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4 Download: 0

Program Annotation

Title
Program Annotation
Authors
최윤경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소현
Abstract
본 논문은 2018년 12월 8일에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 전공 최윤경의 석사과정 졸업 연주회에서 발표된 작품들에 관한 연구이다. 연주회 작품 목록은 디트리히 북스테후데(Dieterich Buxtehude, 1637-1707)의 「토카타 F장조(Toccata in F Major, BuxWV 157)」,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오소서, 이방인의 구세주여(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와 「전주곡과 푸가 b단조(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의 「오르간 소나타 A장조(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안톤 하일러(Anton Heiller, 1923-1979)의 「탄츠-토카타(Tanz-Toccata)」로, 총 다섯 개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작품인 바로크 북독일 악파를 대표하는 작곡가 북스테후데의 「토카타 F장조(Toccata in F Major, BuxWV 157)」는 1684년 이전에 작곡된 것으로 유추된다. 작품의 형식은 총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스틸루스 판타스티쿠스(Stylus Phantasticus)가 사용된 즉흥적 전주곡과 대위법적 양식인 푸가(Fuga) 부분이 나타난다. 이 작품의 음악적 요소는 연타음과 Ⅰ-Ⅴ의 지속음 강조라고 볼 수 있다. 음의 구성은 F장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곡은 바로크 시대 주법인 논 레가토(Non-legato)를 바탕으로 연주되며, 부분적으로는 레가토(Legato)로 활용된다. 연주자는 전주곡에서 믹스츄어(Mixture)가 포함되는 큰 플레노(Pleno)의 음색을 선택하여 장엄함과 찬란함을 표현하였다. 푸가에서는 각 성부별 주제가 독립적으로 잘 들릴 수 있도록 페달(Pedal)에 8′음색만 사용하고, 종결부에서는 손건반에 믹스츄어와 페달에 리드(Reed)계열 음색까지 사용하여 음량을 더욱 크게 만들었다. 두 번째 작품인 18세기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오소서, 이방인의 구세주여(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는 1739-1742년에 작곡되었다. 「18개의 코랄(18 Leipziger Chorales, BWV 651-668)」 중 9번째 곡으로 작품의 형식은 A-B-C-A′의 총 네 부분으로 이루어졌으며, 코랄 선율이 소프라노에 나타나면서 다양하게 장식, 반복된다. 이 장식음을 포함하는 손건반에서의 코랄 선율은 8분음표로 계속 움직이는 페달과 함께 나온다. 작곡가가 의도한 음의 구성은 g단조와 그것의 나란한 조인 B♭장조, 버금딸림음조인 c단조이다. 이 곡은 전체적으로 박자가 느리고 긴 음표들로 이루어져 있어 논레가토로 연주된다. 솔로 음색 특유의 미세한 떨림을 표현하기 위해 뮤테이션(Mutation) 음색과 트레뮬런트(Tremulant)를 사용하였다. 세 번째 작품인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전주곡과 푸가 b단조(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는 라이프치히(Leipzig) 시기인 1727-1731년에 작곡된 작품으로, 형식은 전주곡과 푸가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며, 바로크 시대의 엄격한 대위법과 즉흥적 양식이 주를 이룬다. 즉, 주제의 대위적 구성과 빠른 리듬의 32분음표 선율로 볼 수 있다. 전주곡에서 사용된 음계는 b단조이고, 푸가에서는 b단조의 버금딸림음조와 딸림음조를 중심음으로 진행된다. 전주곡은 플레노 구성으로 모든 음역에서 프린치팔(Principal) 스탑과 믹스츄어를 선택하고, 손건반을 페달에 커플시키지는 않았다. 푸가에서는 가벼운 분위기 표현을 위해 앞서 사용했던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에서 일부 프린치팔 스탑과 믹스츄어를 삭제하였다. 이후 종반부에 믹스츄어와 리드계열 스탑을 추가하여 강렬하고 힘찬 느낌이 들도록 연주한다. 네 번째 작품인 독일 낭만 작곡가 펠릭스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의 「오르간 소나타 A장조(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는 1844년에 작곡되었고, 총 두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악장의 형식은 A-B-A′의 3부분으로 구성되었고, 2악장의 형식은 A-B-A′-코다(Coda)의 4부분으로 구성되었다. 1악장에서 B부분 베이스에 나타나는 코랄 선율과 2악장에서의 가곡을 닮은 선율 진행이 특징적이다. 주요한 음악적 요소는 1악장에서 주제의 동형진행, 반음계적인 화성과 모방대위로 구성된 성부진행이고, 2악장에서의 서정적인 선율이라고 할 수 있다. 음계의 구성은 A장조의 같은 으뜸음조와 나란한조, 딸림음조 등이다. 멘델스존은 오르간 소나타의 음색을 잠정적으로 지시하기보다는 소리의 세기로 지시하였다. 그래서 1악장의 A부분에서 포르티시모(ff)의 화려하고 두꺼운 색채를 기본 음색 중심으로 플레노의 구성에 리드 계열 음색도 첨가하여 연주한다. B부분에서는 A부분에서 썼던 음색에서 리드계열은 제외한다. A′부분에서는 A부분과 같은 스탑을 사용한다. 2악장에서는 오른손 최상부 선율의 흐름이 끊기지 않게 연주하며, 이 레가토를 잘 표현하기 위해 플루트 계열의 음색을 사용한다. 다섯 번째 작품인 20세기 오스트리아의 대표 작곡가 안톤 하일러(Anton Heiller, 1923-1979)의 「탄츠-토카타(Tanz-Toccata)」는 1970년에 작곡되었고, 이 작품은 그의 오르간곡 중 가장 유명하다. 형식은 A-A′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으며, A부분에 비해 A′부분이 축소 재현된다. 그리고 연주하기에 매우 빠른 박자와 잦은 변박, 그리고 3연음부에서 5, 6, 7연음부에 이르는 리듬형이 나타난다. 또, 톤 클러스터(Tone Cluster)를 통한 불협화적 화성이 주로 사용된다. 이 작품에서는 장・단 3도, 증 4, 5도 음정의 도약이 주요하게 사용되었으며, 페달 파트에서 바소 오스티나토(Basso Ostinato)로 나타나는 감5도 음정이 강조되었다. 특히 연주자는 3연음부 리듬의 스타카토를 너무 세지 않게 연주한다. 음색,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연주 속도에 대한 지시사항이 악보에 상세히 나와 이를 참고하여 연주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바로크, 낭만, 현대에 걸친 다양한 시대의 작품들을 형식, 주요 음악적 특징, 작곡가가 의도한 음 소재, 연주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가 오르간 연주자들의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나아가 후속 연구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into the works which were performed by Choi Yun-Gyeong, at the Music College of Ewha Womans University, at her graduation recital for a master's degree in organ on December 8, 2018. Her recital program included five pieces: 「Toccata in F Major, BuxWV 157」 by Dieterich Buxtehude (1637-1707),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and 「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b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by Felix Mendelssohn (1809-1847), and 「Tanz-Toccata」 by Anton Heiller (1923-1979). The first of the five works, 「Toccata in F Major, BuxWV 157」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before 1684, by