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0 Download: 0

Syntactic Licensing of the Perfect in English

Title
Syntactic Licensing of the Perfect in English
Other Titles
영어의 완료구문의 통사적 허가: 일반화 및 일치에 근거한 분석
Authors
민효민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Keywords
Perfect, Syntactic licensing, Agree-based analysis, English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Isaac Gould
Abstract
This thesis presents a previously unnoticed generalization about the syntactic distribution of perfect aspect in English and provides a unified underlying mechanism accounting for it. The question of what the perfect means in English has been actively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whereas the issue of the syntactic distribution of the perfect has received relatively less attention. In previous work on the perfect, the data considered is limited in scope, and systematic syntactic analysis is absent. In particular, previous discussions primarily focus on auxiliary have, failing to capture a generalization specific to the perfect and distinct from passive voice and progressive aspect. Therefore, this thesis integrates the construction composed only with a participle without auxiliary have into the perfect structure and analyzes the distributional pattern of the perfect more thoroughly. Additionally, this thesis explores the structures previously not considered and examines six families of English constructions—small clauses, reduced relative clauses, absolute constructions / free adjuncts, gerunds, standard finite clauses, and to-infinitives. Through this extended scope of investigation, this thesis provides an empirically more robust generalization on the distribution of the perfect. This generalization states that the perfect can be licensed only if there is a higher functional layer c-commanding it. In addition, I identify four different licensers of the perfect head: finite T0, nonfinite T0, tenseless finite Fin0, and nominalizing n0. Such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se heads is characteristic of the perfect, whereas it is not apparent with other verbal inflectional heads. Furthermore, this thesis incorporates the perfect generalization into a broader syntactic framework of AGREE based on Bjorkman’s (2011) model of auxiliary insertion. In other words, I argue that the licensing constraint on the perfect arises from the strict requirement on the perfect for AGREE with a higher functional head, though other heads can fail to agree. Additionally, an Italian dialect and Romanian data provide cross-linguistic evidence for the unique relationship between a higher head and a distinctive property of the perfect compared to other verbal inflectional heads. The unified account based on operation AGREE successfully accounts for the characteristic distribution of the perfect observed in diverse English constructions.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 완료상의 분포에 대한 통사적 일반화를 제시하고, 그러한 분포적 특징을 설명하는 통일된 하위의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다. 완료상의 의미에 대해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 왔지만, 분포에 대한 문제는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완료상의 분포와 관련된 이전 연구는 검토한 데이터의 범위가 제한적이고 체계적인 통사적 분석을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특별히 이전의 논의는 조동사 have에만 집중하여 수동태와 진행상과는 구별되는 완료상의 통사적 제약 조건을 명확히 포착하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은 조동사 have 없이 분사 단독으로 구성된 구조 또한 완료상의 범주로 편입시켜 보다 포괄적으로 완료상의 분포 양상을 추적하였다. 또한 이전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구문을 포함해 여섯 개 종류의 구문(소절, 축약 관계절, 독립 구문 / 자유 부가어절, 동명사절, 정형절, to-부정사절) 내에서 완료상의 분포 양상을 검토했다. 그 결과 완료상에 대하여 경험적으로 더 강력한 일반화를 도출하였다. 완료상은 반드시 완료핵을 성분통어하는 상위의 기능 범주에 의해 인허되며 네 가지 기능적 핵(finite T0, nonfinite T0, tenseless finite Fin0, nominalizing n0)이 완료상을 인허하는 역할을 수행함을 밝혔다. 더불어 상위 기능 범주의 존재에 대한 이러한 민감성이 수동태와 진행상과는 구별되는 완료의 특징임을 밝혔다. 나아가 본 논문에서는 Bjorkman(2011)이 제시한 조동사 삽입 모델에 입각하여 완료상의 통사적 일반화가 일치(AGREE)로 설명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즉, 완료상은 상위 기능 범주와 반드시 일치(AGREE)해야 한다는 조건에 따라 독특한 통사적 제약을 보이지만, 다른 기능 범주는 상위의 기능 범주와의 일치의 실패가 허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뿐만 아니라 Italian 방언과 Romanian 등으로부터 상위의 기능적 핵과 완료의 긴밀한 연관성에 대한 범언어적 근거를 제시하기도 했다. 일치(AGREE)에 근거한 이러한 통일된 설명은 영어의 다양한 구조에서 일관적으로 등장하는 완료상의 특수한 분포의 속성을 성공적으로 설명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