 질병 불확실성, 자기효능감과 공유의사결정 인식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환아 부모의 자기효능감을 높여 신생아중환자실 내에서 공유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간호사 개인뿐만 아니라 병원 시스템 수준의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결과로 임상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의사결정 상황에서 궁극적으로 환아의 안녕을 위해 의료진과 환아 부모가 협력하여 공유의사결정을 통해 합의된 결과를 도출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llness uncertainty and self-efficacy on the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 making in parents with an infan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tudy participants were 103 parents with an infan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ant, illness uncertainty, self-efficacy and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making.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8th to June 4th, 2023.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illness uncertainty was 44.92±9.72 points (total score=88), and that of self-efficacy was 45.88±8.11 points (total score=65). The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 making averaged 102.29±10.35 (total score=115). 2.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illness uncertainty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including job(F=2.939, p=.037), planned pregnancy(t=-2.970, p=.004), gestational age(t=2.937, p=.003), birth order(t=-2.413, p=.018) and planned hospitalization(t=-3.984),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fficacy depending on planned pregnancy(t=2.934, p=.006), gestational age(t=-2.059, p=.042), planned hospitalization(t=3.167, p=.002) and conversation time with medical staff(F=9.003, p<.001).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 making depending on birth order(t=2.056, p=.014) and the number of visits(F=3.930, p=.005). 3. Illness uncertainty(r=-.659, p<.001)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r=.255, p=.009)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the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 making. 4.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 making. As a result , the number of visits(t=-2.482, p=.015) and self-efficacy(t=2.228, p=.028)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 making. These two factors showed 11.9% of the total explanatory pow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a higher self-efficacy is associated with a higher degree of the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 -making in parents with an infant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includ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and their infant, illness uncertainty, self-efficacy and the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making, an association that has not been previously explored. Therefore,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shared decision making of parents, efforts must be made by both individual nurses and hospitals to improve self-efficacy of parents with an infant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the parents to take a more active role in shared decision-making by discussing available options with medical staff and reaching treatment plans toge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