Buxtehude, who represented the Baroque School in the north Germany. It consists of two parts: the improvisatory Prelude in Stylus Phantasticus and the Fugue in the contrapuntal style. Its musical elements feature an emphasis on repeated notes and pedal points in I-V. Its notes are mainly organized around F major. It is performed based on non-legato, which was the principal style during the Baroque period, and is partially used as legato. The performer expressed grandeur and splendor by selecting Pleno tones that included mixtures in the Prelude, used only the 8' tone on the pedal to let the theme of each part be heard clearly and independently in the Fugue, and increased the volume by using the reed tones on the pedal along with mixtures on the manual in the coda. The second piece, 「Nun komm, der Heiden Heiland, BWV 659」 was written by Bach in 1739-1742. Being the ninth number of 「18 Leipziger Chorales, BWV 651-668」 it consists of four parts, including A-B-C-A′ with choral melodies appearing in the soprano and being decorated and repeated in various ways. It appears that choral melodies including ornamental notes on the manual and the pedal that keeps moving in an eighth note. The musical work is in g minor, moving through its parallel key, B♭ major, and its subdominant key, c minor. It has a slow tempo and long notes, being performed in non-legato. It uses mutations and tremulants to express the subtle tremble unique to the solo tones. The third piece, 「Prelude and Fugue in b minor, BWV 544」 was written in 1727-1731 when he resided in Leipzig. It consists of two parts including a Prelude and a Fugue, mainly featuring the strict counterpoint of the Baroque period and improvisatory style. Its principal musical elements include the contrapuntal treatment of a theme, melodies in 32th notes, and fast rhythmic passages. The Prelude is in b minor, and the Fugue mainly moves in subdominant and dominant keys in b minor. The performer selected principal Stops and mixtures across the entire register in a Pleno composition and did not combine the manual with the pedal in the Prelude while deleting some principal Stops and mixtures in the register used during the Prelude to express a lighter mood in the Fugue. Mixtures and reed Stops were added to the coda to express a more intense and powerful feeling. The fourth piece, 「Organ Sonata in A Major, Op. 65, No. 3」 was written by Mendelssohn (1809-1847) in 1844 and consists of two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has three parts, including A-B-A′ while the second movement has four parts, including A-B-A′-coda. It is characterized by the choral melodies at the bass of part B in the first movement and song-like melodies in the second movement. Its principal musical elements include the sequence of a theme, chromatic harmonies, and the imitative counterpoint in the first movement and the lyrical melodies in the second movement. The tonality is in A major, with its parallel, relative, and dominant keys used in the work. Mendelssohn instructed the tones of organ sonatas with the loudness of sounds rather than provisional instructions. In the first movement, part A is performed by adding reed tones to the Pleno composition around the basic notes of splendid and thick colors in fortissimo (ff). Part B is performed with the reed tones used in part A excluded. Part A′ is performed with the same Stops as part A. The second movement is performed to keep the uppermost melodies of the right hand with a flow in flute tones to express legato. The final piece, 「Tanz-Toccata」 was written, in 1970, by Anton Heiller (1923-1979), who was one of the greatest composers in Austria in the 20th century. This piece is his most famous organ work. It consists of two parts, including A-A′, in which A is truncated in A′. Also it has a fast tempo to play, frequent irregular rhythms such as triplets and guintuplets. It mainly uses dissonant chords through a tone cluster. It primarily uses leaps of major and minor third and an augmented fourths and fifths with diminished fifths emphasized on the pedal in basso ostinato. The performer should be careful not to play rhythms of triplets in staccato too strongly, following the detailed instructions about tones, articulations, and metronome markings in its score. This present study examined the works from various periods including Baroque, Romantic, and modern periods focusing on form,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organ Stops used in each work. Its findings will hopefully help organists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se works and contribute to follow-up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