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5 Download: 0

“Something” as Legacy in Jacqueline Woodson’s Red at the Bone

Title
“Something” as Legacy in Jacqueline Woodson’s Red at the Bone
Other Titles
재클린 우드슨의 『레드 앳 더 본』에 나타나는 유산으로서의 “무엇”
Authors
손민정
Issue Date
2023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정
Abstract
In Jacqueline Woodson’s Red at the Bone (2019), “something” appears a total of 90 times. However, what is noteworthy is its usage as an unspecified feeling being felt between Iris (mother) and Melody (daughter). Despite being a novel centered on the meaning of family and the ensuing drama, there are no explicit emotional outbursts or confrontations. In particular, Iris and Melody seem to be disconnected from not only each other but also from the legacy that is being passed down from the older generations to the new generation. At the same time, there is something, a subtle connection that they seemingly cannot get out of. Thus, although we can sense that there is something going on and connecting the mother and daughter together, we do not know exactly what this something entails. This paper suggests it is “something” between Iris and Melody that becomes a legacy of their own and a way for them to connect. In the first chapter, I unpack how legacy is not only about leaving behind and inheriting said thing; it is also concerned with how family members connect to one another. In the process, I attribute “something” as having affective qualities by theorizing the term vis-à-vis affect theory. I elucidate how “something” connects the family members not through specific past events or expected familial relationships. Rather, “something” as legacy recognizes that it is how one comes to encounter and reinterpret such event that is of importance. By defining “something” as being in a sort of in-between-ness, of between ‘being undefinable’ and ‘becoming determinate,’ Iris and Melody are able to connect with each other while, at the same time, the unnamable and unspecifiable nature of “something” allow them to not be solely confined to it. Such quality enables Iris and Melody to be disconnected from the more traditional and static form of legacy. Concurrently, it facilitates a more complex relationship with and reflection on familial relationships. In the second chapter, I analyze how it is the Tulsa Race Massacre of 1921 that motivates the older generations to create a long-lasting legacy in the form of gold. Yet, for Iris and Melody, they initially struggle to fully grasp the importance and relevance of such legacy. I explore the limitations of Sabe’s legacy, and how Iris and Melody struggle and fail to embrace the more traditional type of legacy, such as ceremonies and impactful past events. I argue that the legacy as presented by the older generations fails to have the same impact on Iris and Melody. There is nothing new or uniquely theirs in what is attempted to be passed down. For Iris and Melody, legacy entails a dream which has already been fulfilled. Thus, Iris unruts herself from the legacy, which is followed by her daughter, in search for one which resonates with them more. This leads to the discovery of “something.” In the last chapter, I analyze how “something,” an unnamable inheritance that connects them to each other while simultaneously unruts them from the traditional legacy, allows for a new way of being. This chapter is dedicated to examining how and why “something” appears between Iris and Melody. By recognizing “something” as a legacy, Iris and Melody open up multifaceted possibility of not only understanding one’s relationship to the family and their shared past, but also how to revise the legacy in ways that are relevant to their presents. This paper thus illuminates how it is through ambiguous and trivial feelings such as “something” that one can explore alternative ways of being.;재클린 우드슨의 소설『레드 앳 더 본(Red at the Bone)』(2019)에서 '무엇(something)'은 총 90회 등장한다. 그러나 주목할 만한 것은 아이리스(엄마)와 멜로디(딸) 사이에서 느껴지는 불특정한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순간들이다. 이 소설의 특이점은 가족 드라마를 중심으로 두고 있지만 노골적인 감정의 폭발이나 대립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아이리스와 멜로디는 서로뿐만이 아니라 기성세대에서 신세대로 전해지는 유산으로부터 단절된 모습을 나타낸다. 하지만 소설은 계속해서 그들 사이에는 빠져나올 수 없어 보이는 미묘한 연결고리가 있다고 표현한다. 따라서 아이리스와 멜로디를 모녀로서 연결하는 ‘무엇’이 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지만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하게 알지 못한다. 본 논문은 아이리스와 멜로디 사이의 '무엇'은 그들만의 유산이 되고 두 사람이 연결되는 방식이 된다고 제안한다. 본 논문의 첫 장에서는 유산은 무언가를 남기고 물려받는 행위만이 아닌 가족 구성원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이라고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무엇’이 어떻게 정동 이론의 정동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나타낸다. 따라서 구체적인 과거의 사건이나 요구되는 가족 관계만이 유산이 아니며 어떻게 ‘무엇’으로 가족 구성원들이 연결되는지 설명한다. 유산으로서의 ‘무엇’은 중요한 사건을 어떻게 마주치게 되고 재해석하는지를 더 중점으로 둔다. 아이리스와 멜로디는 ‘무엇’을 ‘정의할 수 없는 것’과 ‘결정되는 것’ 사이에 두며 이를 통해 연결됨과 동시에 그 특정할 수 없는 ‘무엇’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아이리스와 멜로디는 정적인 형태의 유산으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더 다양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가족의 형태를 바라볼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의 두 번째 장에서는 1921년 털사 인종 학살(Tulsa Race Massacre)이 어떻게 기성세대가 금의 형태로 오래 지속되는 유산을 남기도록 동기 부여했는지 분석한다. 그러나 아이리스와 멜로디는 그러한 유산의 중요성을 완전히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두 번째 장에서는 사베의 유산의 한계와 아이리스와 멜로디가 어떻게 전통적인 유산의 형태를 수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지 논한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기성세대가 제시하는 유산이 아이리스와 멜로디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전승하려는 유산에는 새롭거나 그들만의 고유한 것이 없기 때문이다. 아이리스와 멜로디에게 유산은 이미 이루어진 꿈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아이리스가 어떻게 유산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고, 그 뒤를 이어 딸 멜로디가 어떻게 잇따라 벗어나는지 논한다. 이것은 ‘무엇’의 발견으로 이어진다. 본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는 이름을 붙일 수 없으며 서로를 연결시켜주는 동시에 유산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게 해주는 '무엇'이 어떻게 새로운 존재 방식을 가능하게 하는지 분석한다. 아이리스와 멜로디 사이에 ‘무엇’이 어떻게 그리고 왜 나타나는지를 살펴본다. 모녀가 ‘무엇’을 유산으로 인식함으로써 가족과의 관계와 공유된 과거를 이해하게 되는 것뿐만이 아닌 현재에서 유산을 본인 것으로 만들 수 있는 다각적 가능성을 얻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무엇’과 같은 모호하고 사소한 감정을 통해 다양한 존재 방식을 탐구할 수 있다는 논점을 제시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