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85 Download: 0

하이데거 철학에서의 결단성 연구

Title
하이데거 철학에서의 결단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esoluteness in Heidegger’s Philosophy : Centered Around the Nullity and Temporality of Dasein in Being and Time
Authors
권지영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자경
Abstract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전기 저작 『존재와 시간』에 등장하는 결단성(Entschlossenheit)의 진의를 무성과 시간성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밝혀 보고자 한다. 결단성은 현존재가 자신의 본래성을 되찾는 여정에 해당한다. 현존재는 자신의 존재에 관하여 물음을 가지는, 가질 수 있는 존재자를 의미하며 본래성이란 그런 현존재가 비로소 자신의 존재를 진중하게 물고 늘어지게 되는 실존 방식을 뜻한다. 따라서 결단성은 자신의 존재를 문제시할 수 있는 존재자가 일상 가운데 벗어나 비로소 본격적으로 존재를 묻게 되는 존재 경험이다. 하지만 결단성은 적지 않은 하이데거 해석가들에 의하여 현존재가 본래성을 향하여 자의적으로 혹은 단호하게 발휘할 힘으로 이해됐다. 그러나 이러한 결단성에 대한 이해는 충분치 않은 것으로 여겨지며, 따라서 결단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크게 결단성의 두 가지 측면, 실존론적 측면과 시간성의 측면을 고찰하고, 이에 기반하여 결단성의 세 가지 의의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결단성의 실존론적 측면에 대한 고찰은 결단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무성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진행된다. 특히 무성과 관련된 개념들인 무, 불안 그리고 양심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세계의 무’는 현존재에게 세계가 무의미하다는 사실을 알림으로써 고유한 존재를 물을 수 있게 안내하고, 그 가운데 존재의 근본인 ‘무성’, 즉 무력성을 깨닫게 한다. 이처럼 무성을 드러내는 무를 현존재에게 일깨우는 것이 ‘불안’이다. 불안은 존재론적인 기분으로서 일상 속 현존재에게 닫혀 있는 존재 문제를 마주하게 함으로써 그의 일상을 흔들어 깨운다. 그 가운데 드러나는‘무성’은 현존재의 존재를 규정하는 무력성으로서 ‘고유한 존재를 현존재가 마음대로 지배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특히 존재의 구조계기 중 하나인 내던져져 있음에서 드러나는 무성은 ‘현존재는 오직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만을 알 수 있을 뿐, 존재 이유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라는 무력성에 대한 사실을 드러낸다. 더불어 존재에 속하는 죽음에서도 무성이 발견된다. 현존재는 자신의 죽음이 언제 찾아올지 알 수 없으며 그것의 다가옴을 피할 수도 없다는 점에서 죽음은 현존재의 무력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무성에 대한 사실을 불안을 통하여 무로 드러냄으로써 현존재에게 전달하는 것은 바로 ‘양심의 부름’이며 부름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이 바로 ‘결단성’이다. 결단성의 실존론적인 측면에 대한 고찰을 정리하자면, 무는 현존재의 존재가 무성으로 점철되어 있다는 사실을 양심의 부름이라는 형태로 불안 가운데 알린다. 그리고 결단성은 이러한 양심의 부름을 올바르게 듣는 것으로서 무성, 즉 ‘고유한 존재에 대하여 권한이 없다’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그 사실 속에서 자신을 이해하며 사는 것이다. 결단성의 실존론적 측면 외에도 시간성 측면에 대한 고찰은 세 가지 탈자태인 기재, 도래 그리고 현재 각각의 본래적 및 비본래적 시간성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진행된다. 먼저 본래적 기재와 비본래적 기재인 망각 간의 비교에서 결단성은 ‘무성을 수긍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또한 본래적 도래와 비본래적 도래인 예기함을 비교함으로써 결단성은 ‘죽음의 지배를 위하여 물러남’과 관련 있다는 사실이 발견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래적 현재인 순간과 비본래적 현재인 현재화, 특히 호기심의 양상을 비교함으로써 결단성은 ‘상황 속 철회함’과 관련 있다는 사실이 확인된다. 앞서 고찰된 두 가지, 결단성의 실존론적 측면과 시간성의 측면을 종합함으로써 결단성은 세 가지 의의로 밝혀진다. 첫째, 결단성은 기재 가운데 ‘무성을 수긍함’이다. 비본래적 기재에서 무성에 대한 사실은 은폐되어 있지만 본래적 기재에서 현존재는 고유한 존재의 무성을 깨달아 그 속에서 자신을 이해하고자 한다. 둘째, 결단성은 도래 가운데 ‘죽음의 지배를 받기 위하여 물러남’이다. 비본래적인 도래 가운데 현존재는 일상적 가능성으로부터 자신을 이해하고, 죽음마저 일상적 가능성으로 다루게 된다. 그러나 본래적 도래 지평에서 비로소 죽음으로부터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을 죽음이 온전히 장악할 수 있도록 물러난다. 셋째, 결단성은 ‘상황 속 철회함’이다. 비본래적 현재 가운데 호기심으로 가득 찬 현존재는 기재와 도래로부터 단절되어 어떠한 가능성에도 머물지 아니한다. 그러나 본래적 현재에 있는 현존재는 오히려 기재와 도래를 향하여 밝게 열려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자신의 가능성을 언제나 어디서든 포기할 준비가 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으로 밝혀진 결단성의 의의를 정리하자면, 결단성은 고유한 존재에 대하여 권한이 없다는 사실로부터 현존재 자신을 철저하게 이해하고 있기에 죽음의 장악을 오히려 기다리고, 가능성에 더 이상 집착하지 아니하는 존재 경험이다. ;The aim of study is to reveal the true meaning of resoluteness (Entschlossenheit) in Being and Time, which is one of Heidegger’s early works, by considering nullity and temporality. Resoluteness is a journey that Dasein takes in order to regain its own authenticity. Dasein means a being who can question its own being and authenticity is the way of life that Dasein can undertake by finally questioning its own being closely. Therefore, resoluteness is the experience of being that a being who can question being, questions being closely, freeing itself from the everydayness. However, quite a few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resoluteness as the power that Dasein exhibits toward authenticity. But such an understanding of resoluteness would be insufficient, and so two aspects of resoluteness, the existential aspect and the aspect of temporality will be considered and then three meanings of resoluteness will be suggested in this study. The existential aspect of resoluteness is contemplated by examining null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resoluteness. In particular, nothingness, anxiety and conscience which are related to nullity,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he nothingness of the world’ reveals to Dasein the insignificance of the world and by doing so, leads Dasein to question its own being and also to realize nullity, on which being is based. As such, what awakens the nothingness, which reveals nullity, to Dasein, is ‘anxiety.’ As an ontological mood, anxiety strikes Dasein in its everydayness, by making it encounter the question of being, which is closed to beings. ‘Nullity’, which defines the being of Dasein, refers to the fact that ‘Dasein never has control over its own being.’ Particularly, nullity of thrownness, which is one of the existential constituents, suggests that ‘Dasein discloses not the reason of being, but merely the fact that Dasein has to exist.’ In addition, nullity is found in death which belongs to being. That Dasein not only never knows when death comes, but also avoids the coming of death, directly displays Dasein’s nullity. Moreover, by revealing facts about nullity as nothingness through anxiety, what is delivered to Dasein is the ‘call to conscience,’ and what correctly understands this call is ‘resoluteness.’ If we summarize this inquiry into the ontological aspect of resoluteness, nothingness reveals the fact that the being of Dasein has been condensed by nullity, through the form of the voice to conscience, in anxiety. And resoluteness is, by rightly hearing such form of conscience, accepting nullity, i.e. the fact that ‘Dasein does not have any power over its ownmost being.’ Apart from the ontological aspect of resoluteness, the study on the aspect of temporality is conducted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authentic temporality and inauthentic temporality of the three ecstasies of temporality, which is having-been, future, and present. First, in a comparison between authentic having-been and inauthentic having-been, which is forgetting, it is revealed that resoluteness is closely related to the ‘blind acceptance of nullity.’ Moreover, by comparing authentic future and inauthentic future, which is awaiting, it is revealed that resoluteness is related to ‘stepping down for the rule of death.’ Lastly, by comparing the authentic present, which is the moment, and inauthentic present, which is making present, and especially comparing the aspects of curiosity, it has been shown that resoluteness is related to ‘keeping oneself free in situation.’ If we put together the two aspects that have been studied thus far, which is the ontological aspect of resoluteness and the temporality aspect of resoluteness, resoluteness is revealed to have three meanings. Firstly, resoluteness is the ‘blind acceptance of nullity’ in having-been. In inauthentic having-been, facts about nullity is hidden, but Dasein strives to understand itself in authentic having-been, by realizing the nullity of its own being. Secondly, resoluteness is ‘stepping down to be ruled by death’ in future. In inauthentic future, Dasein understands itself from everyday possibilities, and even understands death as an everyday possibility. However, in authentic future, Dasein eventually understands itself from death, and steps down to allow death to overpower it. Lastly, resoluteness is ‘keeping oneself free in situation.’ In inauthentic present, curiosity is separated from having-been and the future, and does not remain in any possibility. However, in authentic present, Dasein is even willing to open itself to having-been and the future and because of this, it is ready to give up its possibility whenever and wherever it is. If we go through the meaning of resoluteness revealed in this study, resoluteness is an experience of being, in which Dasein, through the fact that it does not have power over its own being, understands itself and waits for the control of death and no longer obsesses over possibi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